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학 2

사자소학(四字小學), 기초한문, 서당교육, 소학, 사자소학 한글 번역, 원문

사자소학(四字小學)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옛날에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엮은 기초 한문 학습서이다. 인간의 윤리도덕에 입각하여 소학(小學)과 기타 경전 가운데 어린이들이 알기 쉬운 내용만을 가려 뽑아서 사자일구(四字一句)로 엮었기 때문에 사자소학이라 한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사항들을 쉬운 문장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옛날 서당에서 초학자들에게 기초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모든 구절이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동들이 한문을 익히는 데 필요한 기초 학습서가 됨은 물론, 어린이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교육서로 애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의 서당 교육 과정 중 천자문을 떼고 난 다음, 명심보감을 배우기 전에..

小學, 소학, 동양고전, 동양철학, 중국고전, 중국문학, 서당교재, 전통한문, 한문교재

≪ 小學 ≫ -立敎,000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立敎,001 列女傳曰, 古者, 婦人妊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 不食邪味. 割不正不食. 席不正不坐. 目不視邪色. 耳不聽淫聲. 夜則令瞽誦詩. 道正事. 如此則生子, 形容端正. 才過人矣. -立敎,002 內則曰, 凡生子, 擇於諸母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愼而寡言者, 使爲子師. 子能食食敎以右手. 能言男唯女兪. 男鞶革, 女鞶絲. 六年敎之數與方名. 七年男女不同席, 不共食. 八年出入門戶及卽席飮食, 必後長者, 始敎之讓. 九年敎之數日. 十年出就外傅, 居宿於外, 學書計, 衣不帛襦袴, 禮帥初, 朝夕學幼儀, 請肄簡諒. 十有三年學樂誦詩, 舞勺, 成童舞象, 學射御. 二十而冠, 始學禮,..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