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골문 13

한자사전, 한문사전, "거북 구龜"자를 설명하다, 한자 서체, 한자검색

고대의 구‘龜’자는 거북이의 옆 모습을 그대로 표현한 글자입니다. 거북이는 옛부터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로, 천여 년을 살 수도 있다고 하지요. 최초의 한자인 갑골문과도 연관이 깊은데, 실제로 우리가 볼 수 있는 최초의 한자는 거북의 껍질과 동물의 뼈 위에 새겨진 것이다. 그럼 거북 구자가 어떻게 해서 현재 龜의 모양을 갖추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갑골문에서는 여러 형태의 글자 모양을 갖추다가, 전서에 이르러서 정형화된 모양을 갖추게 됩니다. 전서체에서 예서체로 넘어가면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거북 구자의 모양을 갖추게 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거북 구자의 모습은 거북의 옆모습을 그대로 본 따서 만든 글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등껍질과 다리 그리고 꼬리, 등껍질 밖으로 내빈 머리를 그대..

한자사전, 한문사전, "사슴 록鹿"자를 설명하다, 한자 서체, 한자검색

오늘은 "사슴 록鹿"에 대해서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鹿'자는 뿔이 긴 숫사슴의 옆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사슴은 네발 달린 짐승 중에서는 유일하게 십장생(十長生)에 포함될 정도로 장수를 상징하며, 역사적으로 상서로운 동물 중 하나로 꼽혀왔습니다. 중국을 상징하는 용의 뿔도 사슴의 뿔로 표현하고 있을 만큼 사슴은 신비로운 짐승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사슴을 간단히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은 모습이고, 이것을 고대에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그 아래와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전서체에 이르러서, 현재 모습의 한자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고, 예서체로 변화되게 됩니다. 위에 전서체 한자를 보면, 과거 그림에 가까운 갑골문의 상형문자와 현재 사용하는 한자의 중간 단계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

한자 사전, 코끼리 상象자를 설명하다. 갑골문, 금문, 전서로 설명하다.

한자 사전, 코끼리 상象자가 왜 지금과 같은 모양이 되었는지, 알아봅시다. 원시인들이 코끼리를 처음 보았을 때 그 충격과 공포와 경외감은 이루 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코끼리를 보고서, 이것을 보지 못한 부족민들에게 설명을 하였을 것인데, 말과 그림으로 표현했을 것입니다. 그중에서 그림으로 표현한 것들이 아래와 같습니다. 이러한 그림들은 개인의 그림 실력에 따라 천차만별로 표현이 되었을 것인데, 시간이 지나며, 정형화되고 간단해지기 시작했을 것입니다. 이제 그림에서 문자화되는 과정이 펼쳐질 것인데, 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문자는, 즉 상형문자는 동물의 뼈나 청동기 그릇에 새겨졌습니다. 그러면서 더욱 정형화되고 단순화 되어, 다음과 같은 문자의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위 서체를 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