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 서리맞은 단풍이 2월의 꽃보다 더 붉다.
♥ 百聞不如一見(백문불여일견) : 백번 듣는 것이 한번 보는 것만 같지 못하다.
(보는 것만 못하다.)
♥ 樂事莫如讀書(낙사막여독서) : 즐거운 일은 책을 읽는 것만 같지 못하다.
(읽는 것만 한 것이 없다. 책 읽는 것이 최고다.)
♥ 恩高如天(은고여천) : 은혜의 높기가 하늘과 같다.
(7) 금지형
勿(물),無(무),毋(무),莫(막) 등과 같이 부정사가 쓰이어 ~하지 말라, ~하지 못한다 등의 금지의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이다.
♥ 非禮勿視(비례물시) : 예가 아니면 보지 말라.
♥ 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 毋友不如己者(무우불여기자) : 자기와 같지 않은 (자기만 못한) 자를 벗하지 말라.
♥ 莫道人之短(막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8) 사역
♥ 使役(사역)의 뜻을 나타내는 使(사),令(령),命(명),敎(교).遣(견) 등의 한자가 쓰여
~가, ~에게, ~시키다, ~로 하여금 ~하게 하다. ~에게 ~를 ~하게 하다는
사역의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이다.
♥ 先生使弟子勉學(선생사제자면학) : 선생이 제자에게 학문을 힘쓰게 하다.
♥ 賢父令夫貴(현부령부귀) : 어진 아내는 남편으로 하여금 귀하게 하다.
(9) 피동형
被動(피동)을 나타내는 於(어), 爲(위), 見(견), 乎(호), 被(피), 爲~ 所(위 소)등의 한자 가 쓰여 ~가, ~에게, ~당하다라는 피동의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이다.
♥ 勞力者治於人(노력자치어인) : 노력 자는 남에게 다스려진다.
♥ 身爲世人所笑(신위세인소소) : 몸이 세상 사람들에게 비웃음을 받는 바가 된다.
♥ 匹夫見辱(필부견욕) : 필부가 욕을 당하다.
♥ 不信乎朋友(불신호붕우) : 친구에게 믿음을 받지 못하다.
(10) 한정형
唯(유), 只(지), 但(단), 直(직) 등의 한정부사와 耳(이), 已(이), 而已(이이), 而已矣(이이 의), 乎(호) 등의 한정종결사를 단독으로 쓰거나 또는 이들을 어울려서 정도 분량의 한 정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 唯天爲大(유천위대) : 오직 하늘만이 큰 것이 된다.
♥ 今日只有一死(금일지유일사) : 오늘은 다만 한 번 죽음이 있을 뿐이다.
♥ 直不百步耳(직불백보이) : 다만 백보가 아닐 따름이다.
♥ 獨我國無之(독아국무지) : 홀로 우리 나라만이 이것이 없다.
♥ 夫子之道 忠恕耳已矣(부자지도 충서이이의) : 선생님의 도는 충서일 뿐이다.
(11) 감탄형
문장 끝에 哉(재), 矣(의), 乎(호), 噫(희) 등이 쓰이어 아 ~도다!, 아 ~구나!와 같 이 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이다.
♥ 哀哉(애재) : 슬프도다!
♥ 噫 甚矣(희심의) : 아! 슬프도다!
◉ 한자어 짜임 관계 실전 문제 ◉
(다음 문장들을 해석해 보면서 문장 유형을 구별해 봅시다.)
1.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2. 男兒一言重千金(남아일언중천금)
3. 子何孝焉(자하효언)
4. 欲速不達(욕속부달)
5. 非禮勿動(비례물동)
6. 學問如逆水行舟(학문여역수행주)
7. 見小利則大事不成(견소리즉대사불성)
8. 未知生焉知死(미지생언지사)
'한의대 한문 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6 (1) | 2023.04.23 |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5 (0) | 2023.04.23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3 (6) | 2023.04.22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2 (1) | 2023.04.22 |
한문기초, 한문 문법, 한문 짜임 한자어 짜임 한문의 구조 문장구조 1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