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장
漢字語 (한자어)의 짜임
(1) 수식 관계 : □ □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짜인 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관형어(수식어) + 체언(피수식어)과 부사어(수식어) + 용언(피수식어)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수식어를 먼저 새기고 피수식어를 나중에 새긴다.
① 관형어가 체언을 수식하는 관계(체언 수식)
☻ 孝 女 (효녀) : 효도하는 딸
☻ 美 女 (미녀) : 잘 생긴 여자
☻ 烈 女 (열녀) : 절개를 굳게 지키는 여자
[보충] 人 心 (인심) : 사람의 마음
白 日 (백일) : 밝은 날
忠 臣 (충신) : 충성
② 부사어가 용언을 수식하는 관계(용언 수식 관계)
☻ 徐 行 (서행) : 천천히 가다.
☻ 急 行 (급행) : 급히 간다.
☻ 飛 行 (비행) : 날아가다.
[보충] 力 行 (역행) : 힘써 행하다.
大 成 (대성) : 크게 이루다.
一 悲 (일비) : 한편으로 슬프다.
(2) 대립 관계 : □ □
대립 관계의 한자어에는 뜻이 반대되는 한자끼리 어울린 상대어 외에도 뜻이 대등하거나 서로 관련이 없는 한자끼리 어울린 대등어가 있다. 어순은 우리말과 같고, 체언으로 된 한자어는 □와(과) □로 새기고, 용언으로 구성된 한자어는□하고 □함으로 풀이한다.
☻ 대 ↔ 소(대소) : 크고 작음.
☻ 유 ↔ 무(유무): 있고 없음.
☻ 장 ↔ 단(장단): ①길고 짧음. ②장점과 단점
(3) 대등 관계 : □ ― □
☻ 魚―貝(어패) : 물고기와 조개
☻ 山―川(산천) : 산과 내
☻ 犬―羊(견양) : 개와 양
(4) 유사 관계 : □=□
뜻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한자끼리 짜여진 것을 유사 관계라 한다.
☻ 海 = 洋(해양) : 넓은 바다
☻ 星 = 辰(성신) : 별
☻ 宇 = 宙(우주) : 온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5) 주술 관계 : □∥□
주체가 되는 말[山]과 서술하는 말[高]이 결합되어 정돈된 뜻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풀이는 ~는(이, 가) ~하다로 해석한다.
① 기본 구조(주어+서술어)
☻ 山∥高(산고) : 산이 높다.
☻ 春∥來(춘래) : 봄이 온다.
☻ 月∥明(월명) : 달이 밝다.
☻ 汝∥學生也(여학생야) : 너는 학생이다.
② 확장 구조(기본 구조에 수식어가 붙은 것)
(ㄱ) 관형어+주어+서술어
☻ 陽 春∥來(양춘래) : 따뜻한 봄이 오다.
(ㄴ) 주어+부사어+서술어
☻ 春∥方 來(춘방래) : 봄이 바야흐로 오다.
(ㄷ) 관형어+주어+부사어+서술어
☻ 陽 春∥方 來(양춘방래) : 따뜻한 봄이 바야흐로 오다.
(6) 술목 관계 : □ | □
서술하는 말[呼]과 대상이 되는 말[名]이 결합되어 정돈된 뜻을 나타내는 한자어로써 우리말과 풀이 순서가 다르다.
① 기본 구조 (서술어+목적어)
☻ 立 | 身 (입신) : ①몸을 세움
②출세함
☻ 讀 | 書 (독서) : 책을 | 읽는다.
☻ 呼 | 名 (호명) : 이름을 | 부른다.
② 확장 구조(서술어+관형어+목적어)
☻ 讀 | 良 書(독양서) : 좋은 책을 | 읽는다.
☻ 讀 | 五 車 書(독오거서) : 다섯 수레의 책을 | 읽는다.
☻ 必 事 | 一 君 : 반드시 한 임금을 | 섬긴다.
③ 국어식 술목(목적어+술어)
☻ 人 間 | 尊 重(인간 존중) : 인간을 | 귀하게 여기다.
☻ 祖 國 | 統 一 (조국통일) : 조국을 | 통일하다.
☻ 體 力 | 增 進(체력증진) : 체력을 증진한다.
(7) 술보 관계: □/□
서술어[有]와 보어[信] 관계로 짜여진 형태로서 보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를 나중에 새긴다.
<서술어는 대개 유(유), 무(무), 난(난), 이(이), 다(다), 소(소) ⋯⋯>
① 기본 구조(술어+보어)
☻ 有 / 信(유신) : 믿음이 / 있다.
☻ 無 / 名(무명) : 이름이 /없다.
☻ 登 / 山(등산) : 산에 / 오르다.
② 술보 확장(술어+관형어+보어 및 부사어+서술어+관형어+보어)
☻ 登 / 高 山(등고산) : 높은 산에 / 오르다.
☻ 滿 發 / 前 庭(만발전정) : 앞뜰에 활짝 피다.
☞ 문장을 풀이할 때 동사가 앞에 있으면 뒤부터 풀이하고 다음으로 먼저 두 자를 끊어서 풀이하고, 그 다음으로 네 자를 묶어서 풀이하고, 풀이가 안될 때는 고유명사가 아닌가를 살피도록 한다.
◉ 한자어 짜임 관계 실전 문제 ◉
(다음 문장들을 보고 짜임 관계 표시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 한자어 짜임 관계의 부호
주술 관계…………………………………………………………………………………………… ||
술목 관계…………………………………………………………………………………………… |
술보 관계…………………………………………………………………………………………… /
수식 관계……………………………………………………………………………………………
대립 관계…………………………………………………………………………………………… ↔
유사 관계…………………………………………………………………………………………… ═
대등 관계…………………………………………………………………………………………… ─
1. 父母
2. 强弱
3. 白雪
4. 雪白
5. 深夜
6. 夜深
7. 入學
8. 學生
9. 事親
10. 孝子不談父之過
11. 君君臣臣
12. 技術向上
13. 孝白行之本也
◉ 한자어 짜임 관계 실전 문제 해답 ◉
1. 父 ─ 母(부모) : 아버지와 어머니.
2. 强 ↔ 弱(강약) : 강하고 약함.
3. 白 雪(백설) : 흰 눈
4. 雪 ║ 白 (설백) : 눈이 희다.
5. 深 夜(심야) : 깊은 밤
6. 夜 ║ 深(야심) : 밤이 깊다.
7. 入 ∕ 學(입학) : 학교에 들어가다.
8. 學 生(학생) : 배우는 사람
9. 事 | 親(사친) : 어버이를 섬긴다.
10. 孝 子 ∥ 不談 | 父 之 過(효자부담부지과) : 효자는 아버지의 과오를 말하지 않는다.
11. 君∥君 臣∥臣(군군신신) :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다.
12. 技術 | 向上(기술향상) : 기술을 향상하다.
13. 孝 ∥ 白 行 之 本 也(효행백지본야) : 효도는 백가지 행실의 근본이다.
'한의대 한문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6 (1) | 2023.04.23 |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5 (0)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4 (1)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3 (6) | 2023.04.22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2 (1)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