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사전, 서체 사전 25

숫자 표기 한자, 갖은자, 갖은한자, 숫자 이체자, 계약서 숫자 표기 한자

계약서에서의 숫자 표기 한자. 一: 壹 오로지,하나,모두 二: 貳 둘, 두마음, 의심하다 三: 參 (참) 참여하다, 헤아리다. (삼) 별이름 四: 肆 방자하다, 펴다 五: 伍 대오, 대열, 조 六: 陸 언덕, 무덤, 능가하다 七: 漆 옻, 옻칠하다 八: 捌 깨뜨리다. (별) 중재하다 九: 玖 옥돌 十: 拾 (습) 줍다 // 什 (십) 열사람,{집} 세간,그릇 百: 佰 일백, 백사람 千: 阡 두렁, 길 // 仟 (천) **[본뜻] 일천, 두둑에 난 길 萬 은 약자로 '万'을 표기합니다.

한자총획수, 총획수, 한자획수, 한자총획수 정리, 한자사전, 한문사전

*1劃 一, 乙, *2劃 丁, 七, 九, 了, 二, 人, 入, 八, 几, 刀, 力, 匕, 十, 十, 卜, *3劃 丈, 下, 上, 三, 丫, 丸, 久, 么, 乞, 也, 亇, 于, 亡, 兀, 凡, 千, 口, 土, 士, 夕, 大, 女, 子, 寸, 小, 尢, 尸, 山, 川, 工, 巳, 己, 已, 巾, 干, 广, 弓, 才, *4劃 不, 丐, 不, 中, 丹, 之, 予, 井, 五, 云, 互, 亢, 仍, 今, 仁, 介, 仇, 元, 允, 內, 內, 公, 六, 六, 冘, 凶, 分, 切, 勿, 勻, 化, 匹, 升, 午, 卞, 及, 友, 反, 幻, 壬, 夫, 夬, 太, 天, 夭, 孔, 少, 尤, 尺, 尹, 屯, 巴, 卄, 弔, 引, 心, 戶, 手, 支, 文, 斗, 方, 无, 日, 曰, 月, 木, 止, 毋, 比, 毛, 水, 火..

지방 쓰는 법, 지방축문, 축문 쓰는 법, 지방, 축문

♣ 지방 쓰는 법(가장을 기준) 1. 5대 조부모 顯 五代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五代祖女比 孺人 慶州李氏 神位 2. 고조부모 顯 高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高祖女比 孺人 密城朴氏 神位 3. 증조부모(벼슬을 하셨을 경우:나라에서 내린 시호나 직함을 적음) 顯 曾祖考 ( 通政大夫行 司憲府監察 府君 ) 神位 顯 曾祖女比 淑夫人 金海許氏 神位 4. 조부모 顯 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祖女比 孺人 仁同張氏 神位 5. 부모 顯 考 學生 府君 神位 顯 女比 孺人 橫城趙氏 神位 * 지방을 모실 때, 주의할 점은 ‘顯’과 ‘神位’의 위치가 두분이 같 은 위치에 오도록 나란히 쓸 것. ♣ 축문 (제사일을 하루로 하여 두 분의 위를 함께 모실 때) * 년간이란, 갑자 을축 등의 간지. * 일간이란, 일력(매일 떼어내는 달..

중국 연대표, 중국역사연표, 중국 국가 연표

中國歷史年表 A Chronology of Chinese History 夏 Xia 2100 - 1600 BC 商 Shang 1600 - 1066 BC 周 Zhou 1066 - 256 BC 西周 Western Zhou 1066 - 771 BC 東周 Eastern Zhou 770 - 256 BC 春秋 Chun Qiu (Spring - Autumn) 770 - 476 BC 戰國 Zhan Guo (Warring States) 475 - 221 BC 秦 Qin 221 - 206 BC 漢 Han 206 BC - 220 AD 西漢 West Han 206 BC - 23 AD 東漢 East Han 25 - 220 AD 三國 San Guo (Three Kingdoms) 魏 Wei 220 - 265 AD 蜀 Shu 221 -..

서울 경京자를 알아보자. 한자사전 한문사전 갑골문 서체

오늘 알아볼 한자는 서울 경京자입니다. 서울 경자는 아래와 같이 생겼는데요. 그냥 보아서는 왜 서울이란 뜻을 가졌는지 알 수 없는데, 이 글자의 갑골문의 형태를 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갑니다. 그래도 모르시겠다구요? 그럼 위 고대 문자를 그림으로 표현해 보겠습니다. 네, 도성에 있는 큰 문을 뜻하는 글자인데, 점차 생략되면서 지금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서울, 도읍(都邑), 수도(首都)란 뜻이 있고, 크다, 높다란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필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흘려써서 행서와 초서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글자는 높을 고高나 정자 정亭과도 연관이 있는데, 다음 시간에 더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젖 유乳, 엄마가 아기에게 젖을 주는 모습. 한자사전, 한문사전

오늘 알아볼 한자는 젖 유乳자입니다. 한자의 모양만 얼듯 보아서는 젖이란 뜻을 유추하기 힘들텐데, 함께 알아봐요 ㅎㅎ 한자의 모습은 우선 아래와 같습니다. 맨 위에 爪 그 아래 子 그 옆에는 乙 맨 위에 爪는 엄마의 손을, 아래 子는 젖을 먹는 아이를, 그 옆에 乙은 엄마의 젖가슴의 모습입니다. 위 한자의 원시적 형태인 전서체를 볼까요... 위의 모습을 보면 엄마가 손으로 아들의 머리를 받치고서 젖을 먹이는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것을 볼 수 있는데, 고대에 이 글자를 어떻게 표현 했는지 한번 볼께요. 아기의 얼굴이 엄마의 젖가슴에 닿아 있는 모습이네요. 이보다 더 옛날의 글자를 볼께요. 그럼 그 모양이 더 명확해집니다. 엄마가 아들을 안고서 젖을 먹이는 모습이 보이시나요? 이제는 그림을 통해 좀 더 구체..

이 글자는 뭘까요? (한자사전, 한문사전, 갑골문, 금문, 서체사전)

이 글자는 뭘까요? 고대에 사용하던 문자인데, 얼핏 보아도 뭐를 그린 것인지 알겠지요? 네, 바로 물고기를 그린 그림으로, '물고기 어魚'의 고대글자입니다. 갑골문이라고 하지요. 그림과 글자의 중간에 위차한 글자로, 그 당시에 사용했던 물고기 어자는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물고기 모습을 세세하게 그린 것도 있고, 축약하고 생략하여 간단하게 그린 것도 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이후에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다채로웠던 글자체는 하나로 통일되게 됩니다. 그래서 몇몇 글자로 정형화되지요. 그러한 글자를 전서체라고 합니다. 글자에 가까운 상형문자라 해도 될 것예요. 전서체는 갑골문과 해서체의 중간에 위치하는 글자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리고 예서체와 해서체에 이르러 현대에 사용하는 글자체와 유사하게 변합니다..

보호할 보保자 설명, 한자 사전, 한문 사전, 서체 사전

보호할 보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자는 아버지가 아들을 업고 있는 모습으로, 아이를 돌보다, 보호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고대의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그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앞에 사람 인人은 아버지를 뒤에 아들 자子는 자녀를 뜻하며, 두 손으로 받쳐서 업고 있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위와 같은 고대의 문자에서 전서체와 예서체로 바뀌면서 현재 사용하는 한자의 형태와 유사해집니다. 그리고 중국 한나라 때에 이르러 해세체가 유행하며 현대 사용하는 保자의 형태를 완벽하게 갖추게 됩니다. 保자의 필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保자를 흘려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행서와 초서라고 하지요. 제가 수집하고 정리한 保자의 서체는 아래와 같습니다.

ai로 그린 그림으로 한자 설명하기, bing image creator,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오늘 설명할 한자는 새 추隹자입니다. 좀더 상세히 말하면 작은 새 추자입니다. 나뭇가지에 올라가 있는 작은 새의 모습, 한자로 옮기면, 모일 집集자와 같은 모습이겠네요. 나무에 새가 모여서 앉아 있다는 뜻의 한자 모일 집集, 학생 때나 군대에서 많이 듣던 집합 集合이란 말에 쓰이는 한자이기도 하지요. 지금 보니 옛 상형문자와 위의 그림이 매우 유사하네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