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불교 5

관음예문(觀音禮文)

관음예문 觀音禮文 절이 관음보살 과만삼기 공원십지 주미타극락지국 호보광공덕지존 竊以 觀音菩薩 果滿三祇 功圓十地 住彌陀極樂之國 號普光功德之尊 시무외어 사바계중 현권위어 보타산상 정선취발 교천서지청라 施無畏於 娑婆界中 現權威於 補陀山上 頂旋翠髮 晈千緖之靑螺 신패원광 담일륜지명월 혹현십이면지기특 묘상원명 혹현일천비지장엄 身佩圓光 湛一輪之明月 或現十二面之奇特 妙相圓明 或現一千臂之莊嚴 위신현환 기유군생감소 중고영전 흥일념지귀의 비천앙이진멸 威神顯煥 其有群生感召 衆苦縈纏 興一念之歸依 俾千央而殄滅 어시 법운법우 청량어삼계지중 계향정향 분복어시방지내 자비약수 於是 法雲法雨 淸凉於三界之中 戒香定香 芬馥於十方之內 慈悲若水 세척진몽 지혜여도 단제원결 洗滌塵蒙 智慧如刀 斷除寃結 시일是日정헌엄숙 금수분방 서기인온 향분복욱 연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법화경, 채색, 그림 법화경.

묘법연화경은, 통상 법화경이라 이르는데, 법화삼부경의 하나로,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이다.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전 8권 28품.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경전 첫 장에 있는 변상도이다. 규모가 거대하며, 화려하네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제1권 1. 서품(序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耆闍崛山) 가운데서 큰 비구 대중 1만 2천 인과 함께 계셨다. 이들은 다 아라한(阿羅漢)으로서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여 다시는 번뇌가 없고 자신의 이로움을 얻었으며, 모든 존재[有]의 결박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에 자유로움을 얻은..

고서와 그림 2023.05.25

불교용어사전 (하), 한문사전, 한자사전

하(訶) : 【범】 Ha [하](또는 賀ㆍ呵ㆍ欨ㆍ歌). 실담(悉曇) 50자문(字門)의 하나. 일체법인불가득(一切法因不可得)의 뜻, 또는 해번뇌이욕(害煩惱離欲)의 소리라고도 함. 이것은 하(訶)로써 비로소 인(因)의 뜻을 가진 범어 계달박(係怛嚩, Hetavas), 또는 해(害)의 뜻을 가진 범어 하타 Hata에서 해석한 것. 옛부터 이것을 인업(因業)의 하(訶)자라 함. 하(夏) : 4.16~7.15(또는 5.16~8.15)의 여름 90일 동안, 이 시기는 인도의 장마철(雨期). 비가 많이 와서 비구들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밥을 빌기가 어려우므로, 한 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수행함. 이것을 하안거(夏安居)ㆍ우안거(雨安居)ㆍ하좌(夏坐)ㆍ하행(夏行)ㆍ하롱(夏籠)이라고도 하며, 이 하안거에 들어가는 것을 ..

불교용어사전 (다)

다(多) : 【범】 t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哆ㆍ怛ㆍ橠) 일체법여여불가득(一切法如如不可得)의 뜻, 진여무간단(眞如無間斷)의 소리라 한다. 이는 진여의 뜻을 가진 범어 tathatā에서 해석한 것. 다(茶) : 【범】 ḍha (1)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搽ㆍ袒) 일체법집지불가득(一切法執持不可得)의 뜻, 일체경계부정(一切境界不淨)의 소리라 한다. 집지(執持)는 범어 dhaṅka에서 해석한 것. 다(茶) : (2) 『반야경(般若經)』에 말한 42자문의 맨 끝 범자(梵字). 이 글자를 자모(字母)의 구경(究竟)이라 하여 이 글자를 지나서는 다시 글자가 없다고 함. 그러므로 남악 혜사(南嶽慧思)는 42자를 빌려서, 대승의 42위(位)를 표할 적에 아(阿)자로써 초주(初住)를 표하고, 다(茶)자..

불교용어사전 (나)

나(拏) : (1) 【범】 ḍ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茶ㆍ陀ㆍ痆). 일체법원대불가득(一切法怨對不可得)의 뜻, 혹은 섭복마쟁(攝伏魔諍)의 소리라 함. 이는 마장(魔障)의 뜻을 가진 범어 ḍamara에서 해석한 것. 나(拏) : (2) 【범】 ṇa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쟁불가득(一切法諍不可得)의 뜻, 제제번뇌(除諸煩惱)의 소리라 함. 나(娜) : 【범】 d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佗ㆍ捺). 일체법시불가득(一切法施不可得)의 뜻, 조복율의적정안온(調伏律儀寂靜安穩)의 소리라 함. 이는 시(施)의 뜻인 범어 dāna, 또는 조복(調伏)의 뜻인 dama에서 해석한 것. 나(那) : 【범】 na (또는 娜ㆍ拏ㆍ曩).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명불가득(一切法名不可得)의 뜻. 혹은 변지명색(徧..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