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조 3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정조, 김홍도 그림, 무술, 무협, 권법, 검술, 창술, 이덕무

알리는 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란 무예(武藝)를 그림[圖]과 설명[譜]을 함께 담은 종합서[通志]라는 뜻으로, 『무예통지』·『무예도보』·『무예보』라고도 한다. 정조(正祖)가 직접 편찬의 방향을 잡은 후 이덕무(李德懋, 1741~1793), 박제가(朴齊家, 1750~1805), 백동수(白東脩, 1743~1816) 등에게 명령하여 작업하게 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규장각의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 이 두 사람은 뛰어난 문장가였고 장용영(壯勇營)의 초관(硝官)인 백동수는 장용영의 무사들과 함께 1년여 간 각고의 노력을 하여 무예의 기법을 체계화하여 만든 작품이다. 임진왜란 후 군사의 무예훈련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의 『무예제보(武藝諸譜)』가 간..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 정조, 김홍도 그림, 예의, 유교경전, 삼강오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는 다섯 가지 실천덕목인 오륜(五倫)을 실천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책이다. 1797년 정조(正祖)의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와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합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책으로, 총 5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을 보면, 각각의 내용에는 먼저 도상(圖像)이 실려 있고 이에 대한 해설과 찬(贊)이 있으며, 아울러 한글 번역이 실려 있다. 도상에는 이야기의 주요한 장면을 부각하여 보다 간단하고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도판을 먼저 싣고 그 다음에 이야기를 붙임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한 연후에, 설명을 읽도록 편찬하였다. 그림의 인물 표현 및 화법으로 보면, 당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유행한 김홍..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한문 원문, 한글 번역, 불경, 불교경전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 통상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이라고 한다. 부모님의 은혜가 끝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경이다. 여기에 실린 변상도는 1796년(정조 20년) 용주사(龍珠寺)에서 간행된 것으로, 정조가 부모님의 은혜를 기리는 뜻에서 김홍도(金弘道)에게 직접 그림을 그리도록 명하였고 한다. 아기를 잉태하고 지켜주신 은혜[懷胎守護恩] 여러 겁 지나오며 인연이 깊고 깊어 금생에 이르러서 모태에 자리했네 달 지나 세월 흘러 오장이 생겨나고 일곱 달 지나서는 육정이 열리었네 육신은 무겁기가 산악과 한가지요 거동을 할 때마다 바람도 겁이 나네 비단옷 입을 생각 도무지 하지 못해 화장대 거울에는 먼지만 자욱하네 累劫因緣重 今來託母胎 月逾生五臟 七七六精開 體重如..

카테고리 없음 2023.07.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