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교양(사서삼경, 제자백가)

啓蒙篇, 계몽편 해제, 계몽편 원문, 계몽편 한글 번역, 서당교육, 한문 기초

일이삼선생 2023. 7. 1. 22:08
반응형

계몽편(啟蒙萹) 해제

 

조선시대 초학 아동을 위한 학습서로, 저자나 간행 연대 미상이다. 조선시대 때 서당이나 향교에서 학동들에게 글을 가르칠 때, 먼저 천자문(千字文)이나 유합(類合)으로 한자(漢字)를 익히게 한 다음, 교훈적인 교재로서 이 계몽편이나 동몽선습(童蒙先習)을 가르쳤다.

구성은 수편(首篇)천편(天篇)지편(地篇)물편(物篇)인편(人篇) 5편으로 되어 있다. 수편에는 천지만물일월성신강해산악(江海山岳) 등의 자연현상과 군신장유부부붕우 등 인륜에 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천편에는 우주와 천체에 관한 해설과 10(十干)12(十二支) 등의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 지편에서는 오악사해(五岳四海)에 관한 소개와 구름안개서리 등의 자연현상을 음양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물편에서는 동식물을 그 속성과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제시하였으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촉하는 음식그릇과실꽃 등이 서술되어 있다. 인편에서는 부모형제부부군신붕우종족 등 인간관계의 예의와 존대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啓蒙篇

 

首 篇

 

上有天하고 下有地하니

天地之間 有人焉하고 有萬物焉하니

日月星辰者 天之所係也

江海山嶽者 地之所載也

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者 人之大倫也

 

위에는 하늘이 있고 아래에는 땅이 있으니,

하늘과 땅 사이에 사람이 있고, 만물이 있다.

해와 달과 별은 하늘이 매달고 있는 것이고,

강과 바다와 산은 땅이 싣고 있는 것이고,

부자군신부부장유붕우는 사람의 커다란 윤리이다.

 

以東西南北으로 定天地之方하고

以靑黃赤白黑으로 定物之色하고

以酸鹹辛甘苦 定物之味하고

以宮商角徵羽 定物之聲하고

以一二三四五六七八九十百千萬億으로 總物之數

 

북으로 천지의 방위를 정하고,

청색황색적색백색으로 만물의 색을 정하고,

신맛짠맛매운맛단맛쓴맛으로 만물의 맛을 정하고,

우로 만물의 소리를 정하고,

억으로 만물의 수를 다한다.

 

首篇이라

이상은 수편이다.

 

 

 

天 篇

日出於東方하여 入於西方하니

日出則爲晝 日入則爲夜夜則月星 著見焉하나니

 

해는 동쪽에서 나와 서쪽으로 들어간다.

해가 나오면 낮이 되고, 해가 들어가면 밤이 되니, 밤에는 달과 별이 나타난다.

 

天有緯星하니 金木水火土五星 是也

有經星하니 角亢氐房心尾箕, 斗牛女虛危室壁, 奎婁胃昴畢觜參, 井鬼柳星張翼軫二十八宿 是也

 

하늘에는 위성(緯星)이 있으니 금성(金星)목성(木星)수성(水星)화성(火星)토성(土星)의 다섯 별이 이것이고, 또 경성(經星)이 있으니 각수(角宿)항수(亢宿)저수(氐宿)(房宿)심수(心宿)미수(尾宿)기수(箕宿)두수(斗宿)우수(牛宿)여수(女宿)허수(宿)위수(危宿)실수(室宿)벽수(壁宿)규수(奎宿)누수(婁宿)위수(胃宿)(昴宿)(畢宿)자수(觜宿)삼수(參宿)정수(井宿)귀수(鬼宿)유수(柳宿)성수(星宿)장수(張宿)익수(翼宿)진수(軫宿)의 이십팔수(二十八宿)가 이것이다.

사궁 사신 이십팔수
청룡 ()()()()()()()
백호 ()()()()()()()
주작 ()()()()()()()
현무 ()()()()()()()

 

一晝夜之內 有十二時하니

十二時會而爲一日하고

三十日 會而爲一月하고

十有二月 合而成一歲

月或有小月하니小月則二十九日 爲一月이요

歲或有閏月하니 有閏則十三月 成一歲

 

하루 낮과 밤 안에 12()가 있으니,

12시가 모여서 하루가 되고,

30()이 모여서 한 달이 되고,

열두 달이 모여서 1()을 이룬다.

달에는 혹 작은 달이 있으니 작은 달은 29일이 한 달이 되고,

1년에는 혹 윤달(閏月-남는 달)이 있는데, 윤달이 있으면 13개월이 1년이 된다.

 

十二時者 卽地之十二支也所謂十二支者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也

天有十干하니 所謂十干者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也

 

12시라는 것은 곧 땅의 십이지(十二支)이니, 이른바 십이지라는 것은 자해이고,

하늘에는 십간(十干)이 있으니, 이른바 십간이라는 것은 갑계이다.

 

天之十干 與地之十二支 相合而爲六十甲子하니

所謂六十甲子者 甲子乙丑丙寅丁卯 至壬戌癸亥 是也

 

하늘의 십간(十干)이 땅의 십이지(十二支)와 더불어 서로 합해서 육십갑자(六十甲子)가 되는데, 이른바 육십갑자라는 것은 갑자을축병인정묘에서부터 임술계해에 이르기까지가 이것이다.

 

十有二月者 自正月二月至十二月也

一歲之中 亦有四時하니 四時者 春夏秋冬 是也

 

열두 달이란 정월이월에서부터 십이월에 이르기까지이다.

1년 중에 또한 사시(四時)가 있으니, 사시란 봄여름가을겨울이 이것이다.

 

以十二月 分屬於四時하니

正月二月三月 屬之於春하고

四月五月六月 屬之於夏하고

七月八月九月 屬之於秋하고

十月十一月十二月 屬之於冬하니

晝長夜短而天地之氣大暑 則爲夏하고

夜長晝短而天地之氣大寒이면 則爲冬이니

春秋則晝夜長短 平均하되 而春氣 微溫하고 秋氣 微涼이니

 

열두 달을 사시(四時)에 나누어 배속시키는데,

정월이월삼월은 봄에 속하고,

사월오월유월은 여름에 속하고,

유월칠월팔월은 가을에 속하고,

시월십일월십이월은 겨울에 속한다.

낮이 길고 밤이 짧으면서 천지의 기온이 크게 더우면 여름이 되고,

밤이 길고 낮이 짧으면서 천지의 기온이 크게 차가우면 겨울이 된다.

봄과 가을은 낮과 밤의 길고 짧음이 고루 같은데 봄의 기온은 조금 따듯하고, 가을의 기온은 조금 서늘하다.

 

春三月盡이면 則爲夏하고

夏三月盡이면 則爲秋하고

秋三月盡이면 則爲冬하고

冬三月盡이면 則復爲春이니

四時相代而歲功成焉이니

 

봄 석 달이 다하면 여름이 되고,

여름 석 달이 다하면 가을이 되며,

가을 석 달이 다하면 겨울이 되고,

겨울 석 달이 다하면 다시 봄이 되니,

사시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한 해의 일이 이루어진다.

 

春則萬物始生하고

夏則萬物長養하고

秋則萬物成熟하고

冬則萬物閉藏하나니

然則萬物之所以生長收藏 無非四時之功也

 

봄에는 만물이 처음 생겨나고,

여름에는 만물이 성장하고 자라나며,

가을에는 만물이 성숙하고,

겨울에는 만물이 감추어진다.

따라서 만물이 생겨나서 자라나며, 거두어지고 감추어지는 것이 사시의 공이 아닌 것이 없다.

 

天篇이라

 

 

 

地 篇

 

地之高處便爲山이요

地之低處便爲水

水之小者 謂川이요

水之大者 謂江이요

山之卑者 謂丘

山之峻者 謂岡이니

 

땅의 높은 곳이 곧 산이 되고,

땅의 낮은 곧이 곧 물이 된다.

물이 작은 것을 냇물이라고 하고,

물이 큰 것을 강이라고 한다.

산이 낮은 것을 언덕이라고 하고,

산이 높은 것을 등성이라고 한다.

 

天下之山 莫大於五嶽하니 五嶽者 泰山嵩山衡山恒山華山也

天下之水 莫大於四海하니 四海者 東海西海南海北海也

 

천하의 산이 오악(五嶽)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오악이란 태산숭산형산항산화산이다.

천하의 물이 사해(四海)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사해란 동해서해남해북해이다.

 

山海之氣 上與天氣相交 則興雲霧하고 降雨雪하며 爲霜露하고 生風雷

 

산과 바다의 기운이 올라가 하늘의 기운과 서로 사귀면 구름과 안개를 일으키고 비와 눈을 내리며, 서리와 이슬이 되고 바람과 우레를 발생한다.

 

暑氣蒸鬱이면 則油然而作雲하여 沛然而下雨하고

寒氣陰凝이면 則露結而爲霜하고 雨凝而成雪이라

春夏 多雨露하고

秋冬 多霜雪하니

變化莫測者 風雷也

 

더운 기운이 쩌서 막히게 되면 뭉게뭉게 구름을 일으켜 좍좍 비가 내리고, 찬 기운이 추워져 응결되면 이슬이 맺혀 서리가 되고, 비가 응결되어 눈을 이룬다. 그러므로 봄과 여름에는 비와 이슬이 많고, 가을과 겨울에는 서리와 눈이 많은데, 변화를 헤아릴 수 없는 것은 바람과 우레이다.

 

古之聖王 畫野分地하여 建邦設都하시니

四海之內 其國有萬이요

而一國之中 各置州郡焉하고

州郡之中 各分鄕井焉하며

爲城郭하여 以禦寇하고

爲宮室하여 以處人하고

爲耒耜하여 敎民耕稼하고

爲釜甑하여 敎民火食하고

作舟車하여 以通道路하시니

 

옛날의 성왕(聖王)이 들을 구획하고 토지를 나누어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였으니,

사해(四海)의 안에 그 나라가 만 개나 있고,

한 나라의 안에 각각 주()와 군()을 설치하고,

주와 군의 안에 각각 향()과 정()을 나누었으며,

성곽을 만들어 도적을 막고,

궁실을 만들어 사람들을 거처하게 하고,

쟁기와 보습을 만들어 백성들에게 밭갈고 곡식 심는 것을 가르치고,

가마솥과 시루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불로 익혀 먹는 것을 가르치고,

배와 수레를 만들어 도로를 통하게 하였다.

 

金木水火土在天 爲五星이요 在地 爲五行이니

以爲器하고 以爲宮하고 穀生於土하여 取水火爲飮食하니

則凡人日用之物 無非五行之物也

 

토가 하늘에 있으면 오성(五星)이 되고, 땅에 있으면 오행(五行)이 된다. 금은 그릇을 만들고, 나무는 집을 만들고, 곡식은 흙에서 나와 물과 불을 취해서 음식을 만드니, 모든 사람들이 날마다 사용하는 물건은 오행의 물건이 아님이 없다.

 

五行 固有相生之道하니

金生水하고 水生木하고 木生火하고 火生土하고 土生金하고 金復生水하니

五行之相生也無窮하여 而人用不竭焉이니

 

오행은 본래 서로 생하는相生도가 있으니, 금은 물을 낳고, 물은 나무를 낳고, 나무는 불을 낳고, 불은 흙을 낳고, 흙은 금을 낳고 금은 다시 물을 낳으니, 오행이 상생하는 것은 끝이 없어서 사람들이 사용함에 다함이 없다.

 

五行 亦有相克之理하니

土克水하고 水克火하고 火克金하고 金克木하고 木克土하고 土復克水하니

乃操其相克之權하여 能用其相生之物者 是人之功也

 

오행은 또한 서로 이기는相克이치가 있으니,

흙은 물을 이기고, 물은 불을 이기고, 불은 쇠를 이기고, 쇠는 나무를 이기고, 나무는 흙을 이기고, 흙은 다시 불을 이기니,

그 서로 이기는 권세를 잡아 서로 생하는 물건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사람의 공로이다.

 

地篇이라

 

 

 

物 篇

 

天地生物之數 有萬其衆이로되

而若言其動植之物이면 則草木禽獸蟲魚之屬 最其較著者也

 

천지가 만물을 낳는 수는 그 많기가 만 가지나 있는데,

동물과 식물로 말할 것 같으면 초목금수벌레와 물고기의 등속이 가장 명백하게 드러난 것들이다.

 

飛者 爲禽이요 走者 爲獸 鱗介者 爲蟲魚 根植者 爲草木이니

 

나는 것은 새가 되고, 달리는 것은 짐승이 되고 비늘과 껍질이 있는 것은 벌레와 물고기가 되고, 뿌리로 심겨진 것은 초목이 된다.

 

飛禽 卵翼하고

走獸 胎乳하며

飛禽 巢居하고

走獸 穴處하며

蟲魚之物 化生者最多而亦多生於水濕之地

 

나는 새는 알을 낳아 날개로 품고, 달리는 짐승은 태로 낳아 젖을 먹이며, 나는 새는 둥지에서 살고, 달리는 집승은 굴에서 살며, 벌레와 물고기들은 변화하여 생기는 것이 가장 많은데, 또한 물과 습한 땅에서 많이 자란다.

 

春生而秋死者 草也

秋則葉脫而春復榮華者 木也

其葉蒼翠 其花五色이니

其根深者 枝葉 必茂하고

其有花者 必有實이니

 

봄에 낳아서 가을에 죽는 것은 풀이고,

가을이면 잎이 졌다가 봄에 다시 꽃이 피는 것은 나무이다.

그 잎이 푸르고 그 꽃이 오색이니,

그 뿌리가 깊은 것은 가지와 잎이 반드시 무성하고,

그 꽃이 있는 것은 반드시 열매를 맺는다.

 

虎豹犀象之屬 在於山하고

牛馬鷄犬之物 畜於家하니

牛以耕墾이요 馬以乘載 犬以守夜 鷄以司晨이요 犀取其角이요 象取其牙 虎豹 取其皮

 

호랑이표범물소코끼리의 등속은 산에 있고,

개의 동물은 집에서 기르니,

소로써 밭을 갈고, 말로써 타거나 짐을 싣고, 개로써 밤을 지키고, 닭으로써 새벽을 맡게 한다. 물소에게서는 그 뿔을 취하고, 코끼리에게서는 그 어금니를 취하고, 호랑이와 표범에게서는 그 가죽을 취한다.

 

山林 多不畜之禽獸하고

川澤 多無益之蟲魚

人以力殺하고 人以智取하여

或用其毛羽骨角하고 或供於祭祀賓客飮食之間이니

 

산과 숲에는 기를 수 없는 새와 짐승이 많고,

냇물과 연못에는 무익한 벌레와 물고기가 많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힘으로 죽이고, 사람들이 지혜로 취해서

혹은 그것들의 털깃털뿔 등을 이용하고, 혹은 제사와 손님에게 음식을 접대할 때에 제공하기도 한다.

 

走獸之中 有麒麟焉하고

飛禽之中 有鳳凰焉하고

蟲魚之中 有靈龜焉하고 有飛龍焉하니

此四物者 乃物之靈異者也

或出於聖王之世하나니

 

달리는 짐승 중에 기린이 있고,

나는 새 중에 봉황이 있으며,

벌레와 물고기 중에 신령스러운 거북이 있고 나는 용이 있다.

이 네 가지 동물은 곧 만물 중에서 신령스럽고 영특한 것이다.

그러므로 혹 성왕(聖王)의 세상에 나오는 것이다.

 

稻粱黍稷 祭祀之所以供粢盛者也

豆菽麰麥之穀 亦無非養人命之物이라

百草之中 穀植 最重이요

犯霜雪而不凋하고 閱四時而長春者松柏也衆木之中松柏最貴니라

 

기장피는 제사의 제물로 바치는 것이요,

보리 등의 곡식은 또한 사람의 목숨을 기르는 물건이 아닌 것이 없다.

그러므로 많은 풀 가운데 곡식이 가장 중요하다.

서리와 눈의 침범을 받고도 마르지 아니하고, 사시(四時)를 지나도 항상 봄처럼 푸른 것은 소나무와 잣나무이기 때문에 많은 나무 가운데 소나무와 잣나무가 가장 귀하다.

 

梨栗枾棗之果 味非不佳也로되 其香芬芳이라 果以橘柚爲珍하고

蘿蔔蔓菁諸瓜之菜種非不多也로되 其味辛烈이라 菜以芥薑爲重하나니

 

대추 등의 과실이 맛이 아름답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 향기가 짙기 때문에 과실은 귤과 유자를 보배로 여긴다.

순무와 여러 가지 오이의 채소는 종류가 많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 맛이 매우 맵기 때문에 채소는 겨자와 생강을 귀중하게 여긴다.

 

水陸草木之花 可愛者甚繁이로되

而陶淵明 愛菊하고

周濂溪 愛蓮하고

富貴繁華之人 多愛牧丹하나니

淵明 隱者 人以菊花 比之於隱者하고

濂溪 君子 人以蓮花 比之於君子하고

牧丹 花之繁華者 人以牧丹으로 比之於繁華富貴之人이니

 

물이나 뭍에 있는 풀이나 나무의 꽃 중에는 사랑할 만한 것이 매우 많다.

도연명(陶淵明)은 국화를 사랑하였고,

주염계(周濂溪)는 연꽃을 사랑하였고,

부귀하고 번화한 사람들은 많이들 모란을 사랑한다.

도연명은 은자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국화로써 은자에 비유하고,

주염계는 군자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연꽃으로써 군자에 비유하고,

모란은 꽃 중에서 가장 번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모란으로써 부귀하고 화려한 사람에게 비유한다.

 

物之不齊 乃物之情이라

以尋丈尺寸으로 度物之長短하고

以斤兩錙銖 稱物之輕重하고

以斗斛升石으로 量物之多寡

 

만물이 똑같이 아니한 것이 바로 만물의 실정이다.

그러므로 심()()()()으로 사물의 길고 짧음을 헤아리고,

()()()()로 사물의 가볍고 무거움을 재고,

()()()()으로 사물의 많고 적음을 헤아린다.

 

算計萬物之數 莫便於九九하니

所謂九九者 九九八十一之數也

 

만물의 수를 계산하는 것은 구구단보다 편한 것이 없다. 이른바 구구단이라는 것은 九九八十一(9×9=81)의 수이다.

 

物篇이라

 

 

 

人 篇

 

萬物之中 惟人 最靈하니

有父子之親하며

有君臣之義하며

有夫婦之別하며

有長幼之序하며

有朋友之信이니

 

만물 가운데 오직 사람이 가장 영특하기 때문에

부자간의 친함이 있으며,

군신간의 의리가 있으며,

부부간의 구별이 있으며,

장유간의 차례가 있으며,

붕우간의 신의가 있다.

 

生我者爲父母

我之所生 爲子女

父之父爲祖

子之子爲孫이요

與我同父母者爲兄弟

父母之兄弟爲叔이요

兄弟之子女爲姪이요

子之妻爲婦

女之夫爲婿

 

나를 낳은 자는 부모가 되고,

내가 낳은 자가 자녀가 되고,

아버지의 아버지는 할아버지가 되고,

아들의 아들이 손자가 된다.

나와 더불어 부모를 함께하는 자는 형제가 되고,

부모의 형제는 아저씨가 되고,

형제의 자녀는 조카가 되고,

아들의 아내는 며느리가 되고,

딸의 남편은 사위가 된다.

 

有夫婦然後 有父子하니 夫婦者 人道之始也

古之聖人 制爲婚姻之禮하여 以重其事하시니

 

부부가 있은 뒤에야 부자가 있으니, 부부는 사람의 도리의 시초이다.

그러므로 옛날의 성인이 혼인하는 예를 만들어 그 일을 중하게 하신 것이다.

 

人非父母 無從而生이요

且人生三歲然後 始免於父母之懷

欲盡其孝 則服勤至死하고 父母沒이면 則致喪三年하여 以報其生成之恩이니

 

사람은 부모가 아니면 어디서부터이든 태어날 수 없고,

또 사람은 낳은 지 세 살이 된 뒤라야 비로소 부모의 품을 벗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그 효도를 극진하게 하고자 한다면 부지런하게 힘써 죽음에 이를 정도가 되어야 하고, 부모가 돌아가시면 3년상을 지극히 해서 부모께서 낳고 길러주신 은혜에 보답해야 된다.

 

耕於野者 食君之土하고

立於朝者 食君之祿이니

固非父母則不生이요 亦非君則不食이라

臣之事君 如子之事父하여 唯義所在 則舍命效忠이니

 

들에서 밭을 가는 자는 임금의 토지를 갈아 먹고, 조정에 서 있는 자는 임금의 녹을 먹는다. 사람은 진실로 부모가 아니면 태어나지 못하고, 또한 임금이 아니면 먹지 못한다. 그러므로 신하는 임금을 섬기기를 자식이 어버이를 섬기는 것과 같이 해서, 오직 의리가 있는 곳에는 목숨을 버리고 충성을 바쳐야 하는 것이다.

 

人於等輩尙不可相踰어든

況年高於我하고 官貴於我하고 道尊於我者乎

在鄕黨則敬其齒하고 在朝廷則敬其爵하며 尊其道而敬其德是禮也

 

사람은 같은 또래에게도 오히려 서로 넘어서는 안되는데,

하물며 나이가 나보다 많고 벼슬이 나보다 귀하고 도()가 나보다 높은 자에게 있어서랴!

그러므로 향당(鄕黨)에 있어서는 그 나이를 공경하고, 조정에 있어서는 그 벼슬을 공경하며, 그 도를 높이고 그 덕을 공경하는 것, 이것이 예이다.

 

曾子曰 君子 以文會友하고 以友輔仁이라하시니

蓋人不能無過而朋友有責善之道

人之所以成就其德性者固莫大於師友之功이라

雖然이나 友有益友하고 亦有損友하니 取友 不可不端也

 

증자가 말씀하시기를 군자는 글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인을 돕는다고 하셨다.

대개 사람이란 허물이 없을 수 없지만, 친구 사이라면 선을 책하는 도리가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덕성을 성취하게 되는 것으로는 진실로 스승과 벗의 공보다 더 큰 것이 없다.

비록 그렇지만 벗에는 유익한 벗이 있고, 또한 손해되는 벗도 있으니, 벗을 취하기를 단정하게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同受父母之餘氣하여 以爲人者 兄弟也

且人之方幼也 食則連牀하고 寢則同衾하여 共被父母之恩者 亦莫如我兄弟也

愛其父母者 亦必愛其兄弟

 

함께 부모의 남은 기운을 받아서 사람이 된 자가 형제이다.

또 사람이 아직 어렸을 때에 밥을 먹을 때에는 상을 연하고, 잠을 잘 때에는 이불을 같이 하면서 함께 부모의 은혜를 입은 자로는 또한 나의 형제 만한 이가 없다.

그러므로 그 부모를 사랑하는 자는 또한 반드시 그 형제를 사랑하는 것이다.

 

宗族 雖有親疎遠近之分이나

이나 推究其本하면 則同是祖先之骨肉이니

苟於宗族 不相友愛하면 則是忘其本也

人而忘本이면 家道漸替

 

종족(宗族)은 비록 친하고 소원(疎遠)하며, 멀고 가까운 구분이 있지만,

그러나 그 근본을 미루어 연구해 보면 똑같은 선조의 골육이니

만일 종족에 대해서 서로 우애하지 않는다면 이것은 그 근본을 잊는 것이다.

사람으로서 근본을 잊으면 가도(家道)는 점점 침체될 것이다.

 

父慈而子孝하며

兄愛而弟敬하며

夫和而妻順하며

事君忠而接人恭하며

與朋友信而撫宗族厚

可謂成德君子也

 

아버지는 사랑하고 아들은 효도하며,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경하며,

남편은 온화하고 아내는 순하며,

임금을 섬기기를 충성스럽게 하고 사람을 대하기를 공손하게 하며,

친구와 사귀기를 신의있게 하고 종족을 어루만지기를 후하게 하면,

덕을 이룬 군자라고 말할 수 있다.

 

凡人稟性 初無不善하여

愛親敬兄忠君弟長之道 皆已具於吾心之中하니

固不可求之於外面이요 而惟在我力行而不已也

 

모든 사람의 타고난 성품이 처음부터 착하지 않음이 없어,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경하며, 임금에게 충성하고 어른을 공경하는 도리가 모두 이미 내 마음 가운데 갖추어져 있으니,

진실로 외면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내가 힘써 행하여 그치지 않음에 달려 있을 뿐이다.

 

人非學問이면 固難知其何者爲孝何者爲忠이며 何者爲弟何者爲信이라

必須讀書窮理하여 求觀於古人하고

體驗於吾心하여 得其一善하여 勉行之

則孝弟忠信之節 自無不合於天敍之則矣

 

사람은 학문이 아니면 진실로 그 어떤 것이 효도가 되며, 어떤 것이 충성이 되며, 어떤 것이 공손함이 되며, 어떤 것이 신의가 되는지 알기 어렵다.

그러므로 반드시 책을 읽고 이치를 궁구해서 옛 사람에게서 구하여 관찰하고,

내 마음에서 체험하여 그 한가지 선()을 얻어 그것을 힘써 행하면,

효제충신(孝弟忠信)의 일이 스스로 하늘의 질서의 법칙에 맞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收斂身心 莫切於九容하니

所謂九容者 足容重하며 手容恭하며 目容端하며 口容止하며 聲容靜하며 頭容直하며 氣容肅하며 立容德하며 色容莊이니

 

이 몸과 마음을 수렴하는 것은 구용(九容)보다 더 절실한 것이 없으니,

이른바 구용이란, 발 모양은 무겁고, 손 모양은 공손하며, 눈 모양은 단정하고, 입모양은 그치며, 소리의 모양은 고요하고, 머리 모양은 곧으며, 숨쉬는 모양은 엄숙하고, 서 있는 모양은 덕스러우며, 안색의 모양은 씩씩한 것이다.

 

進學益智 莫切於九思하니

所謂九思者 視思明하며 聽思聰하며 色思溫하며 貌思恭하며 言思忠하며 事思敬하며 疑思問하며 忿思難하며 見得思義

 

학문에 나아가고 지혜를 더함에는 구사(九思)보다 더 절실한 것이 없으니,

이른바 구사란 볼 때에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며, 들을 때에는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며, 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용모는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말은 성실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며, 의심나는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며, 분노가 날 때에는 어려울 것을 생각하며, 얻을 것을 보면 의()를 생각하는 것이다.

 

人篇이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