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다음 한자어의 독음이 모두 바른 것을 고르시오.
1. 損害, 緊密, 濃淡
①폐해, 엄밀, 농담 ②폐해, 엄밀, 농염
③손해, 긴밀, 농염 ④손해, 긴밀, 농담
2. 頻繁 辭職 騷亂
①당번, 사임, 요란 ②빈번, 사직, 소란
③빈번, 사임, 소란 ④당번, 사직, 요란
3. 容易, 晨省, 襲擊
①용이, 신생, 습격 ②용이, 신성, 습격
③용역, 신성, 사격 ④용역, 신생, 사격
4. 다음 중 밑줄 친 ‘惡’자의 독음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惡漢 ②姦惡 ③羞惡 ④惡毒
5. 다음 중 불교용어의 독음이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①舍利;사리 ②南無;나무 ③道場;도장 ④布施;보시
[6~8] 다음 중 한자어의 표기가 모두 바르게 된 것을
고르시오.
6. 참형, 변호, 숙박, 공적
①暫刑, 辯護, 宿迫, 功績 ②斬形, 辨護, 宿迫, 功積
③斬刑, 辯護, 宿泊, 功績 ④暫形, 辨護, 宿泊, 功積
7. 형통, 석별, 면밀, 장수
①亨通, 惜別, 綿密, 將帥 ②享通, 昔別, 錦蜜, 將師
③享通, 惜別, 錦蜜, 將帥 ④亨通, 昔別, 綿密, 將師
8. 촉매, 남획, 주련, 포착
①燭媒, 藍穫, 株聯, 捕促 ②觸媒, 濫獲, 柱聯, 捕捉
③觸煤, 濫穫, 株練, 抱捉 ④燭煤, 藍獲, 柱練, 抱促
9. 다음 중 한자어 표기가 정확하게 된 것 하나를 고르시오.
①계절;秀節 ②경각;項刻 ③계단;偕段 ④압도;壓倒
[10~13]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10. 상대방의 주장을 반드시 傾聽할 필요가 있다.
11. 장마철에는 築臺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12. 나를 적극적으로 薦擧한 사람이 바로 너다.
13. 임금을 謁見하기 위해 대궐로 들어갔다.
[14~19]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14. 함께 사는 세상에는 관용과 겸양이 필요하다.
15. 노동은 땀의 즐거움과 수확의 보람을 준다.
16. 수입과 지출을 날마다 장부에 기록하였다.
17. 아프리카에는 기아로 허덕이는 사람이 많다.
18. 날짐승과 길짐승을 합쳐서 금수라고 한다.
19. 산사에 들어서면 속세의 번뇌가 사라지는 것 같다.
20. 다음 성어 중 한자 표기가 틀린 것 하나를 고르시오.
①龍頭蛇尾 ②刻舟求劍 ③會者情離 ④斷機之敎
[21~22] 다음의 의미로 사용되는 고사성어를 漢字로
쓰시오.
21.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을 비유하는 말.
22. 심부름을 가서 아주 소식이 없거나 회답이 더디 올 때
쓰는 말.
[23~27] 다음 우리 속담과 의미가 통하는 成語를 보기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시오.
①類類相從 ②杞憂 ③塞翁之馬 ④姑息之計 ⑤目不識丁 ⑥附和雷同 ⑦一石二鳥⑧因果應報 ⑨漁夫之利 ⑩指鹿爲馬 |
23. 가재는 게 편
24.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25. 언 발에 오줌 누기
26. 거름 지고 장에 간다.
27.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28. 다음 중 ‘錦上添花’와 상반된 의미의 성어를 고르시오.
①錦衣還鄕 ②草綠同色 ③雪上加霜 ④多多益善 ⑤漸入佳境
29. 다음 중 우리말의 특성이 반영된 성어 하나를 고르시오.
①他山之石 ②於異阿異 ③改過遷善 ④背水之陣 ⑤臥薪嘗膽
[30~36] 다음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有約來何晩 庭梅㉠欲謝時 忽聞枝上鵲 虛畵鏡中眉 나) 昨日到城郭 歸來㉡淚滿巾 遍身綺羅者 不是養蠶人 다) 西華已蕭索 北塞尙昏濛 坐待文明旦 天東日欲紅 라) 林亭秋已晩 騷客意無窮 遠水連天碧 霜楓向日紅 山吐孤輪(㉢) 江含萬里風 塞鴻何處去 聲斷暮雲中 마) 昨過永明寺 暫登浮碧樓 城空月㉣一片 石老雲千秋 麟馬去不返 天孫何處遊 長嘯依風磴 山靑江自流 *綺(비단, 기) *濛(흐릿하다, 몽) *嘯(휘파람 불다, 소) *磴(돌다리, 등) |
30. 위의 시에서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31. 위의 시에서 밑줄 친 ㉡의 이유를 본문 중에서 찾아 설명하시오.
32. 위의 시에서 ㉢에 들어갈 글자를 마) 중에서 찾아 쓰시오.
33. 위의 시에서 밑줄 친 ㉣과 對偶가 되는 시어를 찾아 쓰시오.
34. 마)시의 형식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말을 한자로 쓰시오.
이와 같은 형식의 시는 唐나라 때 완성되었다. 각 句의 글자 수는 5자이고, 전체가 8句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통 ( , , , ) 등 4聯의 짜임새에 따라 詩想이 전개된다. |
35. 가)에서 마)까지의 시 중 백성의 수탈상을 가장 잘 나타낸 작품의 기호를 쓰시오.
36. 가)에서 마)까지의 시 중 고려 시인의 문명의식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는 작품의 기호를 쓰시오.
[37~42] 다음의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近來安否問如何 月到紗窓妾恨多 若使夢魂行有跡 ㉠門前石路半成沙 나) ㉡元宵月色劇淸圓 先見生男古老傳 底事南隣老處子 背人無語淚泫然 다)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 라) 擧目江山深復深 家書一字㉢抵千金 中宵見月思親淚 白日看雲憶弟心 兩眼昏花春霧隔 一簪華髮曉霜侵 春風不覺愁邊過 綠樹鶯聲忽滿林 마) 淸江一曲抱村流 長夏江村事事幽 自去自來堂上燕 相親㉣水鷗相中近 老妻畵紙爲碁局 稚子敲針作釣鉤 多病所須唯藥物 微軀此外更何求 *泫(눈물을 흘리는 모양, 현) *簪(비녀, 잠) *軀(몸, 구) |
37. 위의 시에서 밑줄 친 ㉠의 이유를 쓰시오.
38. 위의 시에서 밑줄 친 ㉡‘元宵’의 의미를 쓰시오.
39. 위의 다)시의 운자를 모두 쓰시오.
40. ‘低’ ‘當’ ‘値’ ‘貴’ 중에서 윗 시의 밑줄 친 ㉢‘抵’의 의미와 가장 거리가 먼 한자를 쓰시오.
41. 마)시가 7언율시인 점을 감안하여 ㉣의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배열하시오
( , , , , )
42. 가)에서 마)까지의 시 중 다음 시와 그 의미가 가장 잘 통하는 것의 기호를 쓰시오.
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 勸君更進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 *渭(물이름, 위) *浥(적시다, 읍) |
[43~4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一) 哀公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者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二) 季路 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曰 敢問死 曰 未知(㉣) 焉知(㉤) |
43. 위의 글에서 ㉠에 들어갈 인물을 고르시오.
①子張 ②子貢 ③曾子 ④顔回 ⑤子夏
44.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45. 위의 글에서 밑줄 친 ㉢과 뜻이 같은 것을 고르시오.
①夭折 ②病死 ③長生 ④逝去 ⑤崩御
46. 위의 글에서 ㉣과 ㉤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 ㉤: )
[47~5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居天下之㉠廣居 立天下之㉡正位 行天下之㉢大道 得志 與民㉣由之 不得志 獨行其道 富貴不能淫 貪賤不能移 威武不能屈 此之謂(㉤) |
47. 위의 글에서 ㉠, ㉡, ㉢이 가리키는 덕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을 고르시오.
①㉠:仁 ㉡:禮 ㉢:義 ②㉠:禮 ㉡:義 ㉢:仁 ③㉠:義 ㉡:仁 ㉢:禮 ④㉠:禮 ㉡:仁 ㉢:義 ⑤㉠:仁 ㉡:義 ㉢:禮
48. 윗글의 ㉣과 같은 뜻으로 쓰인 한자를 위의 글에서 찾아 쓰시오.
49. 위의 글 ㉤에 들어갈 한자어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君子 ②大丈夫 ③聖人 ④賢人 ⑤士大夫
50. 위의 글에서 의미상 잘못된 글자를 찾아 바르게 쓰시오.
( ----> )
[51~5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高麗恭愍王時 有民兄弟 偕行 弟得黃金二錠 以其一 ㉠與兄 至孔巖津 同舟而濟 弟忽投金於水 兄怪而問之 答曰 吾平日 愛兄篤 今而分金 忽萌忌兄之心 ㉡此乃不祥之物 不若投諸江 而忘之 兄曰 ㉢汝言誠是 亦投金於水 *錠(덩어리, 정) |
51. 위의 글에 나타난 德目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積善 ②謙讓 ③孝行 ④友愛 ⑤信義
52. 위의 글에서 밑줄 친 ㉠과 같은 뜻으로 쓰인 ‘與’가 들어가는 한자어를 쓰시오.
53.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의 구체적인 이유를 20자 이내로 설명하시오.
54.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55~5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林白湖悌 氣豪不拘檢 病將死 諸子悲號 林曰 四海諸國 未有不稱帝者 獨我邦 終古㉠不能 生於若此陋邦 其死何足惜 命勿哭 又常戱言 若使吾㉡値五代六朝 亦當爲輪遞天子 一世傳笑 *遞(교대로, 체) |
55. 다음 중에서 위의 글에 나타난 林悌의 의식을 고르시오.
①事大 ②自主 ③風流 ④自慢 ⑤放浪
56. 위의 글에서 밑줄 친 ㉠뒤에 생략된 한자어를 윗글에서 찾아 쓰시오.
57. 위의 글에서 밑줄 친 ㉡과 같은 뜻을 가진 한자를 고르시오.
①治 ②遇 ③得 ④正 ⑤攻
[58~6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一) 新羅儒理王 旣定六部 中分爲二 使王女二人 各㉠率部內女子 分朋造黨 自秋七月㉡旣望 每日早集大部之庭 績麻 乙夜而罷 至八月十五日 考其功之多少 負者 置酒食 以謝勝者 於是 歌舞百戱皆作 謂之( ㉢ ) (二) 閭巷婦女 用白板 橫置藁枕上 對踏兩端 相升降而跳數尺許 以困頓爲樂 *藁(볏짚, 고) |
58. 다음 중 위의 글에서 밑줄 친 ㉠‘率’과 음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統率 ②食率 ③能率 ④率先垂範 ⑤率直
59. 다음 중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이 음력으로 몇일에 해당하는지 고르시오.
①초하루 ②초사흘 ③보름 ④열엿새 ⑤그믐
60. 윗글의 ㉢에서 유래된 전통 명절을 순수한 우리말(3음절)로 쓰시오.
61. 윗글의 (二)는 어떤 민속놀이를 설명한 것인지 우리말로 쓰시오.
[62~65]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古之學者 必有師 師者 所以傳道授業解(㉠)也 人非生而知之者 孰能無(㉡) (㉢)而不從師 其爲(㉣)也 終不解矣 生乎吾前 其聞道也 固先乎吾 吾從而師之 生乎吾後其聞道也 亦先乎吾 吾從而師之 吾師道也 ㉤夫庸知其年之先後生於吾乎……㉥弟子不必不如師 師不必賢於弟子 聞道有先後 術業有專攻 如是而已 |
62. 윗글의 작자와 제목을 한자로 쓰시오.
(작자: 제목: )
63. 윗글의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64. 윗글의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65. 윗글의 ㉥과 의미가 유사한 4자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66~6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吾嘗謂山水遊觀 惟心無私累 然後可以樂其樂也 友人李公周道 家居平海 每月夜携酒騎牛 遊①於山水之間 平海號稱形勝 其遊觀之樂 李君能盡 得古人所不知之妙也 ㉠凡寓目於物者 疾則粗 遲則盡得其妙 馬疾牛遲 騎牛 欲其遲也 想夫明月在天 山高水闊 上下一色 俯仰無垠 等萬事②於浮雲 寄高嘯③於淸風 ㉡縱牛所如 隨意自酌 胸次悠然 自有其樂 此豈拘④於私累者 所能爲也 古之人 亦有能得此樂乎 |
66. 윗글에서 ①~④ 가운데 ‘於’가 비교의 기능으로 쓰인 것을 찾아 그 번호를 쓰시오.
67. 다음 중에서 윗글의 밑줄 친 ㉠과 유사한 의미의 성어를 고르시오.
①走馬加鞭 ②破竹之勢 ③大器晩成 ④走馬看山 ⑤井底之蛙
68. 윗글의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69~7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鄭氏 臣祐女也 父以罪謫海州 疾篤 寄書其家 母得書痛哭 鄭時年十七 在室 謂母曰 父死在朝夕 我欲往見 母曰 汝父得罪於國 豈許汝往見耶曰 ㉠我且請諸朝 卽馳至京 具㉡狀告都堂 不受 鄭立門外 ㉢候諸相出 前執侍中馬轡曰 妾父臣祐 罪非反逆 遠竄異鄕 今又疾㉣革 請許妾往見 諸相感泣 卽㉤白辛禑 ㉥放臣祐歸田里 *謫(귀양가다, 적) *轡(고삐, 비) *竄(귀양가다, 찬) |
69. 다음 중 윗글의 주제와 관련 있는 새를 고르시오.
①烏 ②鳩 ③鶴 ④燕 ⑤鵲
70.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71. 위의 글에서 밑줄 친 ㉡~㉥의 풀이로 적절치 못한 것을 고르시오.
① ㉡:문서 ② ㉢:기다리다 ③ ㉣:위독하다
④ ㉤:결백하다 ⑤ ㉥:방면하다
72. 다음 글을 읽고 해당되는 성어를 쓰시오
宋人 有耕田者 田中有株 免走觸株 折頸而死 因釋其耒而守株 冀復得免 免不可復得 而身爲宋國笑 *冀(바라다, 기) |
[73~7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車胤 字武子 幼恭勤博覽 家貧 不常得油 夏月 以練囊 ㉠盛數十螢火 照書讀之 以夜繼日 後官至尙書郞 今人 以書窓爲( ㉡ ) 由此也 孫康 少淸介 交遊不雜 家貧無油 嘗映雪讀書 後官至御史大夫 今人 以書案爲( ㉢ ) 由此也 |
73. 위의 글에서 밑줄 친 ㉠‘盛’의 뜻을 쓰시오.
74. 윗글의 문맥으로 보아 ㉡과 ㉢의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 ㉢: )
[75~7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其後更取美貌男子 粧飾之 名花郞以奉之 ㉠徒衆雲集 或相磨以道義 或相悅以歌樂 遊娛山水 ㉡無遠不至 因此知其人邪正 擇其㉢善者 薦之於朝 |
75. 다음 중 위의 글에서 밑줄 친 ㉠‘徒’와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徒勞 ②徒黨 ③學徒 ④信徒 ⑤暴徒
76. 위의 글에서 밑줄 친 ㉡‘無遠不至’를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77. 다음 중 위의 글에서 밑줄 친 ㉢‘善’과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尤善於模寫我東人物風俗 ②通經史 善書畫 又工刺繡
③有叟焉 善爲公言 就而正之 ④性旣本善 則情亦宜無不善
⑤國俗謂善射爲朱蒙 故以名焉
78. 다음 중 문장의 형식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惟仁者 宜在高位 ②夫子之道忠恕而已矣
③雖畜物 其心與人同也 ④只在爲學立志如何耳
⑤空山不見人 但聞人語響
79. 다음 문장을 우리말로 옮기시오.
歸去來兮 田園將蕪 胡不歸 *蕪 : (잡초가 우거지다, 무) |
80. 다음 문장의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써넣으시오.
天下之義理 無窮 豈可是已而( )人 |
81. 다음 문장에서 생략된 한자를 넣어서 완성된 구절을 쓰시오.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而從之 其不善而改之 |
82. 다음 밑줄 친 ‘良’과 대체할 수 없는 한자 하나를 고르시오.
古人秉燭夜遊 良有以也 |
①誠 ②信 ③固 ④苟 ⑤直
83. 다음 중 밑줄 친 ‘如’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勵精圖治 終始如一
②雄辯滔滔 眼光如電
③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④從之又違 非義也 不如去之
⑤天時不如地利 地利不如人和
84. 다음 중 밑줄 친 ‘諸’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諸公 豈不諒只
②遇所記 書諸紙背
③於是 諸軍俱潰 不可禁止
④林白湖悌 氣豪不拘檢 病將死 諸子悲號
⑤我國諸賢文集 倭人所尊尙者 無如退溪集
85. 아래 문장의 ( )안에 들어갈 한자를 쓰시오.
爾若得之 ( )可以安居無患 |
8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百結先生 不知何許人 |
87. 다음 중 밑줄 친 ‘直’의 음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相距直十步 ②直之雲從街 ③直抵南山下
④直不百步耳 亦走也 ⑤兩班兩班 不直一錢
88. 다음 문장의 밑줄 친 ‘何不’을 1자의 한자로 쓰시오.
不工不商 何不盜賊 |
89. 다음 중 한문 문장의 풀이가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緣木而求魚 : 불가능한 일을 도모하려 함.
②突不煙 不生煙 : 결과가 있으면 원인이 있음.
③借廳借閨 : 남의 호의를 저버리고 그의 권리까 지 침해하려 함.
④窮人之事 飜亦破鼻 : 재수가 없으면 될 일도 안 됨.
⑤始用升授 還以斗受. : 처음 시작할 때의 마음을 끝까지 지켜야 함.
90. 다음 중 보기의 ( )에 들어갈 토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寧爲鷄林之犬豚( ) 不爲倭國之臣子 |
①하고 ②하여 ③이라도 ④이언정 ⑤하더니
91. 다음 중 밑줄 친 ‘爲’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牧爲民有乎 ②爲爾惜居諸 ③雖死 不爲辭
④余爲大韓獨立而死 ⑤吾爲汝 作杵聲以慰之
92. 다음 중 밑줄 친 한자의 문장 성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民惟邦本 本固邦寧 ②如天所望 都是虛事 ③適有群鷄 亂啄庭除. ④童僕 多識我一字 姑學 ⑤爾何受書三日 尙不頒列邑
93. 다음 중 밑줄 친 ‘而’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騎何物而還 ②必因其材而篤焉 ③吾操針而遊於人
④環而攻之而不勝 ⑤神逸拔其矢而匿之.
94. 다음 중 밑줄 친 ‘之’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古之學者 必有師 ②妻嘗之田 曝麥於庭
③海上之人 有好鷗鳥者 ④臨難忘身者 烈士之志也
⑤至八月十五日 考其功之多少
95. 다음의 문장을 우리말로 옮기시오.
與其有譽於前 孰若無毁於其後 |
96. 다음 중 밑줄 친 ‘所’의 쓰임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吾所憂在喫 ②俛受所言 應對甚恭 ③得古人所不知之妙也
④夫富貴者 人之所欲也 ⑤往父所 見其父抵枕就睡
97. 다음 중 밑줄 친 ‘下’의 품사가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①期助諸君於九泉之下
②中也者 天下之大本也
③上下交征利 而國危矣
④一下筆 人莫不拍掌叫奇
⑤人性之善也 猶水之就下也
[98~99]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子曰 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曰 ㉡唯 |
98. 다음 중 위문장에서 밑줄 친 ㉠‘乎’와 쓰임이 같은 하나를 고르시오.
①天乎 吾無罪 ②客從何處來乎 ③此何處不爲福乎
④安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⑤世俗之人 皆喜人之同乎己
99. 위의 문장에서 밑줄 친 ㉡‘唯’의 뜻을 쓰시오.
100. 다음 문장의 ( )에 알맞은 한자를 써넣으시오.
先帝 不以臣卑鄙 猥自枉屈 三( )臣於草廬之中 諮臣以當世之事 |
'한자 급수와 한자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9년 4회 성균관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0) | 2023.04.22 |
---|---|
2000년 5회 성균관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0) | 2023.04.22 |
2001년 경북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2) | 2023.04.22 |
2001년 고려대 한문경시대회 문제 (1) | 2023.04.22 |
2002_고려대_한문경시대회_문제 정리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