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필 2

조맹부 해서체 대학, 趙孟頫 楷書體 大學, 서예, 명필

이 책은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화가 조맹부(趙孟頫)가 대학(大學)의 정문을 해서체로 쓴 서책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대학은 덕이 높고 그릇이 큰 사람이 되기 위한 학문인 대인지학(大人之學)의 줄인 말로,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과 함께 사서(四書)라 불린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예기(禮記) 42편에 실려 있던 것을 송나라 때 주자(朱子)가 해설과 편집을 통해 한 권의 책으로 독립시켰다. 대학은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동양사상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필독서이자 입문서로, 자신의 내면을 닦고 나아가 사회를 바로잡..

고서와 그림 2023.07.02

조맹부서첩, 서예, 천관산제영(天冠山題詠), 송설도인, 송설재법서묵각, 명필

이는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서첩으로, 그가 지은 이란 시를 해서·행서·초서로 써서 비석에 새긴 것을 탁본하여 엮은 것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이 서첩은 조맹부가 천관산(天冠山)을 둘러보고 감흥이 일어서 지은 시와 발문이 있고, 맨 뒤에 명나라 중기의 문인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후서가 붙어 있다. 24수의 시가 있는데, 중국 천관산의 기암괴석과 명승지를 하나하나 시로 노래한 것이고, 발문과 후서에서는 시를 짓게 된 계기와 책을 엮은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이 책은 조맹부가 쓴 의 서첩을 복원한 것으로, 서명..

고서와 그림 2023.07.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