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어 2

한문사전, 한문성어, 고사성어, 수능한문, 사자성어, 고등한문,

◎ 呵呵大笑【가가대소】 : 우스워서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출처 : 晉書) ◎ 可高可下【가고가하】 : 어진 사람은 지위의 상하를 가리지 않음을 이름.(출처 : 國語) ◎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에 부족함이 없음.(출처 : 漢書) ◎ 街談巷說【가담항설】 : 길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뜬소문. ◎ 家徒壁立【가도벽립】 : 집안에 세간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다만 사면에 벽만이 둘려 있을 뿐이라는 뜻. 집안이 가난함을 비유한 이다. ◎ 可東可西【가동가서】 : 동쪽이라도 좋고 서쪽이라도 좋다.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다. ◎ 苛斂誅求【가렴주구】 : 세금 등을 가혹하게 거둬들임. 또는, 그러한 혹정(酷政). ◎ 假弄成眞【가롱성진】 : 처음에 장난으로 한 일이 나중에 참인 것처럼..

한자상식, 속담 한자어, 우리말 속담 한자어, 한문사전, 한자어 모음

1.가게기둥에입춘 가가주입춘(假家柱立春) 2.가난구제는나라도못한다. 빈가지주 천자기우(貧家之주 天子其憂) 빈실구조국역난능(貧室救助國亦難能) 3.가난한놈소인된다 빈자소인(貧者小人) 4.가난한집의손님부엌엿본다. 객련주빈투안간주(客憐主貧偸安看廚) 5.가는말이고와야오는말이곱다. 거어고미 내어방호(去語固美 來語方好) 내어불미거어하미(來語不美去語何美) 6.가랑잎으로눈가리기 가엽차안(柯葉遮眼) 편엽장목위인막도(片葉障目謂人莫睹) 7.가르친사위 소교지서(所敎之壻) 8.가마솥밑이노구솥밑을검다한다. 부저소정저(釜底笑鼎底) 9.가뭄끝은있어도장마끝은없다. 한유유유노무여묘(旱有猶遺노無餘苗) 10.가뭄에콩나듯 한시태출(旱時太出) 11.가을에 내 아비 제사도 못 지내거든 봄에 의붓 아비 제사 지낼까 추미행지부공 우승춘재가행호 (秋未..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