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호할 보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자는 아버지가 아들을 업고 있는 모습으로, 아이를 돌보다, 보호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고대의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그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앞에 사람 인人은 아버지를 뒤에 아들 자子는 자녀를 뜻하며, 두 손으로 받쳐서 업고 있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위와 같은 고대의 문자에서 전서체와 예서체로 바뀌면서 현재 사용하는 한자의 형태와 유사해집니다.
그리고 중국 한나라 때에 이르러 해세체가 유행하며 현대 사용하는 保자의 형태를 완벽하게 갖추게 됩니다.
保자의 필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保자를 흘려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행서와 초서라고 하지요.
제가 수집하고 정리한 保자의 서체는 아래와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한자 사전, 서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젖 유乳, 엄마가 아기에게 젖을 주는 모습. 한자사전, 한문사전 (20) | 2023.05.28 |
---|---|
이 글자는 뭘까요? (한자사전, 한문사전, 갑골문, 금문, 서체사전) (14) | 2023.05.19 |
ai로 그린 그림으로 한자 설명하기, bing image creator,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28) | 2023.05.10 |
고전 문헌에 나오는 한자 10000자의 빈도수 순위 (0) | 2023.05.07 |
우리나라 인명용 한자 정리, 파일을 다운 받아서 확인하세요.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