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식 문제 각 1점, 주관식 배점은 각 문항에 표시」
1. 다음 한자들 중 部首字가 아닌 것은?
① 香 ② 行 ③ 公 ④ 邑
2. 다음 한자어들 중 ‘年少’와 구조가 같은 것은?
① 振作 ② 荒唐 ③ 慾心 ④ 日沒
3. 다음 성어들 중 그 짜임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借鷄騎還 ② 博學審問
③ 深謀遠慮 ④ 昏定晨省
[4~9] 다음 한자어의 음(音)을 쓰시오.(각 1점)
4. 疑惑( ) 5. 畏敬( )
6. 詐欺( ) 7. 障壁( )
8. 擴大( ) 9. 緩衝地帶( )
[10~14] 다음 단어를 漢字로 쓰시오.(각 2점)
10. 변혁( ) 11. 분석( )
12. 계승( ) 13. 파견( )
14. 위정척사( )
[15~20] 다음 ‘□’에 알맞은 漢字를 넣어 성어나 문장을 완성시키시오.(각 2점)
15. 白□ :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사물.
16. 同病□□ : 어려운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도움.
17. 支離□□ : 갈가리 흩어지고 찢기어 갈피를 잡을 수 없음.
18. 瓜田不□履, 李下不□冠 : 오해를 살 행동은 하지 말라.
19. 智者, 千□一失, 愚者, 千□一□ : 슬기로운 사람도 잘못 판단할 수 있고, 어리석은 사람의 의견도 간혹 취할 만함.
20. □, 取之於□, 而□於□. 氷, 水爲之, 而寒於□ : ‘靑出於藍’이란 성어가 여기서 생겼다.
[21~22]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仁, 人心也. 義, 人路也. 舍其路而弗由, 放其 ㉠ 心而不知求, 哀哉! ㉡ |
21. 다음 중 윗글 ㉠‘舍’에 대한 풀이로 적절한 것은?
① 버리다 ② 집 ③ 살다 ④ 걷다
22. 윗글 ㉡‘求’의 목적어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2점)
[23~24]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孝者, 所以事君也. □者, 所以事長也. □者, ㉠ ㉡ 所以使衆也, |
23. 다음 중 윗글 ㉠‘⃞’에 맞는 글자는?
① 勇 ② 慈 ③ 義 ④ 禮 ⑤ 弟
24. 다음 중 윗글 ㉡‘⃞’에 맞는 글자는?
① 勇 ② 慈 ③ 義 ④ 禮 ⑤ 弟
[25]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子貢問政. 子曰: “足食, 足兵, 民信之矣.”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何先?” 曰: “去□.”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二 者何先?” 曰: “去□. 自古皆有死, 民無□不 立.” |
25. 윗글의 ‘□’에 알맞은 글자를 본문에서 찾아 차례대로 쓰시오.(2점)
[26~30]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居天下之廣居, 立天下之正位, 行天下之大 ㉠ 道, 得志, 與民由之, 不得志, 獨行其道, 富貴 ㉡ ㉢ 不能淫, 貧賤不能移, 威武不能屈,此之謂大 ㉣ ㉤ 丈夫. |
26. 다음 중 윗글 ㉠‘廣居’의 속뜻으로 알맞은 것은?
① 仁 ② 義 ③ 禮 ④ 智
27. 다음 중 윗글 ㉡‘由’를 대신해서 쓸 수 있는 글자는?
① 故 ② 得 ③ 享 ④ 行
28. 다음 중 윗글 ㉢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성어는?
① 兼善天下 ② 獨善其身
③ 殺身成仁 ④ 溫故知新
29. 다음 중 윗글 ㉣‘移’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단어는?
① 移動 ② 回避 ③ 變節 ④ 出世
30.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2점)
[31~34]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昔者, 韓昭侯, 醉而寢. 典冠者, 見君之寒也, 故加衣於君之上. 覺寢而說, 問左右曰: “誰 加衣者?” 左右對曰: “典冠.” 君因兼罪典衣 ㉠ 殺典冠.其罪典衣,以爲失其事也. 其罪典冠, ㉡ 以爲越其職也.非不惡寒也, 以爲侵官之害, ㉢ ㉣ 甚於寒. *韓昭侯: 중국 周나라 때의 제후 이름. *說(열): 기뻐하다. |
31. 윗글 ㉠의 이유를 쓰시오.(2점)
32. 윗글 ㉡의 이유를 쓰시오.(2점)
33. 윗글 ㉢의 음과 뜻을 쓰시오.(2점)
34.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3점)
[35~36] 다음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白日依山盡, 黃河入海流. 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 ㉠ ㉡ |
35. 위의 시 ㉠의 뜻을 새기시오.(2점)
36. 다음 ‘上’자들 중 위의 시 ㉡‘上’과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은?
① 上帝 ② 上人 ③ 上山 ④ 上流
[37~38] 다음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山僧貪月色, 竝汲一甁中. ㉠ 到寺方應覺, 甁傾月亦空. ㉡ *汲(급): 물을 긷다. *甁(병): 병, 단지. |
37. 위의 시 ㉠‘竝’이 가리키는 것을 우리말로 모두 쓰시오.(2점)
38. 위의 시 ㉡‘月亦空’의 이유를 쓰시오.(2점)
[39~40] 다음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國破山河異昔時, 獨留江月幾盈虧. ㉠ 落花巖畔花猶在, 風雨當年不盡吹. ㉡ ㉢ *虧(휴): 이지러지다. *畔(반): 두둑, 경계. |
39. 위의 시 ㉠의 구체적 의미를 쓰시오.(2점)
40. 위의 시 ㉡‘花’와 ㉢‘花’의 속뜻의 차이를 쓰시오.(2점)
[41~43] 다음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結廬在人境, 而無車馬喧. ㉠ 問君何能爾, 心遠地自偏. 採菊東籬下, 悠然見南山. 山氣日夕佳, 飛鳥相與還. 此中有眞意, 欲辨已忘言. ㉡ *廬(려): 오두막집. *喧(훤): 시끄럽다. *爾(이): 그러하다. *偏(편): 치우치다. *籬(리): 울타리. |
41. 위의 시의 형식을 쓰시오.(1점)
42. 위의 시 ㉠의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새기시오.(2점)
43. 다음에서 위의 시 ㉡‘此’가 가리키는 구절의 첫 글자와 끝 글자를 바르게 적은 것은?
① 結,喧 ② 問,偏 ③ 採,山 ④ 山,還
[44~49] 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世有伯樂, 然後有千里馬. 千里馬常有, 而伯 樂不常有. 故雖有名馬, 祗辱於奴隷人之手, 騈死於槽櫪之間, 不以千里稱也. 馬之千里 者, 一食或盡粟一石.食馬者, 不知其能千里 ㉠ 而食也. 是馬也, 雖有千里之能, 食不飽, 力 不足, 才美不外見, 且欲與常馬等, 不可得, ㉡ ㉢ 安求其能千里也? 策之不以其道, 食之不能 ㉣ 盡其材, 鳴之不能通其意, 執策而臨之曰: ㉤ ㉥ “天下無馬.” 嗚呼! 其眞無馬邪? 其眞不□馬 ㉦ 邪? *伯樂 : 중국 전국시대 때 사람. 말을 잘 감 정하였다고 함. *祗(지): 다만 *隷(례): 종 *騈(변): 나란하다 *槽(조): 구유 *櫪(력): 말구유 |
44. 윗글 ㉠‘食’의 음과 뜻을 쓰시오.(2점)
45. 다음 중 윗글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1점)
①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② 밖에서는 볼 수가 없다.
③ 겉으로 드러날 수가 없다.
④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46.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2점)
47. 윗글 ㉣과 ㉥에서 ‘策’이 어떻게 다르게 쓰였는지 그 쓰임새의 차이를 설명하시오.(2점)
48.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2점)
49. 윗글 ㉦‘□’에 적당한 글자 1자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2점)
50. 윗글의 주제를 간략하게 쓰시오.(3점)
[51~60]다음 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許生, 居墨積洞, 直抵南山下, 井上有古杏 ㉠ 樹, 柴扉向樹而開, 草屋數間, 不□風雨. □ ㉡ ㉢ 許生好讀書, 妻爲人縫刺以糊口. 一日, 妻甚 ㉣ 飢, 泣曰: “子平生不赴擧, 讀書何爲?” 許生 ㉤ ㉥ 笑曰: “吾讀書未□.” 妻曰: “不有工乎?” 生 ㉦ 曰: “工未素學, 奈何?” 妻曰: “不有商乎?” 生曰: “商無本錢, 奈何?” 其妻恚且罵曰: “晝 ㉧ 夜讀書, 只學奈何? 不工不商, 何不盜賊?” 許 ㉨ 生掩卷起曰: “惜乎! 吾讀書, 本期十年, 今七 年矣.” *許生: 사람 이름 *墨積洞: 동네 이름. *杏(행) 살구나무 *扉(비) 문짝 *縫(봉) 꿰매다 *糊(호) 풀 *恚(에) 성내다 *罵(매) 욕하다 *掩(엄) 가리다 |
51. 윗글 ㉠‘抵’의 음과 뜻을 쓰시오.(2점)
52. 다음 중 윗글 ㉡‘□’에 알맞은 글자를 고르시오.
① 弊 ② 蔽 ③ 幣 ④ 廢
53. 다음 중 윗글 ㉢‘□’에 알맞은 접속사를 고르시오.
① 雖 ② 故 ③ 則 ④ 然
54. 다음 ‘爲’자들 중 윗글 ㉣‘爲’와 같은 구실로 쓰인 것은?
① 君子之學, 爲己而已. ② 孰爲汝多知乎?
③ 居家, 以節儉爲先. ④ 好憎人者, 亦爲人所憎.
55. 윗글 ㉤‘赴擧’의 음과 뜻을 쓰시오.(2점)
56.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2점)
57. 윗글 ㉦‘□’에 적당한 글자 1자를 쓰시오.(2점)
58. 윗글 ㉧의 뜻을 새기시오.(2점)
59. 윗글 ㉨‘工’의 품사와 그 뜻을 쓰시오.(2점)
60. 윗글에 나오는 한자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내용의 한문을 지으시오.(3점)
책을 읽는 것은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다. |
'한자 급수와 한자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0년 경북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0) | 2023.04.22 |
---|---|
2001년 경북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2) | 2023.04.22 |
2002_고려대_한문경시대회_문제 정리 (0) | 2023.04.22 |
한자성어의 겉뜻과 속뜻 풀이, 1급부터 7,8급까지 사자성어 모음 (2) | 2023.04.17 |
우리가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30가지 방법 (이동재 선생님) (1)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