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세요. (1-35)
<例(예)> 讀音 → 독음
(1)寒害 (2)到着 (3)廣場 (4)黑白
(5)種類 (6)患者 (7)費用 (8)友情
(9)再建 (10)晝夜 (11)順序 (12)說明
(13)石炭 (14)溫室 (15)可決 (16)效果
(17)最初 (18)節約 (19)奉仕 (20)敗亡
(21)健兒 (22)幸福 (23)選擧 (24)速度
(25)病院 (26)要領 (27)調査 (28)課題
(29)善惡 (30)參席 (31)觀光 (32)俗流
(33)德談 (34)許可 (35)熱量
2.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세요.(36-59)
<例(예)> 字 → 글자 자
(36)操 (37)短 (38)湖 (39)筆
(40)賣 (41)敬 (42)養 (43)善
(44)災 (45)比 (46)選 (47)救
(48)勇 (49)寫 (50)圖 (51)船
(52)旅 (53)望 (54)領 (55)偉
(56)談 (57)査 (58)亡 (59)理
3. 다음 밑줄 친 漢字語를 漢字로 쓰세요. (60-75)
<例(예)> 한자 → 漢字
(60)노벨평화상은 세계평화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진다.
(61)작업을 할때에는 반드시 안전을 중요시 해야함.
(62)영어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 작문 숙제를 내 주셨다.
(63)우리집의 가훈은 정직이다.
(64)요즈음에는 일기를 쓰는 수가 줄어드는 추세라고 한다.
(65)우리의 소원은 남북통일이다.
(66)농촌에는 일을 할 젊은이들을 찾아 볼 수가 없다.
(67)이 서류에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하시오.
(68)서울에는 유명한 남대문 시장이 있다.
(69)부모님의 성함을 한자로 쓰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70)이 근처에 있는 주유소를 가르쳐 주세요.
(71)페스탈로찌는 교육의 아버지이다.
(72)동양과 서양은 문화면에서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73)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절은 인간의 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74)신문을 보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75)우리 가족 소개를 하겠습니다
4. 다음 訓과 音에 맞는 漢字를 쓰세요. (76-79)
<例(예)> 글자 자 → 字
(76)믿을 신 (77)다행 행
(78)아이 동 (79)이룰 성
5. 다음 한자와 뜻이 상대 또는 반대되는 한자를 쓰세요. (80-83)
<例(예)> 男 → (女)
(80)輕 ↔ ( ) (81)( ) ↔ 舊
(82)客 ↔ ( ) (83)春 ↔ ( )
6. 다음 ( )에 들어 갈 漢字를 <例>에서 골라 그 번호를 써서 漢字語를 만드세요. (84-88)
<例(예)> ① 獨 ② 案 ③ 小 ④ 有 ⑤ 少
⑥ 奉 ⑦ 級 ⑧ 給 ⑨ 動 ⑩ 通
(84)自( )自足 (85)父子( )親 (86)( )立萬歲
(87)交( )安全 (88)男女老( )
7. 다음 한자와 뜻이 같거나 뜻이 비슷한 한자를 예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세요.(89-91)
<例(예)> ① 競 ② 冷 ③ 春
④ 知 ⑤ 術 ⑥ 戶
(89)技 (90)爭 (91)識
8. 다음 한자어와 음은 같은데 뜻이 다른 한자어를 예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세요.(92-94)
<例(예)> ① 過去 ② 醫師 ③ 改善
④ 死戰 ⑤ 傳記 ⑥ 形相
(92)意思 (93)電氣 (94)事前
9. 다음 뜻에 맞는 漢字語를 <例>에서 찾아 그 번호를 쓰세요. (95-97)
<例(예)> ① 始終 ② 始作 ③ 展示
④ 戰時 ⑤ 打球 ⑥ 野球
(95)처음과 끝. (96)늘어놓아 보임. (97)공을 때리는 것.
10. 다음 한자의 약자(획수를 줄인 한자)를 쓰세요. (98-100)
<例(예)> 國 → 国
(98)會 (99)體 (100)學
1. 다음 한자어의 독음을 쓰세요. (1-35)
<例(예)> 讀音 → 독음
(1)着陸 (2)獨唱 (3)凶惡 (4)財産
(5)火災 (6)考案 (7)約束 (8)法則
(9)景致 (10)性質 (11)德望 (12)曜日
(13)運動 (14)責任 (15)商店 (16)祝福
(17)知識 (18)變化 (19)反對 (20)課題
(21)材料 (22)英雄 (23)洗手 (24)卓球
(25)傳說 (26)親切 (27)團結 (28)鐵道
(29)競爭 (30)操作 (31)藥局 (32)練習
(33)太陽 (34)開發 (35)飮料
2. 다음 한자의 훈과 음을 쓰세요. (36-59)
<例(예)> 字 → 글자 자
(36)島 (37)飮 (38)獨 (39)實
(40)思 (41)赤 (42)輕 (43)告
(44)根 (45)貯 (46)致 (47)溫
(48)橋 (49)祝 (50)基 (51)童
(52)新 (53)鼻 (54)旗 (55)農
(56)店 (57)相 (58)級 (59)觀
3. 다음 밑줄 친 漢字語를 漢字로 쓰세요. (60-75)
<例> 한자 → 漢字
(60)형제는 형과 아우를 가리킵니다.
(61)건강을 위해서 매일 산책을 합니다.
(62)체육시간에는 주로 운동을 합니다.
(63)길 좌우에 가로수가 서 있습니다.
(64)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
(65)부모님이 외출하십니다.
(66)선진국에서는 주민자치제도가 정착되어 있다.
(67)실내 공기가 혼탁할 때는 창문을 엽니다.
(68)교통수단이 있어서 편리하다.
(69)중추절은 추석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70)강산이 아름답습니다.
(71)사무실에는 예쁜 시계가 있습니다.
(72)동물원에 가보면 많은 동물을 볼 수 있습니다.
(73)학교에서 교육을 받습니다.
(74)8월 20일은 개교기념일입니다.
4. 다음 訓과 音에 맞는 漢字를 쓰세요. (75-79)
<例>(예) 글자 자 → 字
(75)효도 효 (76)움직일 동 (77)아침 조
(78)옷 복 (79)백성 민
5. 다음 한자와 뜻이 상대 또는 반대되는 한자를 쓰세요. (80-83)
<例(예)> 男(女)
(80)黑( ) (81)輕( ) (82)冬( ) (83)足( )
6. 다음 ( )에 들어 갈 漢字를 <例>에서 골라 그 번호를 써서 漢字語를 만드세요. (84-88)
<例(예)> ① 告 ② 李 ③ 獨 ④ 手 ⑤ 問
⑥ 里 ⑦ 古 ⑧ 聞 ⑨ 能 ⑩ 生
(84)東西( )今 (85)見物( )心 (86)東( )西答
(87)一瀉千( ) (88)自( )成家
7. 다음 한자와 뜻이 같거나 뜻이 비슷한 한자를 예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세요. (89-91)
<例(예)> ① 考 ② 己 ③ 話
④ 識 ⑤ 術 ⑥ 停
(89)思 (90)止 (91)談
8. 다음 한자어와 음은 같은데 뜻이 다른 한자어를 예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세요.(92-94)
<例(예)> ①事物 ②人生 ③士氣
④賢才 ⑤水族 ⑥質量
(92)事記 (93)現在 (94)手足
9. 다음 뜻에 맞는 漢字語를 <例>에서 찾아 그 번호를 쓰세요. (95-97)
<例> ① 明日 ② 思惟 ③ 今日
④ 醫院 ⑤ 事由 ⑥ 雪景
(95)눈이 내리는 경치 (96)일의 까닭 (97)오늘
10. 다음 한자의 약자(획수를 줄인 한자)를 쓰세요. (98-100)
<例(예)> 國 → 国
(98)號 (99)對 (100)數
<필순문제>
(1) 事 자의 갈구리 궐(亅)은 몇 번째에 쓰는지 번호로 답하시오.
① 1번째 ② 5번째 ③ 8번째 ④ 9번째
(2) 牛 자의 뚫을 곤(丨)은 몇 번째에 쓰는지 번호로 답하시오.
① 1번째 ② 2번째 ③ 3번째 ④ 4번째
다음 한자의 쓰는 순서가 올바를 것을 고르시오.
① 5-4-3-2-6-1-7
② 4-5-3-2-6-1-7
③ 5-6-1-7-4-3-2
④ 5-6-1-7-3-2-4
'한자 급수와 한자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5급, 한자어쓰기 연습 시험, 파일 다운로드 (0) | 2023.04.15 |
---|---|
한자급수, 한자 쓰기 필순의 원칙 정리 (0) | 2023.04.15 |
대한검정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5급, 한자 150자 (1) | 2023.04.15 |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5급, 한자쓰기연습, 한자쓰기 시험 (0) | 2023.04.15 |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5급, 사자성어 한자성어 (1)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