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예 4

조맹부 해서체 대학, 趙孟頫 楷書體 大學, 서예, 명필

이 책은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화가 조맹부(趙孟頫)가 대학(大學)의 정문을 해서체로 쓴 서책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대학은 덕이 높고 그릇이 큰 사람이 되기 위한 학문인 대인지학(大人之學)의 줄인 말로,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과 함께 사서(四書)라 불린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예기(禮記) 42편에 실려 있던 것을 송나라 때 주자(朱子)가 해설과 편집을 통해 한 권의 책으로 독립시켰다. 대학은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동양사상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필독서이자 입문서로, 자신의 내면을 닦고 나아가 사회를 바로잡..

고서와 그림 2023.07.02

조맹부서첩, 서예, 천관산제영(天冠山題詠), 송설도인, 송설재법서묵각, 명필

이는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서첩으로, 그가 지은 이란 시를 해서·행서·초서로 써서 비석에 새긴 것을 탁본하여 엮은 것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이 서첩은 조맹부가 천관산(天冠山)을 둘러보고 감흥이 일어서 지은 시와 발문이 있고, 맨 뒤에 명나라 중기의 문인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후서가 붙어 있다. 24수의 시가 있는데, 중국 천관산의 기암괴석과 명승지를 하나하나 시로 노래한 것이고, 발문과 후서에서는 시를 짓게 된 계기와 책을 엮은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이 책은 조맹부가 쓴 의 서첩을 복원한 것으로, 서명..

고서와 그림 2023.07.02

한자사전, 한문사전, "하늘 천天"자를 설명하다, 한자 서체, 한자검색

오늘 알아볼 한자는 하늘 천天이다. 이 글자는 본래 사람이 손을 크게 벌리고 있는 모습 위에 하나의 형이상학적 세계를 표현한 글자였다. 쉽게 말해 사람 위에 하나의 공간을 상정한 모습이다. 그래서 초기 한자에서는 큰 대大자 위에 원형이나 네모의 형태를 띤다. 마치 외계인을 연상시키는 모습이기도 하다. 아니면 사람과는 다른 존재, 더 큰 신적인 존재를 위와 같이 표현한 것이 아닌가란 생각도 들었다. 그러다가 점차 시간에 지나면서, 네모와 원형은 일직선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후 전서와 예서체에 이르러서는 지금의 한자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지금의 하늘 천자와 같은 형태를 갖게 된다. 하늘 천자를 표현한 여러 형태의 한자도 참고로 살펴 보자.

서예 용어 사전 (ㄱ-ㅎ), 한문사전, 한자사전

【가로쓰기】 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 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 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 간지에 쓴 편지글. 【갈필(渴筆)】 먹이 진하거나, 속도를 빨리 하여, 종이에 먹이 묻지 않는 흰 부분이 생기게 쓰는 필획. 【강약(强弱)】 필획의 표현이 강하고 약한 정도. 【강호(强豪)】 털의 성질이 강한 붓, 황모(黃毛), 낭호(狼豪), 서수(鼠鬚) 등으로 만들어진 것. 【개형(槪形)】 글자의 외형(外形). 【결구(結構)】 점, 획을 효과적으로 조화 있게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 【겸호(兼豪)】 강모(强毛)를 호의 가운데에 넣고 두 종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