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능한문 4

대학수학능력평가 제2외국어 한문 시험

대학수학능력평가 한문 1단계 : 기초 한자 1,800자(어문회 3급 수준)의 음과 훈을 외운다. 2단계 : 한문 시험의 기초 1. 시험의 성격 수능 한문 시험은, 한문 교육과정 가운데 고등학교 ‘한문Ⅰ’의 내용과 수준에 의거하여 출제하며, 대학에서 다양한 분야의 교양 지식 습득 및 전공 학문을 연구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한문 능력을 평가한다. 2. 평가 목표 한문 영역은 한문에 대한 문법적 이해 및 언어적․문학적․사상적 이해 전반을 다루는 ‘한문의 이해’ 영역(한자와 어휘, 한문의 독해), 한문 기록에 담긴 옛 사람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적 이해 전반을 다루는 ‘한문의 활용’ 영역(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과 인성, 한문과 문화)에 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1) 한문의 이해 영역 : 한문에..

한문사전, 한문성어, 고사성어, 수능한문, 사자성어, 고등한문,

◎ 呵呵大笑【가가대소】 : 우스워서 소리를 크게 내어 웃음.(출처 : 晉書) ◎ 可高可下【가고가하】 : 어진 사람은 지위의 상하를 가리지 않음을 이름.(출처 : 國語) ◎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살림이 넉넉하고, 사람마다 의식(衣食)에 부족함이 없음.(출처 : 漢書) ◎ 街談巷說【가담항설】 : 길거리나 항간에 떠도는 뜬소문. ◎ 家徒壁立【가도벽립】 : 집안에 세간이라고는 하나도 없고 다만 사면에 벽만이 둘려 있을 뿐이라는 뜻. 집안이 가난함을 비유한 이다. ◎ 可東可西【가동가서】 : 동쪽이라도 좋고 서쪽이라도 좋다.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다. ◎ 苛斂誅求【가렴주구】 : 세금 등을 가혹하게 거둬들임. 또는, 그러한 혹정(酷政). ◎ 假弄成眞【가롱성진】 : 처음에 장난으로 한 일이 나중에 참인 것처럼..

한자상식 고사성어 한문사전 사자성어 모음, 수능 한문, 한문 수행, 중등 한문, 고등 한문

ㄱ 1. 가담항설 街談港說(거리 가․말씀 담․거리 항․말씀 설) 길거리나 세상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이야기. 세상에 떠도는 뜬 소문. 유사어 : 道聽道說(도청도설), 巷間, 村間, 俗間, 民間, 坊間, 閭港(여항), 世評(세평), 世俗, 風說, 風間. ** 街 : 곧고 넓은 길. 港 : 좁고 구불구불한 길. 2. 가렴주구 苛斂誅求(가혹할 가․거둘 렴․벨 주)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거나 백성들의 재물을 억지로 빼앗음. 유사어 : 苛政猛於虎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고사 :「공자가 태산의 곁을 지날때, 부인이 있어 묘지에서 곡하며 슬퍼하거늘, 공자가 엄숙히 이를 들으시고, 子路로 하여금 그에게 물어 말하되󰡒그대의 곡성은 한결같이 거듭 근심이 있는 것 같으니라.󰡓이에 말하기를󰡒그러합니다. 옛적에..

2023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QA자료집1부

한문의 출제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됩니다. 한문의 출제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의거하여 출제됩니다. • 한자는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사용하되 이 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한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석을 답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는 2000년 12월 30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공표한 것을 가리킵니다. • ‘한문의 이해’ 영역은 ‘한자와 어휘(한자의 모양ㆍ음ㆍ뜻, 한자의 부수, 한자의 필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