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漸降法(점강법)
같은 형태의 구를 반복하면서 語句(어구)의 배열을 어려운 것에서 쉬운 것으로, 강한 것 에서 약한 것으로, 무거운 것에서 가벼운 것으로 의미의 정도를 점점 낮추어가면서 내 용을 전개하는 방법이다. 점층법과 상대되는 수사법이다.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요치기국자 선제기가)
欲齊其家者 先修其身 (욕제기가자 선수기신)
欲修其身者 先正其心 (욕수기신자 선정기심)
欲正其心者 先誠其意 (욕정기심자 선성기의)
【해석】나라를 다스리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집안을 바로 잡았고,
집안을 바로 잡으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몸을 닦았고,
자신의 몸을 닦으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몸을 바르게 하였고,
자신의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자신의 뜻을 성실하게 해야 한다.
4. 連鎖法(연쇄법)
앞 문장의 끝 句(구)를 받아서 다음 句(구)의 머리에 놓아 이어가기 식으로 서술을 진 행시키는 수사법이다. 이때 점층법과 점강법의 수사가 어우러지기도 한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天 時 不 如 地 利 (천시불여지리)
地 利 不 如 人 和 (지리불여인화)
【해석】하늘의 시기는 땅의 이로움만 못하고
땅의 이로움은 사람이 화합하는 것만 못하다.
【참고】이 문장은 연쇄법과 대구법이 어우러진 文章(문장)이다.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 修 身 而 後 家 齊 (수신이후가제)
家 齊 而 後 國 治 (가제이후국치)
【해석】몸이 닦인 뒤에야 집안이 바로 잡히고
집안이 바로 잡힌 뒤라야 나라가 다스려진다.
【참고】이 문장은 연쇄법과 점층법이 어우러진 文章(문장)이다.
5. 層疊法(층첩법)
같은 형식의 句(구)를 3개 이상 겹쳐서 敍述(서술)하는 수사법이다.
君子 - 素富貴行乎富貴 (소부귀행호부귀)
素貧賤行乎貧賤 (소빈천행호빈천)
素夷狄行乎夷狄 (소이적행호이적)
素患難行乎患難 (소환난행호환난)
【해석】군자는 본래 부귀하였으면 부귀한 행동을 하고
본래 빈천하였으면 빈천한 행동을 하고
본래 오랑캐였으면 오랑캐처럼 행동하고
본래 환난 속에 있었으면 환난에 익숙한 듯 행동한다.
제 4 장
品詞篇 (품사편)
單語(단어)를 文法上(문법상) 기능이나 性品(성품)에 따라 나눈 것을 品詞(품사)라고 한다.
|
品詞(품사)의 종류는 文法(문법)을 다루는 이에 따라 각기 다르나 대체로 國語(국어), 獨語(독어), 漢文(한문)을 9품사로 英語(영어)는 8품사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單語(단어)의 용도에 따라 10종류로 나누었다.
1. 名詞(명사)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 또는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며 기능상으로 주어, 목적어, 보어, 전후치사의 목적어, 동격어, 호격어 등으로 사용되며 완전 명사, 불완전 명사, 轉成(전성) 명사로 나눌 수 있다.
◈ 世宗聖君也 (세종성군야) : 세종은 성군이다.
……………………(고유명사)
◈ 仁人心也 (인인심야) : 인은 사람의 마음이다.
……………………(추상명사)
◈ 知者樂水 (지자요수) : 지혜스러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
……………………(불완전 명사)
◈ 有所欲言 (유소욕언) :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다.
……………………(불완전 명사)
◈ 彼求生(피구생) : 그는 살기(삶, 사는 것)를 구했다.
……………………(전성 명사)
2. 代名詞(대명사)
명사를 대신해서 쓰는 것으로 문장 내에서 용도가 명사와 동일하며 人稱代名詞(인칭대명사), 指示代名詞(지시대명사), 疑問代名詞(의문대명사)로 나눌 수 있다.
(1) 人稱代名詞(인칭대명사)
한문에는 인칭대명사의 格(격) 변화가 없다. 대명사가 동사 앞에 오면 주어가 되고 동사 뒤에 오면 목적어, 명사 앞에 오면 소유격이며, 인칭대명사는 10여 종이다.
① 1인칭 : 吾(오), 我(아), 余(여), 予(여), 朕(짐)
◈ 吾鼻三尺(오비삼척) : 내 코가 삼척이다.
◈ 我讀良書(아독양서) : 나는 좋은 책을 읽는다.
② 2인칭 : 女(여), 汝(여), 爾(이), 而(이), 子(자), 君(군), 乃(내)
◈ 汝知論語乎(여지논어호) : 너는 논어를 아느냐?
◈ 勸若曹一杯)之酒(권약조일배지주) : 너희들에게 한 잔의 술을 권한다.
[보충]
◈ 爾爲父(이위부) : 너는 아버지가 되었다.
◈ 子爲誰(자위수) : 당신은 누구십니까?
◈ 爾爲爾我爲我(이위이아위아) : 너는 너고, 나는 나다.
|
[보충설명]
汝(여), 女(여), 爾(이), 若(약), 而(이), 乃(내)는 모두 너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子는 흔히 선생, 당신 의 뜻으로, 君은 그대의 뜻으로 쓰이며 汝等(여등), 汝濟(여제), 汝輩(여배), 汝屬(여속), 若曹(약조) 등은 너희들이란 복수 2인칭이다.
|
③ 3인칭 : 彼(피), 他(타), 其(기), ……
◈ 彼亦大丈夫乎(피역대장부호) : 그 또한 대장부인가?
(2) 指示代名詞(지시대명사)
사람, 사물, 사건, 시간, 처소 등을 지시하는 것으로 우리말에 그것, 저것, 이것 등이며 近稱(근칭), 遠稱(원칭), 不定稱(부정칭)으로 나눌 수 있다.
① 近稱代名詞 (근칭대명사) : 是(시), 之(지), 此(차), 斯(사)
◈ 是亦走也(시역주야) : 이것 또한 달아난 것이다.
◈ 人生斯世(인생사세) :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간다.
② 遠稱代名詞(원칭대명사) : 其(기), 他(타), 夫(부), 彼(피)……
◈ 登彼西山(등피서산) : 저 서산에 오른다.
③ 不定稱代名詞(부정칭대명사) : 某(모), 或(혹)……
◈ 從某至某十里也(종모지모십리야) : 아무데서부터 아무데까지 10리이다.
(3) 疑問代名詞(의문대명사) : 何(하), 誰(수), 惡(오), 孰(숙), 安(안), 寧(녕), 豈(기)
[보충]
◈ 孰爲汝知乎(숙위여지호) : 너는 아버지가 되었다.
◈ 焉能事鬼(언능사귀) : 당신은 누구십니까?
◈ 彼惡知之(피오지지) : 너는 너고, 나는 나다.
◈ 寧有種子(영유종자) : 어찌 종자가 있겠는가?
|
3. 形容詞(형용사)
(1) 수식 기능
◈ 高山靑山(고산청산) : 높은 산 푸른 산
(2) 서술 기능
◈ 花草香(화초향) : 화초가 향기롭다.
(3) 명사 역할
◈ 靑出於藍(청출어람) : 청색은 쪽에서 나온다.
[참고] 청은 형용사이지만 명사로 쓰였다.
(4) 전성 형용사
◈ 去人我之先生也(거인아지선생야) : 가시는 사람이 나의 선생님이시다.
[참고] 去(거)는 가다라는 동사가 형용사로 전성된 것이다.
4. 副詞(부사)
形容詞(형용사)나 動詞(동사) 또는 自己(자기) 이외의 부사를 수식한다.
(1) 時間副詞(시간부사) : 方(방), 旣(기), 嘗(상)……
◈ 時方十月也(시방시월야) : 때는 바야흐로 시월이다. …………(현재)
◈ 吾嘗聞道(오상문도) : 내가 일찍이 도를 들었다. …………(과거)
◈ 明日可行(명일가행) : 내일 갈 것이다. …………(미래)
[보충]
시간 부사는 今(금), 方(방), 將(장), 賞(상), 旣(기), 終(종), 初(초), 已(이), 明日(명일), 今日(금일), 등이 쓰인다.
|
(2) 疑問副詞(의문부사) : 奚(해), 何(하), 何如(하여), 如何(여하), 奈何(내하)……
◈ 許子奚爲不自織(허자해위부자직) : 허자는 어찌하여 스스로 짜지 않느냐?
◈ 何不畏衆口(하불외중구) : 어찌 여러 사람의 입이 두렵지 않겠느냐?
[보충]
何는 단순한 의문인데 반해 奚(해)는 속으로
이상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의문을 나타낸다.
◈ 何如可謂之大人矣(하여가위지대인의) :
어떻게하면 가히 그를 대인이라고 이르겠느냐?
◈ 如何則可(여하즉가) : 무엇을 하면 좋을까?
[참고] 何如(하여), 如何(여하), 柰何(내하)등이 술어 노릇을 하 는 경우도 있다.
|
'한의대 한문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8 (1) | 2023.04.23 |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7 (1)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5 (0)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4 (1)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3 (6)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