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알아볼 한자는 젖 유乳자입니다. 한자의 모양만 얼듯 보아서는 젖이란 뜻을 유추하기 힘들텐데, 함께 알아봐요 ㅎㅎ
한자의 모습은 우선 아래와 같습니다.
맨 위에 爪 그 아래 子 그 옆에는 乙
맨 위에 爪는 엄마의 손을, 아래 子는 젖을 먹는 아이를, 그 옆에 乙은 엄마의 젖가슴의 모습입니다. 위 한자의 원시적 형태인 전서체를 볼까요...
위의 모습을 보면 엄마가 손으로 아들의 머리를 받치고서 젖을 먹이는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것을 볼 수 있는데, 고대에 이 글자를 어떻게 표현 했는지 한번 볼께요.
아기의 얼굴이 엄마의 젖가슴에 닿아 있는 모습이네요. 이보다 더 옛날의 글자를 볼께요. 그럼 그 모양이 더 명확해집니다.
엄마가 아들을 안고서 젖을 먹이는 모습이 보이시나요? 이제는 그림을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한번 볼께요.
아마도 옛날에 젖이란 뜻을 한자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그림으로 나타냈을 것인데, 그 모양이 더욱 생략되고 간단해 지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을 변했을 것입니다. 다시 한번 한자를 연상해서 보기 위해 한자의 모양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드릴께요.
젖 유자의 필순은 다음과 같습니다.
젖 유 乳
728x90
반응형
'한자 사전, 서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연대표, 중국역사연표, 중국 국가 연표 (1) | 2023.06.06 |
---|---|
서울 경京자를 알아보자. 한자사전 한문사전 갑골문 서체 (8) | 2023.06.05 |
이 글자는 뭘까요? (한자사전, 한문사전, 갑골문, 금문, 서체사전) (14) | 2023.05.19 |
보호할 보保자 설명, 한자 사전, 한문 사전, 서체 사전 (12) | 2023.05.18 |
ai로 그린 그림으로 한자 설명하기, bing image creator,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 (28) | 202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