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의대 한문 시험 9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8

七言絶句(칠언절구)Ⅱ ​ 山行(산행) 遠上寒山石徑斜(원상한산석경사)하니 白雲生處有人家(백운생처유인가)라. 停車坐愛楓林晩(정거좌애풍림만)하니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라. - 杜 牧 - ​ ​ 산 길 [해설] 멀리 한산을 오르노라니 돌길이 비꼈는데 흰 구름이 이는 곳에 인가가 있구나. 수레 멈추고 앉아 늦게 물든 단풍을 즐기니 서리맞은 잎이 2월의 꽃보다 붉구나. - 두 목 - ​ ◐어구풀이◑ ▷山行 [산, 가다] 산길 ▷遠上寒山 [멀다, 오르다, 차다, 산]멀리 한산(寒山)에 오르다. [참고] 寒山(한산) : 산 이름이면서 ‘쓸쓸한 산’이란 뜻도 지님. ▷石徑斜 [돌, 길, 비끼다] 돌길이 비껴 있음. ▷白雲生處有人家 [흰, 구름, 나다, 곳, 있다, 사람, 집] 흰 구름이 피어나는 곳에 사람 사는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7

(3) 反語副詞(반어 부사) : 曷(갈), 何(하), 豈(기), 安(안), 寧(녕), 焉(언)…… ☻ 王侯將相寧有種乎(왕후장상영유종호) : 왕후장상이 어찌 종자가 있겠느냐? ​ [보충] ☻ 天喝其有極(천갈기유극) : 하늘이 어찌 끝이 있겠느냐? ☻ 君子何患乎(군자하환호) : 군자가 어찌 근심하랴? ☻ 豈能獨樂哉(기능독락재) : 어찌 혼자서만 즐길 수 있겠느냐? ☻ 事勢甚急(사세심급) : 사세가 매우 급하다. ……(정도 부사) ☻ 犬且知恩(견차지은) : 개도 또한 은혜를 안다. ……(강도 부사) ☻ 若不學(약불학) : 만약 배우지 않으면 ……(가정 부사) ​ 5. 動詞(동사) 사물이나 動作(동작)이나 存在(존재)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이며 本動詞(본동사)와 助動詞(조동사)로 대별할 수 있다. ☻ 三見逐於..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6

3. 漸降法(점강법) 같은 형태의 구를 반복하면서 語句(어구)의 배열을 어려운 것에서 쉬운 것으로, 강한 것 에서 약한 것으로, 무거운 것에서 가벼운 것으로 의미의 정도를 점점 낮추어가면서 내 용을 전개하는 방법이다. 점층법과 상대되는 수사법이다.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요치기국자 선제기가)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욕제기가자 선수기신)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욕수기신자 선정기심)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욕정기심자 선성기의) 【해석】나라를 다스리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집안을 바로 잡았고, 집안을 바로 잡으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몸을 닦았고, 자신의 몸을 닦으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몸을 바르게 하였고,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뜻을 성실하게 해야 한다. 4. 連鎖法(연쇄법) 앞 문장의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5

◉ 한자어 짜임 관계 실전 문제 ◉ (다음 문장들을 해석해 보면서 문장 유형을 구별해 봅시다.) 9.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10.匹夫見辱 拔劍而起(필부견욕 발검이기) 11.泰山高是亦山(태산수고시역산) 12.汝君子乎(여군자호) 13.顔色如玉(안색여옥) 14.來語不美 去言何美(내언불미 거언하미) 15.人不學不知道(인불학불지도) 16.堂狗三年吠風月(당구삼년폐풍월) ​ ​ ◉ 문장의 형식 실전 문제 해답 ◉ 1.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부정형) 2.남자의 한마디 말은 무겁기가 천금과 같다.................(비교 또는 긍정형) 3.자식이 어찌 효도하리오...............................................(..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4

♥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서리맞은 단풍이 2월의 꽃보다 더 붉다. ♥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 :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만 같지 못하다. (보는 것만 못하다.) ♥ 樂事莫如讀書(낙사막여독서) : 즐거운 일은 책을 읽는 것만 같지 못하다. (읽는 것만 한 것이 없다. 책 읽는 것이 최고다.) ♥ 恩高如天(은고여천) : 은혜의 높기가 하늘과 같다. (7) 금지형 勿(물),無(무),毋(무),莫(막) 등과 같이 부정사가 쓰이어 󰡐~하지 말라, ~하지 못한다 등의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이다. ♥ 非禮勿視(비례물시) : 예가 아니면 보지 말라. ♥ 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 毋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 : 자기와 같지 않은 (자기만 못한) 자를 벗하지 말라..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3

◉ 이중부정 ◉ 한번 부정한 것을 다시 부정하는 것으로 강한 긍정의 뜻을 나타낸다. 莫不(막불), 無不(무불), 不可不(불가불), 不必不(불필불), 등이 쓰인다. ● 莫不 : 人情莫不愛其子 (인정막불애기자) : 인정으로 자기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이 가 없다. ● 可不 : 言不可不愼 (언불가불신) : 말은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 무불 : 無不變色 (무불변색) : 안색을 변하지 않음이 없다. ◉ 부분 부정과 전체 부정 ◉ 不常(불상), 不必(불필), 등과 같이 󰡒부정사 + 부사 󰡓의 구조도 부분적으로 부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부정형이고 常不(상불). 必不(필불), 등과 같이󰡒부사 + 부정사 󰡓의 구조는 전부를 부정하는 전체 부정형이다. ● 不常 : 伯樂不常有 (백락불상유) : 백락은 항상 있지는 않다..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2

◉ 한자어 짜임 관계 실전 문제 ◉ (다음 문장들을 보고 짜임 관계 표시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 한자어 짜임 관계의 부호 주술 관계…………………………………………………………………………………………… || 술목 관계…………………………………………………………………………………………… | 술보 관계…………………………………………………………………………………………… / 수식 관계…………………………………………………………………………………………… 대립 관계…………………………………………………………………………………………… ↔ 유사 관계…………………………………………………………………………………………… ═ 대등 관계…………………………………………………………………………………………… ─ 14. 我讀良書 15. 我登高山 16. 臣事君 17..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1

제 1 장 漢字語 (한자어)의 짜임 (1) 수식 관계 : □ □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짜인 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관형어(수식어) + 체언(피수식어)과 부사어(수식어) + 용언(피수식어)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수식어를 먼저 새기고 피수식어를 나중에 새긴다. ① 관형어가 체언을 수식하는 관계(체언 수식) ☻ 孝 女 (효녀) : 효도하는 딸 ☻ 美 女 (미녀) : 잘 생긴 여자 ☻ 烈 女 (열녀) : 절개를 굳게 지키는 여자 [보충] 人 心 (인심) : 사람의 마음 白 日 (백일) : 밝은 날 忠 臣 (충신) : 충성 ② 부사어가 용언을 수식하는 관계(용언 수식 관계) ☻ 徐 行 (서행) : 천천히 가다. ☻ 急 行 (급행) : 급히 간다. ☻ 飛 行 (비행) : 날아가다. [보충] 力 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