6급 준6급 사자성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험 빈도가 높은 한자성어이니, 꼭 익히고 시험을 보도록 하세요.
家內工業 (가내공업) 집 안에서 단순한 기술과 도구로 물건을 생산하는 소규모의 수공업
家庭敎育 (가정교육) 가정의 일상 생활을 통하여 집안 어른들이 자녀들에게 주는 영향이나 가르침
各人各色 (각인각색) 사람마다 각기 다름
各自圖生 (각자도생) 제각기 살아 나갈 방법을 꾀함
高等動物 (고등동물) 복잡한 체제를 갖춘 동물
高速道路 (고속도로) 차의 빠른 통행을 위하여 만든 자동차 전용 도로
公明正大 (공명정대) 하는 일이나 행동이 사사로움이 없이 떳떳하고 바름
交通信號 (교통신호) 교차로나 횡단보도, 건널목 따위에서 사람이나 차량이 질서 있게 길을
가도록 하는 기호나 등화(燈火)
九死一生 (구사일생)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 는 말
國民年金 (국민연금) 일정 기간 또는 죽을 때까지 해마다 지급되는 일정액의 돈
南男北女 (남남북녀) 우리 나라에서, 남자는 남쪽 지방 사람, 여자는 북쪽 지방 사람이 잘났음을
이르는 말
男女老少 (남녀노소)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이란 뜻으로, 모든 사람을 이르는 말.
男女有別 (남녀유별)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男中一色 (남중일색)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생김.
代代孫孫 (대대손손) 대대로 이어 내려오는 자손
大明天地 (대명천지) 아주 환하게 밝은 세상
大韓民國 (대한민국) 우리 나라의 국호 (나라이름)
同苦同樂 (동고동락)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 함
東問西答 (동문서답) 물음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대답
同生共死 (동생공사) 서로 같이 살고 같이 죽음
東西古今 (동서고금) 동양과 서양, 옛날과 지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東西南北 (동서남북) 동쪽, 서쪽, 남쪽, 북쪽이라는 뜻으로, 모든 방향을 이르는 말
同姓同本 (동성동본) 성(姓)과 본관이 모두 같음
同時多發 (동시다발) 일이 연이어 발생함
萬國信號 (만국신호) 배와 배 사이 또는 배와 육지 사이의 연락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쓰는 신호
萬里長天 (만리장천) 아득히 높고 먼 하늘
名山大川 (명산대천) 이름난 산과 큰 내
門前成市 (문전성시)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百年大計 (백년대계) 먼 앞날까지 미리 내다보고 세우는 크고 중요한 계획
百萬大軍 (백만대군) 아주 많은 병사로 조직된 군대를 이르는 말
百萬長者 (백만장자) 재산이 매우 많은 사람 또는 아주 큰 부자
白面書生 (백면서생) 글만 읽고 세상일에는 전혀 경험이 없는 사람
百發百中 (백발백중) 백 번 쏘아 백 번 맞힌다는 뜻으로, 총이나 활 따위를 쏠 때마다 겨눈 곳에 다 맞음을 이르는 말
白衣民族 (백의민족) 흰 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百戰百勝 (백전백승) 싸울 때 마다 다 이김
別有天地 (별유천지) 별세계, 딴 세상
父母兄弟 (부모형제) 아버지, 어머니, 형, 아우라는 뜻으로, 가족을 이르는 말
父子有親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름
不老長生 (불로장생) 늙지 아니하고 오래 삶
不立文字 (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지는 것이지 말이나
글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
四面春風 (사면춘풍)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四方八方 (사방팔방) 여기저기 모든 방향이나 방면
四海兄弟 (사해형제)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세상의 모든 사람을 친밀하게 이르는 말
山戰水戰 (산전수전) 세상의 온갖 고생과 어려움을 다 겪었음을 이르는 말
山川草木 (산천초목) 산과 내와 풀과 나무, 곧 자연을 이르는 말
三三五五 (삼삼오오) 서너 사람 도는 대 여섯 사람이 떼를 지어 다니거나 무슨 일을 함
上下左右 (상하좌우) 위, 아래, 왼쪽, 오른쪽을 이르는 말로, 모든 방향을 이름
生年月日 (생년월일) 태어난 해와 달과 날
生老病死 (생로병사) 불교에서 이르는 네 가지 고통으로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
生死苦樂 (생사고락) 삶과 죽음, 괴로움과 즐거움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世界平和 (세계평화) 전 세계가 평온하고 화목함
世上萬事 (세상만사) 세상에서 일어나는 온갖 일
時間問題 (시간문제) 이미 결과가 뻔하여 조만간 저절로 해결된 문제
市民社會 (시민사회) 신분적 구속에 지배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평등한 개인의 이성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사회
新聞記者 (신문기자) 신문에 실을 자료를 수집, 취재, 집필, 편집하는 사람
十中八九 (십중팔구)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
愛國愛族 (애국애족) 나라와 민족을 아낌
野生動物 (야생동물) 산이나 들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는 동물
年中行事 (연중행사) 해마다 일정한 시기를 정하여 놓고 하는 행사
樂山樂水 (요산요수) 산수(山水)의 자연을 즐기고 좋아함
月下老人 (월하노인) 부부의 인연을 맺어 준다는 전설상의 늙은이
二八靑春 (이팔청춘) 나이가 열여섯 살 가량 된 젊은 사람을 이르는 말
人事不省 (인사불성) 제 몸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만큼 정신을 잃은 상태
人山人海 (인산인해) 사람이 수없이 많이 모인 상태를 이르는 말
人海戰術 (인해전술) 우수한 화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一口二言 (일구이언) 한 입으로 두 말을 한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대하여 이랬다 저랬다
말하는 것을 이르는 말
一問一答 (일문일답) 한 번 물음에 대하여 한 번 대답함
一心同體 (일심동체) 한 마음 한 몸이라는 뜻으로, 서로 굳게 결합함을 이르는 말
一日三省 (일일삼성) 하루에 세 번 자신을 되돌아보고 살핌
一長一短 (일장일단) 어떤 면에서는 장점도 있고,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一朝一夕 (일조일석) 하루 아침과 하루 저녁이란 뜻으로, 짧은 시일을 이르는 말
自問自答 (자문자답) 스스로 묻고 스스로 대답함
自生植物 (자생식물) 산이나 들, 강이나 바다에서 저절로 나는 식물
子孫萬代 (자손만대) 오래도록 내려 오는 여러 대
自手成家 (자수성가)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自由自在 (자유자재) 거침없이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음
作心三日 (작심삼일)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말
電光石火 (전광석화)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全心全力 (전심전력) 온 마음과 온 힘
晝夜長川 (주야장천)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
地上天國 (지상천국) 이 세상에서 이룩되는 다시없이 자유롭고 풍족하며 행복한 사회
千萬多幸 (천만다행) 아주 다행함
天下第一 (천하제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최고임
靑天白日 (청천백일) 하늘이 맑게 갠 대낮
淸風明月 (청풍명월) 맑은 바람과 밝은 달
草綠同色 (초록동색) 이름은 다르나 성질이나 내용은 같다는 말
草食動物 (초식동물) 풀을 주로 먹고 사는 동물
春夏秋冬 (춘하추동)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
土木工事 (토목공사) 땅과 하천 따위글 고쳐 만드는 공사
特別活動 (특별활동) 학교 교육 과정에서 교과 학습 이외의 교육 활동
八道江山 (팔도강산) 팔도의 강산이라는 뜻으로, 우리 나라 전체의 강산을 이르는 말
八方美人 (팔방미인) 어느 모로 보다 아름다운 사람
下等動物 (하등동물) 진화정도가 낮아 몸의 구조가 단순한 원시적인 동물
行方不明 (행방불명) 간 곳이나 방향을 모름
形形色色 (형형색색) 모양과 빛깔 따위가 서로 다른 여러 가지
花朝月夕 (화조월석) 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訓民正音 (훈민정음)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 나라 글자
'한자 급수와 한자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6급, 준6급 유형별 한자와 한자어. 상대자, 상대어, 유의어 모음 (1) | 2023.04.12 |
---|---|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6급 유형별 한자와 한자어. 상대어 모음 , 시험 전 공부 필수 (0) | 2023.04.12 |
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7급 배정한자 훈음 정리 150자 (4) | 2023.04.12 |
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7급 한자성어 모음 (0) | 2023.04.12 |
어문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7급 유형별 한자와 한자어. 상대자, 상대어, 유의어, 사자성어 (0)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