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어사전 2

서예 용어 사전 (ㄱ-ㅎ), 한문사전, 한자사전

【가로쓰기】 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 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 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 간지에 쓴 편지글. 【갈필(渴筆)】 먹이 진하거나, 속도를 빨리 하여, 종이에 먹이 묻지 않는 흰 부분이 생기게 쓰는 필획. 【강약(强弱)】 필획의 표현이 강하고 약한 정도. 【강호(强豪)】 털의 성질이 강한 붓, 황모(黃毛), 낭호(狼豪), 서수(鼠鬚) 등으로 만들어진 것. 【개형(槪形)】 글자의 외형(外形). 【결구(結構)】 점, 획을 효과적으로 조화 있게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 【겸호(兼豪)】 강모(强毛)를 호의 가운데에 넣고 두 종류 ..

한국인의 자호 정리 (ㄱ), 한문사전, 한자사전, 인명사전

각민 覺敏(?-1615) : 호는 松坡. 각성 覺性(1575-1660) : 호는 碧巖. 각안 覺岸(1820-1896) : 호는 梵海. 자는 幻如. 각운 覺雲 : 호는 龜谷. . 각훈 覺訓 : 호는 高陽醉髡. 강겸 姜謙(1654-1703) : 자는 士益. 호는 南齋. 강경서 姜景叙(1443-1510) : 자는 子文. 호는 草堂. 강경선 姜景善 : 자는 元景. 호는 克齋. 강경선 姜敬善 : 자는 雲瑞. 강곽 姜漷 : 호는 俟翁. 강귀손 姜龜孫 : 자는 용휴. 강규 姜逵 : 자는 仲鴻. 호는 井田. 강규환 姜奎煥(1697-1731) : 자는 長文. 호는 存齋. 강극성 姜克誠(1526-1576) : 자는 伯實. 호는 保晩堂․醉竹. 강노 姜㳣(1809-1887) : 자는 期仲. 호는 豹雲․貞隱. 강담 姜紞 : 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