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 교양(사서삼경, 제자백가) 137

천자문, 한문사전, 한자사전, 천자문원문, 한석봉, 천자

天地元黃,宇宙洪荒∘日月盈昃,辰宿列張∘ 寒來暑往,秋收冬藏∘閏余成歲,律呂調陽∘ 云騰致雨,露結爲霜∘金生麗水,玉出昆崗∘ 劍號巨闕,珠稱夜光∘果珍李柰,菜重芥姜∘ 海咸河淡,鱗潛羽翔∘龍師火帝,鳥官人皇∘ 始制文字,乃服衣裳∘推位讓國,有虞陶唐∘ 吊民伐罪,周發殷湯∘坐朝問道,垂拱平章∘ 愛育黎首,臣伏戎羌∘遐邇壹體,率賓歸王∘ 鳴鳳在竹,白駒食場∘化被草木,賴及萬方∘ 蓋此身發,四大五常∘恭惟鞠養,豈敢毁傷∘ 女慕貞潔,男效才良∘知過必改,得能莫忘∘ 罔談彼短,靡恃己長∘信使可覆,器欲難量∘ 墨悲絲染,詩贊羔羊∘景行維賢,克念作聖∘ 德建名立,形端表正∘空谷傳聲,虛堂習聽∘ 禍因惡積,福緣善慶∘尺璧非寶,寸金是競∘ 資父事君,曰嚴與敬∘孝當竭力,忠則盡命∘ 臨深履薄,夙興溫淸∘似蘭斯馨,如松之盛∘ 川流不息,淵澄取映∘容止若思,言辭安定∘ 篤初誠美,愼終宜令∘榮業所基,籍甚無罄∘..

중국연호, 연호, 갑자, 육십갑자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1 b206(12) 乙未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2 b205(12) 丙申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3 b204(12) 丁酉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4 b203(12) 戊戌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5 b202(12) 己亥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6 b201(12) 庚子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7 b200(12) 辛丑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8 b199(12) 壬寅 ⇨ 前漢01代 高祖[劉邦] b206~b195 元年 09 b198(12) 癸卯 ⇨ 前漢01代 高祖[劉邦..

이제 주변 사람들의 이름을 직접 지어주세요. 성명학, 이름 짓는 법. 개명, 좋은 이름 감별법. 개명법.

1. 개요 사람들, 특이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이름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현재 뿐 아니라, 고대나 중세에도 만찬가지였지요. 운세를 좌우하는 큰 뿌리와 기둥을 태어난 연월일시인 사주팔자라 하고, 그 지붕을 이름인 성명학이라고 한다. 이름은 크게 세 가지의 성격을 갖는데, 첫째 소리, 둘째 수리, 셋째 뜻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99%의 사람들이 한자 이름으로 짓는데, 그 한자의 음과 뜻과 획수가 좋은 이름을 판별하는 척도가 된다. 여기서 이름에 있어서 중요도의 순서를 말씀드리면, 첫째는 획수요. 둘째는 소리요, 셋째는 뜻이다. 2. 이름 짓기의 중요도 여기서 그 중요도를 퍼센트로 말씀드리면, 획수가 80%요, 소리가 15%요, 뜻이 5%정도 차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름 짓기에 있어서 다시 말씀드리면, 획수..

한국의 속담 모음 가나다

한국의 속담 [가] 가갸 뒷다리도 모른다. 가갸 뒷자도 모른다.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가까운 무당보다 먼 데 무당이 용하다. 가난 구제는 나라도 못한다. 가난 구제는 지옥 ㄴ이라. 가난한 집 제사 돌아오듯 한다. 가난한 집 제삿날 돌아오듯.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가는 떡이 커야 오는 떡도 크다. 가는 말에 채찍질한다. 가는 말에 체찍질. 가는 말에 체찍질한다. 가는 말에도 채를 치라고 했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가는 손님은 뒤꼭지가 예쁘다. 가던날이 장날이다. 가랑잎에 불 붙이기. 가랑잎으로 눈 가리고 아웅한다.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한다. 가랑비에 옷 젖는줄 모른다.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가마 밑이 노구솥 밑을..

촌수에 대하여, 촌수 계산법, 친족의 촌수

촌수에 관하여 ​ 촌수란 친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체계이다. 3, 4촌의 경우는 친족 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우선 부부관계는 촌수가 없으며, 부자관계는 1촌, 형제관계는 2촌이 된다. 각 명칭에서 '叔(숙)'은 아저씨, 姪(질)은 조카, '嫂(수)'는 형제의 아내를 뜻한다. ​ ​ 친족이란 촌수가 가까운 사람들을 말한다. 법률상 배우자, 혈족, 인척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배우자와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남편의 8촌 이내의 부계 혈족, 남편의 4촌 이내의 모계 혈족, 처의 부모 등을 이른다. 8촌의 기준은 고조까지 '4대 봉사'라 하여 제사를 모심으로써 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는 관계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 ​ 1) 백부(伯父), 숙부(叔父), 고모(姑..

한자 수수께끼 한자 모양 풀이로 한자를 맞히기, 한자 풀이 퀴즈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가벼운 마음으로 퀴즈를 풀어보세요. ◎ 도야지 갓쓴 글자는? 가家 ◎ 항우와 소진이 함께 말 탄 글자는? 가駕 ◎ 세 계집이 솥발같이 앉은 글자는? 간姦 ◎ 들기 좋고,놓기 좋고,먹기 좋은 글자는? 감甘 ◎ 죽은 지는 오래되, 살았다는 글자는? 거居 ◎ 섰거라 섰거라, 가로되가로되,비켜라비켜라,재쳐라재쳐라하는 글자는? 경競 ◎ 나무가 옥에 갇힌 글자는? 인因 ◎ 새가 나무가지를 물고 가는 글자는? 구九 ◎ 어떤 사람을 옥에 가둔 글자는? 국國 ◎ 입이 넷 달린 개(犬) 라는 글자는? 기器 ◎ 노인의 입이 왼편에 있는 글자는? 기嗜 ◎ 늙은이가 지팡이 짚은 글자는? 내乃 ◎ 左七.右七의 글자는? 녀女 ◎ 오늘도 다 가고 내일도 다 간 글자는? 다多 ◎ 山이 선(立) 글자는?..

백가성百家姓 중국의 대표적인 성씨를 나열한 운문

《백가성》(百家姓)은 중국의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기 위한 학습서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중국의 대표적인 성씨를 나열한 것이지만, 《삼자경》·《천자문》과 같이 운문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 《백가성百家姓》 趙錢孫李 周吳鄭王 馮陳褚衛 蔣沈韓楊 朱秦尤許 何呂施張 孔曹嚴華 金魏陶姜 戚謝鄒喩 柏水竇章 云蘇潘葛 奚范彭郎 魯韋昌馬 苗鳳花方 兪任袁柳 鄧鮑史唐 費廉岑薛 雷賀倪湯 藤殷羅華 郝鄔安常 樂于時付 皮卞齊康 伍余元卜 顧盈平黃 和穆肖尹 姚邵湛汪 祁毛禹狄 米貝明藏 計伏成戴 談宋茅龐 熊紀舒屈 項祝董梁 樊胡凌霍 虞萬支柯 昝管盧英 萬候司馬 上官歐陽 夏候諸葛 聞人東方 赫連皇甫 尉遲公羊 澹台公治 宗政濮陽 淳于單于 太叔申屠 公孫仲孫 轅軒令狐 鐘離宇文 長孫幕容 司徒師空 顓孔端木 巫馬公西 漆雕樂正 壤駟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