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些) : 적을 사.
◎ 사(俟) : 기다릴 사.
◎ 사(射) : 실흘 역.
◎ 사(祠) : 사당.
◎ 사(紗) : 깁 사.
◎ 사(肆) : 가가 사.
◎ 사(飼) : 먹일 사.
◎ 사(駟) : 빠른말 사.
◎ 사(榭) : 사뎡 사.
◎ 사(儩) : 다할 사.
◎ 사(涘) : 물가 사.
◎ 사경구갈(四經裘葛) : 사년된 말.
◎ 사고(四顧) : 사면으로 도라보는 뜻.
◎ 사구(四求) : 사면으로 구하는 뜻.
◎ 사난(乍暖) : 적이 땃땃한 뜻.
◎ 사니(似泥) : 과이취한모양.
◎ 사령운(謝靈運) : 人名畢婚斷家事.
◎ 사리(仕履) : 벼슬하는 사람의 안부
◎ 사림(士林) : 각쳐 선배.
◎ 사매(舍妹) : 누의.
◎ 사면수화(似免水火) : 수렴과 화렴은 면할 듯.
◎ 사문(私門) : 겸사니 내 집의 뜻.
◎ 사박(紗薄) : 사같이앏은것.
◎ 사백(舍伯) : 친형
◎ 사사(査査) : 가치 소래.
◎ 사서(謝書) : 답장이란 말.
◎ 사성(四星) : 연월일시 사주.
◎ 사소(些少) : 적은 뜻.
◎ 사수(査收) : 사실하야 밧는 뜻.
◎ 사수려(斯須閭) : 暫時.
◎ 사신곡복(絲身榖腹) : 衣食.
◎ 사연(肆然) : 방사히.
◎ 사우(四友) : 紙筆硏墨.
◎ 사자(使者) : 술가저간사람.
◎ 사적(私覿) : 皇室에셔宗親과外戚을私見하시는禮
◎ 사전(似箭) : 빨은 뜻.
◎ 사제(査弟) : (편지(便紙) : 등(等) : 에서) : 친사돈(親査頓) : 사이에 자기(自己) : 를 겸손(謙遜) : 하게 이르는 말.
◎ 사제(舍弟) : 친동생
◎ 사중(射中) : 사위힌뜻.
◎ 사진(仕進) : 볘살하난 사람 사무보난 것.
◎ 사찰(寺刹) : 절.
◎ 사친종형(事親從兄) : 어버이를 셤기고 형을 좃는 뜻.
◎ 사표(師表) : 스승.
◎ 사하생(査下生) : 사돈간 아주 높임
◎ 사한(蜡寒) : 섣달 추후.
◎ 髿(髿) : 터럭 얼킬 사.
◎ 삭망(朔望) : 초하로보롬.
◎ 澘(澘) : 흐터저 흐를 산.
◎ 산기(產期) : 해산 달.
◎ 산대(山大) : 산같이큰다는 말.
◎ 산두(山斗) : 추앙한다는 뜻.
◎ 산만(刪蔓) : 인사는 빼고 바로 할 말로 들어가겠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첫머리에 쓰는 말.
◎ 산扄(山扄) : 산 즁 집.
◎ 澘연(澘然) : 흐르는 모양.
◎ 산점(產点) : 해산할 기미의 뜻.
◎ 산중수복(山重水複) : 쳡쳡한 모양.
◎ 산진해착(山珍海錯) : 가진음식.
◎ 산화실중(散花室中) : 維摩居士의方丈室中에天女ㅣ散花.
◎ 살략표겁(殺掠剽刼) : 죽이고 돈 빼앗난 것.
◎ 삼(鬖) : 터럭 얼킬 삼.
◎ 삼경(三徑) : 벗맛난길.
◎ 삼도부(三都賦) : 左思賦因此紙貴價高.
◎ 삼라(森羅) : 버려있은 뜻.
◎ 삼로동공(三老董公) : 사람의이름.
◎ 삼부(蔘附) : 人蔘附子.
◎ 삼산(三山) : 삼신산.
◎ 삼숙이후출주(三宿而後出晝) : 孟子ㅣ去齊하실새三宿而後出晝.
◎ 삼신(三神) : 산 이름.
◎ 삼양(三陽) : 正月양기.
◎ 삼여(三餘) : 三冬.
◎ 삼의(三義) : 세가지뜻.
◎ 삼찬(三餐) : 삼시밥.
◎ 삼척오비(三尺吾鼻) : 俗謠이니내코가석자란말.
◎ 삼파선(三把扇) : 셰개붓쳐.
◎ 삽(颯) : 바람 소래 삽.
◎ 삽(插) : 꼬즐 삽.
◎ 삽봉선별(霎奉旋別) : 잠깐 만낫다가 도로 리별하단 말.
◎ 삽입(插入) : 꼬자너미라.
◎ 상(爽) : 맑을 상.
◎ 상(翔) : 回飛也 도라날 상.
◎ 상(觴) : 잔 상.
◎ 상(賞) : 상줄 상.
◎ 상(顙) : 이마 상.
◎ 상거초원(相距稍遠) : 상거가 조곰 멀단 뜻.
◎ 상달(上達) : 올녀엿잡한다는 뜻
◎ 상령(霜令) : 구월.
◎ 상명(喪明) : 눈먼뜻.
◎ 상문지연(桑門之緣) : 환생하난 연.
◎ 상배(喪配) : 상처.
◎ 상백(上白) : 올녀살오한다는 뜻
◎ 상복(商卜) : 人名也.
◎ 상사(上謝) : 답장 올립니다
◎ 상심(賞心) : 구경할마암.
◎ 상양(徜徉) : 두루거리한다는 뜻.
◎ 상업(相業) : 정승사업.
◎ 상여(相如) : 사람 이름이니 성은 사마요 문장이라.
◎ 상엽(霜葉) : 단풍.
◎ 상영(賞詠) : 구경하고 읍조리단 말.
◎ 상욕(床褥) : 병석.
◎ 상원(上元) : 정월보름.
◎ 상위(霜威) : 셔리기운이한다는 뜻.
◎ 상유(桑楡) : 해돗고 지난 곳이라.
◎ 상장(相將) : 서로 의지.
◎ 상적(相敵) : 상당한 뜻.
◎ 상적(相適) : 서로 적당.
◎ 상전벽해(桑田碧海) : 변하는 뜻.
◎ 상좌(相左) : 서로 외지단 말.
◎ 상천(霜天) : 9월
◎ 상태(狀態) : 모양.
◎ 상토(相土) : 天子昇遐에卜地吉凶
◎ 상판(商販) : 장사.
◎ 상풍(賞楓) : 단풍 구경.
◎ 상황(狀況) : 형편.
◎ 새(塞) : 맥힐 색.
◎ 새책(塞責) : 꾸지람막음이라.
◎ 색미(索米) : 밥 먹는 모양.
◎ 색사(穡事) : 年事.
◎ 색사(索絲) : 아내잘엇은 뜻
◎ 색색(色色) : 여러가지.
◎ 색통(索通) : 독촉하다는 뜻.
◎ 색포(索逋) : 독촉하난뜨.
◎ 생(甥) : 생질 생.
◎ 생령(生靈) : 백성.
◎ 생례(省禮) : 예절(禮節) : 을 덜고 쓴다는 뜻으로, 상제(喪制) : 나 중복인에게 보내는 편지(便紙) : 첫머리에 쓰이는 말.
◎ 생산(生産) : 살님.
◎ 생식(省式) : 예를 생략함, 주로 상중에 있는 사람이 예를 갖출 수 없다는 뜻으로 사용
◎ 생자(生紫) : 생색.
◎ 생전(生全) : 사는 것을오로지하는 것.
◎ 서(庶) : 거위 서.
◎ 서(逝) : 갈 서.
◎ 서(噬) : 씹을 설.
◎ 서(婿) : 사위 서.
◎ 서강수(西江水) : 莊子視車轍中에有鮒魚焉하야呼曰我는東海之波臣也라君이豈有升斗之水而活我耶아周曰吾且南游吳楚하야激西江之水而迎子ㅣ可乎ᅟᅵᆫ뎌鮒ㅣ忿然作色曰吾得升斗之水면即活耳라如君言인대得無遲乎아曾不如早索我於沽魚之肆.
◎ 서담지(徐湛之) : 人姓名.
◎ 서사(書辭) : 편지.
◎ 서사(叙仕) : 벼살식힌것.
◎ 서식(捿息) : 거처하한다는 뜻.
◎ 서유(恕宥) : 용셔하한다는 뜻.
◎ 서의(西醫) : 서양의원.
◎ 서자아자(書自我自) : 글은글나는나.
◎ 서주(書厨) : 책고가.
◎ 서창(西窓) : 친구만나난곳.
◎ 석건(惜乾) : 가무한다는 뜻
◎ 석류일분(石榴一盆) : 돌에 언 석유나무하나이라.
◎ 석수어(石首魚) : 조기.
◎ 석연(釋然) : 쾌하기.
◎ 석전(碩田) : 벼루.
◎ 석향후(石鄕侯) : 벼루.
◎ 선(羨) : 부러울 선.
◎ 선(蟬) : 매미 선.
◎ 선(鮮) : 적을 선.
◎ 선(尠) : 적을 삼.
◎ 선각(先覺) : 先進.
◎ 선고(先考) : 죽은 아버지.
◎ 선과(善課) : 공부를잘하는 것.
◎ 선단(仙丹) : 선약.
◎ 선대인(先大人) : 존칭이니 저 사람의 쥭은 아비.
◎ 선명(鮮明) : 고혼뜻.
◎ 선비중(善庇中) : 모시고 잘있난 것이라.
◎ 선생찬(先生饌) : 有酒食先生饌.
◎ 선서(仙逝) : 상사난 것이라.
◎ 선선(詵詵) : 詩云官爾子孫詵詵兮于定國曰吾家에有盛德하니當高大門閭하야令容駟馬
◎ 선성(璇星) : 婺宿之一名.
◎ 선어혈색(鮮於血色) : 피빗보다고온뜻.
◎ 선왕(旋往) : 도라가는 뜻.
◎ 선유(仙遊) : 돌아가신 것.
◎ 선장(仙庄) : 남의 집 존층.
◎ 선조(先兆) : 선산.
◎ 선주(仙舟) : 李膺郭秦同舟渡江하니人謂神仙中人
◎ 선포(善哺) : 음식잘먹는 것.
◎ 선필자(善筆者) : 글씨잘쓰는사람.
◎ 설가봉(薛家鳳) : 薛攸一門을世稱河東三鳳.
◎ 설공(薛公) : 맹상군이니 五月五日에 生함.
◎ 설대(舌代) : '말의 대신(代身) : '이란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 쓸 때 첫머리에 쓰는 말.
◎ 설루(雪樓) : 明時王世貞이起白雪樓하고聚集才子唱和.
◎ 설지호(薛之豪) : 맹상군의 호걸
◎ 설편(泄便) : 셜사.
◎ 설화륙출(雪花六出) : 世間花卉에惟藤花雪花가色白而六出
◎ 섬(贍) : 넉넉할 섬.
◎ 섬(閃) : 번뜩일 섬.
◎ 섬(摻) : 잡을 삼.
◎ 섬륜(蟾輪) : 古說에月中에有玉蟾蜍云故로月有此名.
◎ 섭(涉) : 건늘 섭.
◎ 섭렵(涉獵) : 셔적을 보는 모양.
◎ 섭렵(渉獵) : 보는 뜻.
◎ 성(醒) : 깰 성.
◎ 성고(成痼) : 고질되난 것.
◎ 성기(盛紀) : 紀綱은古奴僕의稱.
◎ 성당(盛唐) : 문장 만흘 때.
◎ 성략(省畧) : 파리하는 것드는 것.
◎ 성례(省禮) : 례절이한다는 뜻.
◎ 성리(省履) : 시하에 있난 몸.
◎ 성명(性命) : 목숨.
◎ 성모(省暮) : 산소에 가는 말.
◎ 성북서공(城北徐公) : 齊國美麗者.
◎ 성상(星霜) : 세월.
◎ 성상(省狀) : 뫼신형상.
◎ 성서(盛暑) : 6월
◎ 성솔(省率) : 부모.
◎ 성안(省安) : 모시고 잘 있다는 뜻.
◎ 성적(盛蹟) : 장한 사적.
◎ 성팽(盛伻) : 저 사람의하인.
◎ 성하(省下) : 시하.
◎ 성혈야화(猩血野火) : 붉은빗.
◎ 성혈연지(猩血臙脂) : 단풍빗.
◎ 성화(聲華) : 저 사람의 소문.
◎ 세가(稅駕) : 詩云稅于農郊○稅는還駕也.
◎ 세고(細考) : 자상히 상고함이라.
◎ 세군(細君) : 마루라.
◎ 세도(世道) : 세상일.
◎ 세막(歲莫) : 섣달금뭄.
◎ 세모(歲暮) : 十二月時.
◎ 세색수모(歲色垂暮) : 해가는저가는 것.
◎ 세쇄(細瑣) : 가난 일이란 뜻.
◎ 세약(歲籥) : 새해에 부난 젓대.
◎ 세옥(貰屋) : 세 내고 있은 집.
◎ 세월간운(歲月看雲) : 집 생각하고 아오 생각 하는 뜻.
◎ 세유(繐帷) : 麤布蔽棺帷之帳
◎ 세율운모(歲聿云暮) : 해가저문다는 말.
◎ 세의(世誼) : 대대 친한 정의.
◎ 세의(歲儀) : 歲饌也.
◎ 세제(世弟) : 대대로 교분이 있는 집안의 윗사람에게 하는 말
◎ 세진(帨辰) : 女子回甲也.
◎ 쇄풍(洒風) : 바람 쏘이난 뜻.
◎ 세하생(歲下生) : 대대로 교의가 있을 경우 자신을 낯추어 부름
◎ 소(溯) : 거슬을 소.
◎ 소(紹) : 이을 소.
◎ 소(訴) : 아리올 소.
◎ 소(邵) : 놉흘 소.
◎ 소(繅) : 고치 켜낼 소.
◎ 소(䟽) : 글 소.
◎ 소간(宵旰) : 宵는深夜오旰는日晩=○唐李의對憲宗曰此는陛下宵衣旰食之時.
◎ 소간(所幹) : 볼일.
◎ 소개(紹介) : 介는間也居間而紹通.
◎ 소건(蘇健) : 병 나흔 것.
◎ 소견(消遣) : 소일.
◎ 소경(少頃) : 조금 있다는 말.
◎ 소납(笑納) : 주로 편지(便紙) : 따위에 쓰는 것으로, 변변치 않은 물건(物件) : 이지만 웃고 받아 달라는 뜻으로 겸손(謙遜) : 하게 일컫는 말.
◎ 소당(卲棠) : 卲公의名은奭이오周文王時人이니宣布文王之德於南國할새每憩棠樹之下하니後人이勿伐而歌之<두주
◎ 소동파(蘇東坡) : 蘇子瞻.
◎ 소봉(素封) : 富人之稱.
◎ 소선(少選) : 조금 있다가.
◎ 소선(蘇仙) : 소동파니 송나라 문장이라.
◎ 소설(小說) : 이약이 책.
◎ 소소(所笑) : 우슴거리.
◎ 소슬(蕭瑟) : 쓸쓸한 뜻.
◎ 소시(小厮) : 小奚奴
◎ 소시(所恃) : 어머니.
◎ 소식(蔬食) : 나물밥이니 상제음식.
◎ 소여지가(掃如之家) : 아무 것도 없는 집.
◎ 소완(蘇完) : 소복.
◎ 소요(逍遙) : 노니한다는 뜻.
◎ 소위체(小爲替) : 우편돈 부치난 것.
◎ 소일의탄(少一의歎) : 하나 없는 탄식이니 저 사람과 한가지 놀지 못한 뜻.
◎ 소자(小子) : 제자
◎ 소제(小弟) : 상대와 10살 정도 차이
◎ 소제(少弟) : 年辰이十年以下의者.
◎ 소조(蕭條) : 으스스한것.
◎ 소착(所着) : 입을바.
◎ 소춘(小春) : 十月節.
◎ 소탑(掃榻) : 자리를쓴말.
◎ 소해(小奚) : 아해하인.
◎ 소호(所怙) : 아바지.
◎ 소황(蘇黃) : 蘇軾黃庭堅.范蜀公仲淹이云不作賢相濟世면寧作良醫壽民
◎ 속(續) : 이을 속.
◎ 속대(束帶) : 옷 입난 것.
◎ 속루(俗累) : 진루.
◎ 속용(俗冗) : 속루.
◎ 속용(俗宂) : 속루.
◎ 속장(束裝) : 행장을 싸는 뜻.
◎ 속초(續貂) : 저 사람글에 달아짓난 것.
◎ 속현(續絃) : 재취하는 뜻.
◎ 속후(續后) : 다음에 말한다난 뜻.
◎ 손명부(孫明復) : 사람 성명이니 중추월 노래 지은 사람이라.
◎ 손생(孫甥) : 손셔.
◎ 손의(損義) : 의무로 돈낸 것이라.
◎ 손제(損弟) : 겸사.
◎ 송(頌) : 칭송할 송.
◎ 송경설초(誦經設醮) : 불도에 하난 일.
◎ 송무백열(松茂栢悅) : 친구잘되난깃쁨.
◎ 송양(頌揚) : 칭송.
◎ 송옥두로(宋玉杜老) : 옛적문징.
◎ 송인요래(送人邀來) : 사람 보내여 다려오단 말.
◎ 송한(悚汗) : 두려워서나는땀.
◎ 쇄(瑣) : 가늘 쇄.
◎ 쇄서(曬書) : 칠석에 배가운대 글을 표쇄함이라.
◎ 쇄쇄(灑灑) : 맑은 모양.
◎ 쇄신(刷新) : 일신한.
◎ 쇄풍(灑風) : 바람쏘이는 뜻.
◎ 수(嗽) : 기춤 수.
◎ 수(嫂) : 아주미 슈.
◎ 수(瘦) : 파리할 수.
◎ 수(綏) : 편안 유.
◎ 수(遂) : 成也 일울 슈.
◎ 수(酬) : 갑흘 수.
◎ 수(需) : 음식 슈.
◎ 수(須) : 모름직이 수.
◎ 수(祟) : 병 근본 수.
◎ 수(綉) : 수 노흘 수.
◎ 수건(受愆) : 병된뜻.
◎ 수궁(數弓) : 두어할터
◎ 수기(隨機) : 사기를 땅라서.
◎ 수납(袖納) : 편지를 직접 가저가서 전하다
◎ 수년분수(數年汾水) : 漢武帝ㅣ游連汾水라가見秋風始悔月朝
◎ 수단(修短) : 壽夭의 뜻.
◎ 수륙(水陸) : 水路陸路.
◎ 수매(睡媒) : 조름.
◎ 수모(垂暮) : 거진 다 간 뜻.
◎ 수무(數武) : 활뒤바탕.
◎ 수묵(手墨) : 아랫사람 편지.
◎ 수미일주일(首尾一週日) : 시종이한주일.
◎ 수산(壽算) : 수하는 뜻.
◎ 수서(手書) : 손아래 사람의 편지.
◎ 수석(首席) : 쳣째.
◎ 수성(遂誠) : 정성이루한다는 뜻.
◎ 수세(水洗) : 물같이 설사.
◎ 수씨(嫂氏) : 季嫂.
◎ 수업생(受業生) : 生의自學.
◎ 수운(壽韵) : 슈하신 기운.
◎ 수운(晬韻) : 슈연운.
◎ 수원역(水原驛) : 水原停車場.
◎ 수유(茱萸) : 꽃나무 이름.
◎ 수유(須臾) : 잠깐.
◎ 수유낭(茱萸囊) : 구일에차는주머니.
◎ 수자(手滋) : 아랫사람 편지.
◎ 수전(手戰) : 손떨이단뜻.
◎ 수주(垂注) : 위로한 편지.
◎ 수즉(隨即) : 그때곳.
◎ 수지(手紙) : 지폐.
◎ 수지(首指) : 엄지손가락.
◎ 수진(水陳) : 섬에서큰것.
◎ 수찰(手札) : 편지.
◎ 수택(手澤) : 손덕택.
◎ 수포(數包) : 누감만이.
◎ 수하(手下) : 아랫사람.
◎ 수함(手凾) : 손아래사람의 편지.
◎ 수향(殊鄕) : 타향.
◎ 수호(繡虎) : 文章也.
◎ 수획(手劃) : 아래사람편지.
◎ 숙(塾) : 서당 숙.
◎ 숙(菽) : 콩 숙.
◎ 숙(焂) : 문득 숙.
◎ 숙경(倐經) : 훌적지내다는 말.
◎ 숙계(夙契) : 에전 정의.
◎ 숙계(肅啓) : 삼가 아뢴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의 첫 머리에 쓰는 말.
◎ 숙공(宿工) : 예젼한 공부.
◎ 숙년동학(宿年同學) : 竹馬故交의 뜻.
◎ 숙달(夙達) : 조달.
◎ 숙덕과의범(淑德과懿範) : 착한 덕과 아함다온 법.
◎ 숙배(肅拜) : '삼가 정숙(靜肅) : 하게 절합니다'의 뜻으로, ①경의(敬意) : 를 표(表) : 하여 편지(便紙) : 의 끝에 쓰는 말 ②서울을 떠나는 벼슬아치가 임금께 작별(作別) : 을 아룀.
◎ 숙백(叔伯) : 형제.
◎ 숙苄(熟苄) : 슉지황.
◎ 숙부(叔父) : 아바지 동생.
◎ 숙소상친(夙所相親) : 처음붓터 친한 사이.
◎ 숙야(夙夜) : 아침 저녁.
◎ 숙양(宿樣) : 이전 모양.
◎ 숙원(夙願) : 이왕브터원한것.
◎ 숙원(宿願) : 젼붓터 원하난 바.
◎ 숙원(淑媛) : 착한부인.
◎ 숙월(宿月) : 去月.
◎ 숙유(宿儒) : 늘근선배.
◎ 숙자방의(淑姿芳儀) : 여자의 헌숙한 태도.
◎ 숙정(肅呈) : 삼가 받들어 올린다는 뜻으로, 한문투(漢文-) : 편지(便紙) : 의 첫머리에 쓰는 인사말.
◎ 숙하(熟芐) : 슉지황.
◎ 숙환(宿患) : 오랜병.
◎ 순(循) : 그대로 미러간 것.
◎ 순(洵) : 진실노 순.
◎ 순(盾) : 방패 순.
◎ 순(瞬) : 눈 깜짝일 순.
◎ 순(諄) : 거듭 일늘 순.
◎ 순간(瞬間) : 깜박한동안.
◎ 순만(順娩) : 순산.
◎ 순서(順序) : 차례.
◎ 순선(旬宣) : 감사정치.
◎ 순소(郇召) : 어진관찰.
◎ 순순은은(諄諄慇慇) : 자세한 뜻.
◎ 순식간(瞬息間) : 잠깐 동안.
◎ 순씨룡(荀氏龍) : 荀氏가有子八人에謂之八龍.
◎ 순효(純孝) : 순전한 효도.
◎ 숭(崇) : 놉흘 숭.
◎ 숭독(崇牘) : 저 사람의 편지.
◎ 숭조(崇照) : 잘 살펴봐주세요
◎ 슬슬(瑟瑟) : 쓸쓸한 뜻.
◎ 슬하(膝下) : 부모의 실하.
◎ 슬행(膝行) : 기는 뜻.
◎ 습(拾) : 주을 습.
◎ 습습(習習) : 음랭한 뜻.
◎ 습유(拾遺) : 도적질.
◎ 승(昇) : 올을 승.
◎ 승(蠅) : 파리 승.
◎ 승가(勝佳) : 썩잘있은 것.
◎ 승감(升鑑) : '드리니 보아주시오'의 뜻으로, 조금 높이는 자리에, 편지(便紙) : 겉봉 받는 이의 이름 아래에 쓰는 말.
◎ 승경(勝景) : 좋은경치.
◎ 승계(升啓) : 편지(便紙) : 겉봉에 받는 이의 이름 밑에 '앞'이란 뜻으로 쓰는 말.
◎ 승기(勝己) : 나보다 나흔 사람.
◎ 승도(勝道) : 다말하는 뜻.
◎ 승두(蠅頭) : 적단 말.
◎ 승룡(乘龍) : 桓元叔婿李膺黃憲.
◎ 승룡(承龍) : 桓元叔■李膺黃憲.
◎ 승문(承聞) : 소식.
◎ 승인(承認) : 인허를어듬이라.
◎ 승조(勝朝) : 前朝.
◎ 승하(承荷) : ▣▣밧은 뜻.
◎ 승학양주(乘鶴楊州) : 일시에 두 가지 경사를 겸한 뜻.
◎ 시(媤) : 시집 시.
◎ 시(恃) : 밋을 시.
◎ 시(啻) : 뿐 시.
◎ 시(腮) : 뺨 시.
◎ 시구(蓍龜) : 밝게아는 뜻.
◎ 시모(時耗) : 세상▣문.
◎ 시문(柴門) : 싸리짝문.
◎ 시벽반제(試躄攀躋) : 거럼을 시험하야 붓들고 산에 올나가난 뜻.
◎ 시복(試服) : 시험하야먹는 뜻.
◎ 시사(侍史) : ①옆에 모시어 문서(文書) : 를 맡는 사람 ②(시사(侍史) : 를 통(通) : 하여 올린다는 뜻) : 편지(便紙) : 겉봉에 받는 이를 공경(恭敬) : 하는 뜻으로, 그 이름 아래에 쓰는 말 ③감찰(監察) : 시사(侍史) : ④사헌(司憲) : 시사(侍史) : ⑤조선(朝鮮) : 시대(時代) : 초(初) : 에 사헌부(司憲府) : 의 정4품(正四品) : 벼슬. 태종(太宗) : 원년(元年) : (1401) : 에 장령(掌令) : 으로 고침.
◎ 시사(始仕) : 四十時.
◎ 시사(詩詞) : 귀글.
◎ 시생(侍生) : 부모와 같이 대우, 부모로 모시는 몸, 生은 자기를 부르는 명사
◎ 시생(視生) : 당신을 모시는 몸이란 뜻으로, 한문투(漢文-) : 편지(便紙) : 에서 웃어른에게 대(對) : 하여 자기(自己) : 를 낮추어 이르는 말.
◎ 시선(視膳) : 반찬보는 뜻.
◎ 시술(試術) : 시험하다는 뜻.
◎ 시심(矢心) : 맹셔.
◎ 시월지제(時月之製) : 노인에 대하야 상구를 준비함이라.
◎ 시의(市義) : 활협한다는 뜻.
◎ 시일지비(時日之備) : 노인에 대한 상구를 준비함이라.
◎ 시일지제(時日之製) : 상구를 미리 준비함이라.
◎ 시장(試場) : 시험마당.
◎ 시전(視篆) : 사무보한다는 뜻
◎ 시전지언자(詩傳之言字) : 語辭.
◎ 시체(侍體) : 부모(父母) : 를 모시고 있는 몸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 받을 사람의 안부(安否) : 를 묻는 말.
◎ 시탕(侍湯) : 부모병에 약다림이라.
◎ 시탕여음(侍湯餘陰) : 약 다리는 여가.
◎ 시하(侍下) : 존장 젼에 졔 몸을 자층.
◎ 시하(是荷) : 감격한 뜻.
◎ 시하(時下) : 이때, 요즈음의 뜻으로, 편지(便紙) : 에서 쓰는 말.
◎ 시하생(侍下生) : 할아버지와 허교하는 사람에게 칭하는 용어
◎ 시한(始寒) : 10월
◎ 시황(侍況) : 侍狀과 갓함.
◎ 시훼반벽(凘毁攀擗) : 지극히 애통하난 모양.
◎ 식(寔) : 진실노 식.
◎ 식(式) : 用也 썰 시.
◎ 식(拭) : 싯출 식.
◎ 식(殖) : 불을 식.
◎ 식빈(食貧) : 가난한 것.
◎ 식선(飾膳) : 부모 깃부게 하다는 뜻.
◎ 식소사번(食小事繁) : 먹을 것은 적고 일은 만탄 말.
◎ 식송망정(植松望亭) : 솔 심어 정자 바람 이니 느젓단 말.
◎ 식식(食息) : 먹고쉬는 뜻.
◎ 식일(式日) : 날마다.
◎ 식형(識荊) : 놉흔 친구를 아난 것.
◎ 식희(飾喜) : 부모기부게하는 뜻.
◎ 신(伸) : 펼 신.
◎ 신(燼) : 불탄끝 신.
◎ 신(訊) : 무를 신.
◎ 신(迅) : 빠를 신.
◎ 신(哂) : 우슬 신.
◎ 신(矧) : 하물며 신.
◎ 신(頣) : 늙은니 이.
◎ 신가(身家) : 제몸.
◎ 신구(新舊) : 신구학생.
◎ 신납(哂納) : 웃고밧한다는 뜻.
◎ 신농(神農) : 古聖人也.
◎ 신명(新蓂) : 책력풀이니 새해란 뜻.
◎ 신반(辛盤) : 新正의辛菜盤이니辛菜는五辛菜
◎ 신반가사(身絆家事) : 몸이 집일에 잡힌 것이라.
◎ 신상(神相) : 상대의 건강
◎ 신섭(愼攝) : 조심하야죠셥함이라.
◎ 신수(哂收) : 웃고밧한다는 뜻.
◎ 신우(神禹) : 夏禹氏.
◎ 신우(薪憂) : 신병.
◎ 신원(新元) : 정월.
◎ 신음(呻吟) : 알난모양.
◎ 신인(新人) : 신부.
◎ 신절(愼節) : 든몸.
◎ 신정(新正) : 1월
◎ 신채(辛菜) : 五辛葷菜니新正祓除之饌.
◎ 신체(信遞) : 신편이란 말.
◎ 신추(新秋) : 七月.
◎ 신탁(申托) : 거듭부탁하는 뜻.
◎ 신호(神護) : 신인이 두호함이라.
◎ 신후(愼候) : 병즁.
◎ 신희(新禧) : 새해복.
◎ 실가(室家) : 장가간뜻.
◎ 실부(實副) : 마암에마진뜻.
◎ 실업(實業) : 장사.
◎ 실음(實音) : 부고.
◎ 실인(室人) : 마루타.
◎ 실임(失飪) : 덜끌인것.
◎ 실호(失怙) : 부친상사.
◎ 심(嬸) : 弟婦之稱.
◎ 심(諗) : 알 염.
◎ 심계(深契) : 깊은 정게.
◎ 심곤부인(尋壼夫人) : 壼儀는他人之妻를尊稱이니壼는宮中■
◎ 심난여마(心亂如麻) : 마음이 슈란함이라.
◎ 심량(甚凉) : 량박한 뜻.
◎ 심복(心腹) : 진심으로 복종.
◎ 심상(尋常) : 무심한때.
◎ 심생(甚生) : 이상한 뜻.
◎ 심서(心緖) : 마암.
◎ 심서(甚書) : 무삼글.
◎ 심서불효(鬵書不孝) : 책을파는 것은불효.
◎ 심정(心㫌) : 心搖搖如懸㫌.
◎ 심획(心劃) : 편지.
◎ 십구(十口) : 만흔 식구.
◎ 십방대재(十方大齋) : 사방재 올니난 것.
◎ 쌍(雙) : ▣의 略字
◎ 쌍봉지통(雙峰之痛) : 딸죽은것.
◎ 쌍빈(雙鬂) : 량편귀밋털.
◎ 쌍안(雙安) : 부모두분이면안한것.
◎ 쌍진(雙珍) : 두보배.
◎ 쌍친(雙親) : 猶兩親也.
◎ 쌍하(雙賀) : 두 가지 하례.
◎ 쌍환(雙丸) : 日月.
◎ 아(峨) : 놉흘 아.
◎ 아(牙) : 엄금니 아.
◎ 아(訝) : 의심 아.
◎ 아(迓) : 마즐 아.
◎ 아<ch(阿<ch) :
◎ 아감(雅鑑) : '보아주십시오' 라는 뜻으로, 자기(自己) : 가 쓰거나 그린 서화(書畵) : 들을 남에게 증정(贈呈) : 할 때에 쓰는 말.
◎ 아계(阿季) : 내 동생.
◎ 아금(牙琴) : 伯牙ㅣ皷琴에鍾子期ㅣ聽之曰志在高山流水.
◎ 아납(迓納) : 새해를 맛고 복을 드리는 뜻이라.
◎ 아도물(阿睹物) : 王衍의妻憎衍之口未甞言錢字하고候其睡하야以錢繞床하니衍이起曰却此阿睹物.
◎ 아미(蛾眉) : 詩衛風에螓首蛾眉.
◎ 아세(亞歲) : 동지날.
◎ 아신(迓新) : 새해를마저.
◎ 아야(兒也) : 내 아들.
◎ 아울(訝鬱) : 의심나고 답답한 모양.
◎ 아의(雅誼) : 본래 정의.
◎ 아조(兒曹) : 애들.
◎ 아집(雅集) : 잘지은글모은것.
◎ 아채(兒債) : 喩子女之嫁娶也.
◎ 악(愕) : 놀낼 악.
◎ 악(握) : 잡을 악.
◎ 악(噩) : 놀낼 악.
◎ 악모(岳母) : 장모.
◎ 악별(握別) : 손잡고리별.
◎ 악숭하심(岳崇河深) : 산같이 놉고 물같이 깊은 뜻.
◎ 악장(岳丈) : 장인.
◎ 악화(惡化) : 악하기 된 것.
◎ 안도(安堵) : 편이사한다는 뜻.
◎ 안문성공(安文成公) : 諱난 裕오 號난 晦軒이오 諡號는 文成公.
◎ 안서(雁書) : 편지.
◎ 안소(雁素) : 편지.
◎ 안신(雁信) : 기러기가 전(傳) : 해 주는 편지(便紙) : 란 뜻으로, 지금은 단순(單純) : 히 편지(便紙) : 라는 뜻으로 사용(使用) : 됨. 편지(便紙) : , 소식(消息) : , 안서(雁書) : , 안백(雁帛) : 이라고도 함.
◎ 안옹(鴈嗈) : 기럭이 소래.
◎ 안찰(雁札) : 기러기가 전(傳) : 해 주는 편지(便紙) : 란 뜻으로, 지금은 단순(單純) : 히 편지(便紙) : 라는 뜻으로 사용(使用) : 됨. 편지(便紙) : , 소식(消息) : , 안서(雁書) : , 안백(雁帛) : 이라고도 함.
◎ 안하(案下) : '책상 아래'라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 겉봉에 상대자(相對者) : 를 높이어 그 이름 아래 쓰는 말.
◎ 안후(顏厚) : 詩云顏厚有忸怩顏厚는慙色也.
◎ 알(謁) : 뵈일 알.
◎ 알밀(遏密) : 帝堯沒하시니四海||八音.
◎ 알운(遏雲) : 구름에통한 뜻.
◎ 암(庵) : 암자 암.
◎ 암(諳) : 알 암.
◎ 암(黯) : 캉캄할 암.
◎ 암매(暗眛) : 어둡단 말.
◎ 암실명牗(暗室明牗) : 밝은운계.
◎ 암암(黯黯) : 생각하난 마음.
◎ 암읍(巖邑) : 山郡
◎ 압도(壓倒) : 이긴다는 말.
◎ 앙장(鞅掌) : 煩勞貌.
◎ 앙질(仰質) : 우러러질문.
◎ 앙탁(仰托) : 우러러 부탁하는 뜻.
◎ 앙탐(仰探) : 우러러 탐문한단 말.
◎ 애(愛) : 그 사람딸.
◎ 애(靄) : 아즈랑이 애.
◎ 애구(哀疚) : 애통하야 병됨이라.
◎ 애말(愛末) : 친구간.
◎ 애사(哀辭) : 祭文갓튼 것.
◎ 애황(哀遑) : 슬흐고창황한 뜻.
◎ 앵천(鶯遷) : 올나가한다는 뜻.
◎ 야(惹) : 있끌 야.
◎ 야기(惹起) : 끌어내는 뜻.
◎ 야식(夜識) : 모로나뜻.
◎ 야자무방(也自無妨) : 해롭지 안이한 뜻.
◎ 약(躍) : 뛸 약.
◎ 약관(弱冠) : 二十時.
◎ 약하(若何) : 어떠하신지요
◎ 양(恙) : 병들 양.
◎ 양(釀) : 비즐 양.
◎ 양계(陽界) : 이 세상.
◎ 양관(陽關) : 唐詩에西出陽關無故人
◎ 양기(瓖器) : 컨 그릇.
◎ 양두(讓頭) : 사양하는 뜻.
◎ 양례(襄禮) : 장사.
◎ 양부(陽復) : 희운되난 것.
◎ 양봉(襄奉) : 장사지내난 것.
◎ 양부(洋蚨) : 洋銀錢이니靑蚨은古錢名.
◎ 양예(襄禮) : 장례.
◎ 양웅(楊雄) : 人.
◎ 양장(羊腸) : 꼬불꼬불 하단 말.
◎ 양장(羊膓) : 꼬불꼬불한 뜻.
◎ 양친(兩親) : 부모.
◎ 어가(御家) : 집다사리는 뜻.
◎ 어분(於分) : 분슈.
◎ 어삽(語澁) : 말이깔끌어온것.
◎ 어안(魚雁) : 편지.
◎ 어안(魚鴈) : 편지.
◎ 어어(圉圉) : 어릿어릿하는 뜻.
◎ 어언(於焉) : 잔감.
◎ 어육(魚肉) : 죽을지경.
◎ 어찬(於粲) : 비한다는 뜻.
◎ 어초위우(漁樵爲友) : 고기 잡고 나무 하는 이를 벗하단 말.
◎ 어함(魚函) : 書札.
◎ 억(臆) : 가슴 억.
◎ 억새(抑塞) : 막해는 뜻.
◎ 억새(臆塞) : 가삼막힌뜻.
◎ 언(言) : 어조사.
◎ 언(唁) : 조상 언.
◎ 언간(諺簡) : (전날) : 언문 편지(便紙) : 라는 뜻으로, 우리 한글로 쓴 편지(便紙) : 를 얕잡아 이르던 말.
◎ 언급(言及) : 말한것.
◎ 언선(言旋) : 도라가는 말.
◎ 언식(偃息) : 누은 뜻.
◎ 언앙(偃仰) : 안꼬눕한다는 뜻.
◎ 엄(奄) : 문득 엄.
◎ 엄기(奄棄) : 졸지에 세상을 버림이라.
◎ 엄엄(奄奄) : 기운없는모양.
◎ 업(業) : 발서 업.
◎ 여뢰(如雷) : 들네한다는 뜻.
◎ 여모(如毛) : 틱럭가치만타말.
◎ 여부비례(餘不備禮) : '나머지는 예(禮) : 를 갖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끝에 쓰는 말.
◎ 여부선(餘不宣) : 나머지는 줄임
◎ 여세장사(與世長辭) : 세상 버리섯다는 뜻.
◎ 여온(餘蘊) : 섭섭한 마음.
◎ 여온(餘慍) : 餘恨의뜻.
◎ 여운(如雲) : 만은 뜻.
◎ 여인(輿人) : 지내가난 사람.
◎ 여제(如薺) : 달게여기한다는 뜻.
◎ 여집(餘集) : 집안 식구.
◎ 여천(如川) : 한 없는 뜻.
◎ 여체(旅體) : '객지(客地) : 에 있는 몸'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 에서 상대(相對) : 를 높이어 안부(安否) : 를 물을 때 쓰는 말.
◎ 여하갱도(餘何更道) : 다시 말할 것 업다난 뜻.
◎ 여회(如灰) : 浮雲의 뜻.
◎ 여흥(餘興) : 남어지 흥.
◎ 역도(逆覩) : 미리 헤아리단 뜻.
◎ 역사(歷史) : 고금 사기.
◎ 역역(役役) : 바쁜뜻.
◎ 역역골골(役役汨汨) : 분주한 모양.
◎ 역정(驛亭) : 정거장
◎ 역책지시(易簀之時) : 돌아가실 때.
◎ 연(姸) : 고흘 연.
◎ 연(宴) : 잔체 연.
◎ 연(硏) : 갈 연.
◎ 연(硯) : 벼루 연.
◎ 연(臙) : 연지 연.
◎ 연관(捐舘) : 죽은 뜻.
◎ 연구(硏究) : 공부하난 것.
◎ 연기(年紀) : 편지.
◎ 연기(秊記) : 같은 연배를 지칭
◎ 연길(涓吉) : 택일지.
◎ 연량(淵諒) : 깊은생각.
◎ 연림(緣林) : 도적.
◎ 연명(淵明) : 도연명이니 진나라 사람.
◎ 연미복(燕尾服) : 歐美各國公服.
◎ 연북(硯北) : 편지(便紙) : 봉투(封套) : 에 벼루에 북쪽, 곧 '앞에'의 뜻으로,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 쓰는 말.
◎ 연애(涓埃) : 적은 뜻.
◎ 연전(硯田) : 벼루.
◎ 연제(戀際) : 생각할 때.
◎ 연조(燕趙) : 의기남자 만흔 나라.
◎ 연패(聯斾) : 동행함이라.
◎ 연하(燕賀) : 큰집에졔비하례.
◎ 열순(閱旬) : 십여일.
◎ 염(染) : 물드릴 염.
◎ 염(艶) : 엡불 염.
◎ 염염(冉冉) : 점점.
◎ 염차(鹽車) : 소곰실은수레.
◎ 염혁(炎爀) : 뜨거운볏.
◎ 영(塋) : 무덤 영.
◎ 영(頴) : 자루 영.
◎ 영물(英物) : 영특.
◎ 영언(永言) : 중매말.
◎ 영웅(英雄) : 영걸한사람.
◎ 영의진찰(迎醫診察) : 의원 다려다가 막 보단 말.
◎ 예도(預度) : 미리 아난 것.
◎ 예성(囈聲) : 셤어.
◎ 예연(禮筵) : 혼인하던 자리.
◎ 예장(豫章) : 地名.
◎ 오(傲) : 클 오.
◎ 오(奧) : 깁흘 오.
◎ 오(悟) : 깨달을 오.
◎ 오(晤) : 맛날 오.
◎ 오강초안(吳江楚岸) : 단풍만은곳.
◎ 오걸(傲傑) : 국화.
◎ 오고(五袴) : 바지다섯.
◎ 오내(五內) : 오장.
◎ 오마(五馬) : 古太守行色
◎ 오문(吾門) : 우리 일가.
◎ 오복(五福) : 洪範에一曰壽二曰富三曰康寧四曰攸好德五曰考終命
◎ 오불(汚佛) : 부쳐들나럽피다는 말.
◎ 오불지죄(汚佛之罪) : 더테는 뜻.
◎ 오비삼척(吾鼻三尺) : 俗談이니 내 코가 석자란 말.
◎ 오우(梧右) : 책상 오른쪽 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 에서 수신인(受信人) : 의 이름 밑에 쓰는 말.
◎ 오유(吾儒) : 공맹지도 배호난 사람.
◎ 오인(嗚咽) : 목메인뜻.
◎ 오인류체(嗚咽流涕) : 목이 메여 우는 모양.
◎ 오제(吾儕) : 우리무리.
◎ 오조(烏鳥) : 효도하난새.
◎ 오종(吾宗) : 우리일가.
◎ 오찬(午餐) : 점심.
◎ 오추(梧秋) : 七月.
◎ 오형(吾兄) : '나의 형'이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便紙) : 에서 쓰는 말.
◎ 오환(五患) : 程子葬說에曰惟五患을不可不避니須使異日에不爲路·城·溝·貴家占奪·耕犁所及也.
◎ 우활(迃濶) : 밤밤한 뜻.
◎ 옥로(玉露) : 힌이슬.
◎ 옥루(玉漏) : 시간보하난루수.
◎ 옥루은해(玉樓銀海) : 눈ㅅ빗.
◎ 옥륜(玉輪) : 달月.
◎ 옥립(玉立) : 玉■之立이니杜時에皎如玉樹臨風前成人之喪
◎ 옥우(玉宇) : 하늘.
◎ 옥윤(玉允) : 稱人之子也.
◎ 옥윤(玉潤) : 저 사람의 사위.
◎ 옥인(玉人) : 매화.
◎ 옥주(沃酒) : 술 늬이난 것.
◎ 옥체(玉體) : 玉과如한體니用於君父
◎ 온(穩) : 편안 온.
◎ 온(蘊) : 싸일 온.
◎ 온과(穩過) : 잘지내는 뜻.
◎ 온류(穩流) : 온자이흐르한다는 뜻
◎ 온세(穩稅) : 잘가는 뜻.
◎ 온오(蘊奧) : 싸히고 깊은 뜻.
◎ 온터가적(穩攄可敵) : 만는 듯한 뜻.
◎ 온토(穩討) : 종용히 말함이라.
◎ 올연(兀然) : 오득하모양.
◎ 올올(兀兀) : 안진모양.
◎ 옹(瓮) : 독 옹.
◎ 옹(顒) : 클 옹.
◎ 와려(蝸廬) : 적은집.
◎ 와로(蝸盧) : 적은집.
◎ 와상(臥床) : 평상.
◎ 완(宛) : 완여 완.
◎ 완(椀) : 사발 완.
◎ 완납(莞納) : 웃고밧한다는 뜻.
◎ 완당(阮堂) : 書畵精通人이니一云秋史也.
◎ 완루(頑縷) : 완한 모슴.
◎ 완명(頑冥) : 완악하고어둔것.
◎ 완벽(完璧) : 돌여보내는 뜻.
◎ 완부(頑浮) : 더완악한 뜻.
◎ 왕(旺) : 왕성 왕.
◎ 왕가(枉駕) : 오란 말.
◎ 왕고(枉顧) : 온단 말.
◎ 왕고(王考) : 돌아가신 할아버지
◎ 왕문정(王文正) : 宋丞相.
◎ 왕부(往復) : 편지 오고가난 것.
◎ 徃부(徃復) : 편지.
◎ 왕양(汪洋) : 넓은 뜻.
◎ 왕왕(汪汪) : 넓은 뜻.
◎ 왜첨(矮簷) : 얕은 집.
◎ 외(嵬) : 놉흘 외.
◎ 외감(外感) : 감기.
◎ 외구(外舅) : 장인.
◎ 외국(外國) : 다른 나라.
◎ 외뢰(碨礧) : 울퉁불퉁한 모양.
◎ 외생(外甥) : 사위.
◎ 외일,교양(畏日,驕陽) : 여름해.
◎ 외장(外庄) : 밖에 있은 田庄.
◎ 외제(外弟) : 외사촌이오.
◎ 외조(外祖) : 어머니 아버지.
◎ 외첩(嵬捷) : 우등힌뜻.
◎ 요(僥) : 요행 요.
◎ 요(撓) : 흔들 요.
◎ 요(擾) : 요란할 요.
◎ 요(耀) : 빗날 요.
◎ 요(幺) : 적을 요.
◎ 요계(瑤堦) : 저 사람의집.
◎ 요대(瑤臺) : 천대.
◎ 요도(夭桃) : 혼인때.
◎ 요도표매(夭桃標梅) : 혼인 때.
◎ 요도표증(夭桃標證) : 혼인때.
◎ 요란(搖亂) : 어즐러운 것.
◎ 요상(殀傷) : 일즉죽은것.
◎ 요서(夭逝) : 요사.
◎ 요설(饒舌) : 多言.
◎ 요슬반악(繞膝攀樂) : 무릅에 들여 밧드러 즐기단 말.
◎ 요요(夭夭) : 꽃답고 아름다운 뜻.
◎ 요절(夭折) : 일찍 죽은 것.
◎ 요한(瑤翰) : 저 사람의 편지.
◎ 요행(僥倖) : 뜻밧겻.
◎ 욕수(蓐收) : 가을귀신.
◎ 욕한(辱翰) : 욕이 되는 편지, 상대를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말
◎ 용(冗) : 잡될 용.
◎ 용(慂) : 의지할 빙.
◎ 용(踊) : 뛸 용.
◎ 용(慵) : 계를 용.
◎ 용(踴) : 뛸 용.
◎ 용루(冗累) : 집안▣.
◎ 용속(庸俗) : 용열.
◎ 용슬(容膝) : 몸거졉하한다는 뜻.
◎ 용우(庸愚) : 용렬한 뜻.
◎ 용유(容喩) : 형용하야말아나뜻.
◎ 용혹무괴(容或無恠) : 고이치 아니하단 뜻.
◎ 우(偶) : 짝 우.
◎ 우(寓) : 부칠 우.
◎ 우(尤) : 더욱 우.
◎ 우(禹) : 夏禹氏.
◎ 우(耦) : 짝 우.
◎ 우견(愚見) : 어리석은쇼견.
◎ 우귀(于歸) : 권귀.
◎ 우내(宇內) : 왼조선.
◎ 우등(優等) : 상등.
◎ 우란분회(盂蘭盆會) : 백중날 절에서 하난 회.
◎ 우량(踽凉) : 처량한 뜻.
◎ 우렬(優劣) : 조코 나즌 것.
◎ 우례(于禮) : 신행.
◎ 우로지은(雨露之恩) : 인군의 은혜.
◎ 우론(迂論) : 오활한의론.
◎ 우료(愚料) : 자기의 어리석은 생각이란 말.
◎ 우린(羽麟) : 인편.
◎ 우면(牛眠) : 結穴平穩處
◎ 우몽(愚蒙) : 어르석고 몽매함이라.
◎ 우사삼자(右斯三者) : 農, 工, 商.
◎ 우산(牛山) : 산 이름이니 九月九日에 齊景公 노는 산이라.
◎ 우수(優數) : 마뜻하.
◎ 우애지천(友愛之天) : 우애하난 마음.
◎ 우완(愚頑) : 어리석고 완악하단 말.
◎ 우우(羽郵) : 편지 배달부.
◎ 우울(紆鬱) : 답답한 것.
◎ 우유도일(優遊度日) : 虛送時日.
◎ 우의(羽儀) : 표준.
◎ 우전다(雨前茶) : 淸國名茶니穀雨前焙成者.
◎ 우졸(虞卒) : 삼우와 졸곡.
◎ 우종(憂鍾) : 시간가난 것을 근심함이라.
◎ 우중(于中) : 마암.
◎ 욱(旭) : 해빗 욱.
◎ 욱—(旭—) : 빗난날.
◎ 욱(燠) : 더울 욱.
◎ 욱관(燠舘) : 더운집.
◎ 욱조(旭朝) : 혼인날.
◎ 운권청천(雲捲靑天) : 쾌한 것.
◎ 운니(雲泥) : 막힌뜻.
◎ 운당(篔簹) : 如椽大竹.
◎ 운모(運謀) : 하는 뜻.
◎ 운반(運搬) : 옴겨가는 것.
◎ 운부금낭(雲膚金囊) : 매화.
◎ 운소(雲宵) : 한올.
◎ 운소(雲霄) : 높흔비살
◎ 운수(雲樹) : 친구생각.
◎ 운안국미(雲安麴味) : 好酒名.
◎ 운안국미(雲安麯米) : 좋은술.
◎ 운전(雲箋) : ▣▣▣지.
◎ 운전(雲牋) : 화젼편지.
◎ 운절(隕絶) : 죽고저 하다는 뜻.
◎ 울금(鬱金) : 좋은술.
◎ 울도(鬱陶) : 생각하는 뜻이니兄弟間쓸것이라.
◎ 欎도지회(欎陶之懷) : 형이아오를생각하는회포.
◎ 울욕작수(鬱欲作祟) : 답사하야병나고저하는 뜻.
◎ 울흥(蔚興) : 이러나는 뜻.
◎ 원(院) : 셔원.
◎ 원량(原諒) : 용셔하난생각.
◎ 원로(元老) : 로성한재상.
◎ 원상(沅湘) : 물이름.
◎ 원소(元宵) : 상원밤.
◎ 원원(源源) : 자조▣.
◎ 원일(元日) : 正月一日.
◎ 원조(元朝) : 正月一日.
◎ 원축(遠祝) : 멀이비다는 말.
◎ 월고(越高) : 넘어만은것.
◎ 월단(月旦) : 초생.
◎ 월모(月姥) : 혼인주장하는늙으니.
◎ 월하로(月下老) : 중매쟁이.
◎ 위(蝟) : 고솜도치 위.
◎ 위경(胃脛) : 비위경락.
◎ 위곡(委曲) : 곡진한 뜻.
◎ 위기소적(慰其蕭寂) : 指寫眞而이라言.
◎ 위돈(委頓) : 누은모양.
◎ 위문(慰問) : 조장.
◎ 위반(違反) : 틀이는 뜻.
◎ 위배(違背) : 어기고등진뜻.
◎ 위석흠손(委席欠損) : 자리에 누어 편치 못한 뜻.
◎ 위성(渭城) : 古人의離別하든地名也.
◎ 위세(違世) : 죽는 뜻.
◎ 위송(委送) : 보냈단 말.
◎ 위언(慰唁) : 위장.
◎ 위예(違豫) : 猶言欠寧.
◎ 위외(謂外) : 意外와 같은 말.
◎ 위월(違越) : 어기난 것.
◎ 위인(偉人) : 컨사림.
◎ 위재상욕(委在床褥) : 병이 위중함이라.
◎ 위적백붕(慰敵百朋) : 위로됨이 여려 친구보다 낫다는 뜻.
◎ 위중선(魏仲先) : 송나라 사람이나 한식날 사직하고 고향에 도라왓다.
◎ 위징(魏徵) : 당나라정승.
◎ 위찰(委札) : 내려주신 편지
◎ 위천순(渭川笋) : 죽순.
◎ 위초(爲楚) : 古語이니 저 사람을 위하단 말.
◎ 위칩(蝟蟄) : 고슴도치 우무리고 있난 것.
◎ 유(孺) : 젓메기 유.
◎ 유(惟) : 생각 유.
◎ 유(攸) : 바 유.
◎ 유(維) : 발어사 유.
◎ 유(踰) : 넘을 유.
◎ 유(龥) : 呼也 부르지즐 유.
◎ 유가(有家) : 시집가한다는 뜻.
◎ 유감(遺憾) : 遺恨.
◎ 유도(儒道) : 공맹지도.
◎ 유명지간(幽明之間) : 죽은 사람과 산 사람 사이.
◎ 유목의고(有目의瞽) : 눈이 있서도 판슈갓단 말.
◎ 유수(幽邃) : 깊은 뜻.
◎ 유신(庾信) : 넷적문장.
◎ 유신(有愼) : 병 있난 것.
◎ 유신(維新) : 文明의意.
◎ 유실(有室) : 장가들때.
◎ 유어(維魚) : 풍년꿈.
◎ 유웅(維熊) : 아들꿈.
◎ 유월(踰月) : 달이지는 뜻.
◎ 유유(悠悠) : 긴뜻.
◎ 유유만만(悠悠漫漫) : 긴뜻.
◎ 유음(幽音) : 부음.
◎ 유일(有日) : 여러날.
◎ 유자(幼子) : 어린아해.
◎ 유자(猶子) : 족하이니아달갓다는 말.
◎ 유주칙등림(有酒則登臨) : 술만 있으면 올나간단 말.
◎ 유지막취(有志莫就) : 마음은 있서도 하지 못하난 것.
◎ 유치(幼穉) : 어리단 말.
◎ 유한정숙(幽閒貞淑) : 다녀자의 착한 일이라.
◎ 유한정정(幽閒貞靜) : 부인의 헌슉한 태도.
◎ 유향(幽香) : 은근한 향기.
◎ 유후지모(裕後之謨) : 자손 위하야 하는 꾀.
◎ 유희(有喜) : 명나은 뜻.
◎ 유물(輶物) : 박한물품.
◎ 육근(六根) : 여섯 마괴.
◎ 육린(育麟) : 徐陵이初生에沙門寶誌가摩其頂曰天上石麒麟.
◎ 윤군(允君) : 남의 달.
◎ 윤군(胤君) : 남의 아들을 높여서 부르는 말
◎ 윤낙(允諾) : 許諾의 뜻.
◎ 윤랑(允郞) : 저 사람의아달.
◎ 윤랑(胤郞) : 사외를 가라침이라.
◎ 윤숙(胤叔) : 대부 아들.
◎ 윤옥(允玉) : 남의 아달.
◎ 윤우(允友) : 저 사람의아달.
◎ 윤유(允俞) : 허락.
◎ 윤종(胤從) : 족속의 아들.
◎ 윤허(允許) : 어른이 허락하심이라.
◎ 율(聿) : 발어사 률.
◎ 융(融) : 화할 륭.
◎ 융소(隆卲) : 연세 만은 것.
◎ 융융(融融) : 화한 모양.
◎ 은(殷) : 성할 은.
◎ 은권(殷眷) : 성히 권권한 것.
◎ 은궤(隱几) : 궤에의지한모양.
◎ 은근(慇懃) : 정다운 뜻.
◎ 은병(銀餠) : 洋銀錢.
◎ 은우(隱憂) : 속으로 근심함.
◎ 은화(銀花) : 불ㅅ빗.
◎ 음모(音耗) : 편지.
◎ 음신(吟呻) : 알난모양.
◎ 음신(音信) : 소식.
◎ 음아(吟疴) : 병든 것.
◎ 음척(陰隲) : 施恩於不報之地하야不使人知
◎ 음휘(音徽) : 소식.
◎ 읍(揖) : 읍할 읍.
◎ 읍(悒) : 근심할 읍.
◎ 읍(浥) : 저즐 읍.
◎ 읍읍(悒悒) : 셥셥한 뜻.
◎ 응당(應當) : 삑삑하당년이.
◎ 응문동(應門童) : 李密陳情表에內無應門五尺之童.
◎ 응양(鷹洋) : 墨西哥之銀錢이니畵鷹故로稱以鷹洋.
◎ 응지(膺祉) : 복밧은 뜻.
◎ 의(倚) : 기 의.
◎ 의(誼) : 정의 의.
◎ 의가(宜家) : 의원.
◎ 의대자완(依帶自緩) : 몸이.
◎ 의려(倚閭) : 부모가 아달 기두리난 곳.
◎ 의려망(依閭望) : 동구에 나가 기다리는 뜻.
◎ 의마(倚馬) : 말달리며글쓰는 뜻.
◎ 의마(意馬) : 마암
◎ 의범(儀範) : 존칭이니 저 사람의 모양.
◎ 의범(懿範) : 거록한 모범.
◎ 의사(宜士) : 의원.
◎ 의사(疑似) : 그럴뜻한것.
◎ 의양(衣樣) : 옷 견양.
◎ 의의(依依) : 의회한 뜻
◎ 의인(依印) : 한갈갓다는 말.
◎ 의인작가(依人作嫁) : 唐詩에只恨年年壓金線하야爲他人作嫁衣裳이라하니言爲人代勞.
◎ 의화(義和) : 날맛흔귀신.
◎ 의희(依稀) : 의미한 뜻.
◎ 이(弛) : 부릴 이.
◎ 이(怡) : 깃블 이.
◎ 이(肄) : 일향 이.
◎ 이(貽) : 줄 이.
◎ 이(邇) : 갓가울 이.
◎ 이(飴) : 엿 이.
◎ 이(羡) : 부러울 선.
◎ 이(頉) : 연고 탈.
◎ 이격천고(已隔千古) : 다시 보지못하다는 뜻.
◎ 이관(貽管) : 붓을주는 것.
◎ 이래(伊來) : 요사이.
◎ 이래(邇來) : 이즈음이란 말.
◎ 이뢰(耳雷) : 우뢰가흔이름.
◎ 이모(姨母) : 母의兄이나弟이라.
◎ 이비(二妃) : 娥皇女英.
◎ 이색(離索) : 이별.
◎ 이수(二竪) : 병귀신.
◎ 이신양정(怡神養精) : 정신 수양하는 말.
◎ 이십사번풍(二十四番風) : 봄바람.
◎ 이아(二兒) : 둘재아달.
◎ 이양(頤養) : 셥양하한다는 뜻.
◎ 이양(頥養) : 셥양하다는 뜻.
◎ 이영(以永) : 노니한다는 뜻.
◎ 이이(爾爾) : 그러한 뜻.
◎ 이제(耳提) : 귀에이르한다는 뜻.
◎ 이질(姨侄) : 쳐형과 쳐제의 아달.
◎ 이친(二親) : 부모.
◎ 이효상효(以孝傷孝) : 너모 哀毁하야 병이 나면 도로여 孝가 아니라.
◎ 익여(翼如) : 곳 가난 모양.
◎ 익추(翼趨) : 빨리가한다는 뜻.
◎ 인(仞) : 丈也 기일 인.
◎ 인금구공(人琴俱空) : 王獻之死에其弟徽之가取獻之之琴而彈之하고久不成調曰人琴이俱空矣.
◎ 인령(引領) : 웃깃당기는 뜻.
◎ 인말(姻末) : 이질(痢疾) : 이나 처질(妻姪) : 에게 자기(自己) : 를 낮추어 편지(便紙) : 에 쓰는 말.
◎ 인석(印昔) : 이젼과 같다.
◎ 인송(寅頌) : 敬頌의뜻.
◎ 인신(人神) : 그림 잘 그린 뜻.
◎ 인제(姻弟) : 매부의 자층.
◎ 인축(人畜) : 사함과 즘생.
◎ 인형(仁兄) : 벗에 대한 높임말
◎ 일(溢) : 넘칠 일.
◎ 일(泆) : 방탕할 일.
◎ 일고삼장(日高三丈) : 날이 놉히 올낫단 말.
◎ 일구(一區) : 터좁은 뜻.
◎ 일구일신(日久日新) : 날이 갈사록 날로 새롭단 말.
◎ 일길진량(日吉辰良) : 날 조코 때 조탄 말.
◎ 일녀(一袽) : 한가지해진오.
◎ 일도(一度) : 한 번.
◎ 일동(一棟) : 집 한 채.
◎ 일람(一籃) : 한바군이.
◎ 일루(一縷) : 실끝같은 목슴.
◎ 일망(一望) : 한 보름.
◎ 일명(一命) : 초사.
◎ 일반(一般) : 갓튼뜻.
◎ 일백오일(一百五日) : 동지에서 한식까지 백오일이라.
◎ 일사(一舍) : 삼십리.
◎ 일서(一署) : 한마을.
◎ 일숙(一宿) : 하루밤.
◎ 일습양복(一襲洋服) : 한 벌 양복.
◎ 일식(一息) : 한 자식이란 말.
◎ 일위(一葦) : 적은배.
◎ 일장(一長) : 한장기.
◎ 일재(逸才) : 초일한재조.
◎ 일적(日積) : 날로싸이는 뜻.
◎ 일절(一切) : 온통
◎ 일정(一丁) : 한 장뎡이란 말.
◎ 일정규구(一定規矩) : 규도를 정하다는 뜻.
◎ 일직(一直) : 한모양과 같은 말.
◎ 일체정돈(一體整頓) : 다 안돈한 뜻.
◎ 일치(一齒) : 한살더먹은 뜻.
◎ 일탁(一卓) : 큰음식.
◎ 일폭화한(一幅華翰) : 한 장 편지.
◎ 일하(日下) : ▣올.
◎ 일한(一寒) : 한 모양으로 빈한.
◎ 일향(一享) : 一向과 如함.
◎ 임(任) : 勝也 익힐 임.
◎ 임(稔) : 풍년들 념.
◎ 임량(稔諒) : 익기 아닌 뜻.
◎ 임염(荏苒) : 빠른 뜻.
◎ 입납(入納) : 삼가 드림의 뜻으로 편지(便紙) : 겉봉에 쓰는 말.
◎ 입벽(入闢) : 서울드러오난.
◎ 입신(入神) : 그림잘그린뜻.
◎ 입인(入闉) : 셔울 드러오단 말.
◎ 입추파극(入秋頗劇) : 가을에 더 심한 뜻.
◎ 잉(仍) : 인할 잉.
◎ 잉(孕) : 아해 밸 잉.
◎ 자(仔) : 자세 자.
◎ 자(姿) : 태도 자.
◎ 자(孜) : 부즈런할 자.
◎ 자(滋) : 더욱 자.
◎ 자(紫) : 붉을 자.
◎ 자(藉) : 의지할 자.
◎ 자(姊) : 손 우의 누.
◎ 자국(自國) : 내 나라.
◎ 자나발행(自那發行) : 지나에서 발행하는 말.
◎ 자당(慈堂) : 어머니.
◎ 자목(字牧) : 백성사랑.
◎ 자부(字付) : 편지하는 것.
◎ 자부(姊夫) : 손우희 누의의 남편.
◎ 자부는(資斧는) : 郭林宗每出鄕에惟持一斧而行하다가斫柴炊飯<두주
◎ 자섬(子贍) : 古之文章 蘇東坡.
◎ 자수(刺繡) : 수놋는단 말.
◎ 자숙(自淑) : 스사로착한 뜻.
◎ 자㞔(煮㞔) : 百里奚의妻가爲夫하야斫門扄炊飯이다가奚貴後에니不識其妻하니妻歌■■歌.
◎ 자안(慈顔) : 어마니의얼굴이란말.
◎ 자약(自若) : 如常也.
◎ 자억(自抑) : 언졔하는 뜻.
◎ 자오(子午) : 晝夜.
◎ 자유(字幼) : 사랑.
◎ 자유(自由) : 제마음대로.
◎ 자자(孜孜) : 慥慥.
◎ 자자(藉藉) : 회자한 뜻.
◎ 자장(子長) : 漢文章.
◎ 자저(自沮) : 스사로저히함이라.
◎ 자점(自占) : 졉치는 뜻.
◎ 자주(慈主) : 흔히 편지(便紙) : 따위에서 어머님이란 뜻으로 쓰는 말.
◎ 자증(子憎) : 자네가미운 뜻.
◎ 자첨(子瞻) : 蘇東坡.
◎ 자품(姿稟) : 엿주어서.
◎ 자품(諮稟) : 알외보난 것.
◎ 자해(自解) : 스사로아한다는 뜻.
◎ 자형(慈兄) : 자애(慈愛) : 가 깊은 형. 편지(便紙) : 쓸 때에 씀.
◎ 자형(慈型) : 어머니 전형.
◎ 자형(紫荆) : 아내.
◎ 자후(慈候) : 저의모친기후.
◎ 자㯡(子𩯡) : ■子.
◎ 작(酌) : 부를 작.
◎ 작(鵲) : 갓지 작.
◎ 작교(鵲矯) : 은하슈 다리니 견우직녀 건느난 다리.
◎ 작설(綽楔) : 忠孝烈卓異者를君賜旌閭而表之.
◎ 작약(雀躍) : 깃분양.
◎ 작약연무(雀躍燕舞) : 깃분모양
◎ 작재(作宰) : 원나건것.
◎ 작포(昨哺) : 어제신시때.
◎ 작포(昨晡) : 어제 신시 때.
◎ 잔약(孱弱) : 약한 뜻.
◎ 잔잔(潺潺) : 흘너나리난 모양.
◎ 잔호(殘沍) : 섯달.
◎ 잠(箴) : 경계 잠.
◎ 잠적(涔寂) : 적적한 뜻.
◎ 奬(奬) : 권할 장.
◎ 장(將) : 進也 나갈 장.
◎ 장(粧) : 단장할 장.
◎ 장경(長卿) : 문장에 사마상여의 자.
◎ 장경(長庚) : 사람내는별.
◎ 장곽(長藿) : 미역.
◎ 장곽(長霍) : 미역.
◎ 장구(杖屨) : 어룬의집행이와신발.
◎ 장기(長技) : 그 즁 잘하는 뜻.
◎ 장두금전(杖頭金錢) : 晉阮孚杖出游時에杖頭에輙懸金錢百枚.
◎ 장명배(長命杯) : 九日에먹는술.
◎ 장부(臧否) : 선약.
◎ 장석(匠石) : 목슈.
◎ 장송(莊誦) : 공경히 외이난 것.
◎ 장윤(長允) : 남의 컨아달.
◎ 장제(章製) : 옷 제도.
◎ 장향(杖鄕) : 古人六十杖鄕之年.
◎ 장황(張皇) : 드러놋난 것.
◎ 재(梓) : 고향나무 재.
◎ 재(裁) : 마를 재.
◎ 재(載) : 해 재.
◎ 재(纔) : 겨우 재.
◎ 재계(再啓) : 편지(便紙) : 의 사연(辭緣) : 을 다 적은 뒤에 또 적어야 할 일이 생겼을 경우(境遇) : 에 다시 이야기한다는 뜻으로 쓰는 말.
◎ 재삼숙려(再三熟慮) : 여러번생각하다는 말.
◎ 재서(才諝) : 재소.
◎ 재설물론(再說勿論) : 두배 말할 것 업단 말.
◎ 재시정경(在侍情景) : 시하에 있은 정경.
◎ 재신(載新) : 비로소 새롭다.
◎ 재조(在調) : 죠셥.
◎ 재촉(裁燭) : 통촉.
◎ 재택(裁擇) : 침작하셔셔.
◎ 재하(在下) : 시하.
◎ 저(沮) : 저회할 저.
◎ 저금(貯金) : 郵便貯金의意.
◎ 저달(抵達) : 간것.
◎ 저랍(楮蠟) : 지촉.
◎ 저력(樗櫟) : 못쓸재모.
◎ 저렴(低廉) : 헐한것.
◎ 저면(楮面) : 소의낫.
◎ 저산(樗散) : 씨지못하난 모양.
◎ 저손(杵孫) : 외숀.
◎ 저어(齟齬) : 맛지안한다는 뜻.
◎ 저의(楮儀) : 부의.
◎ 저적(抵敵) : 저당
◎ 저포(樗蒲) : 博奕之技니晋陶侃이荆州刺史時에禁民樗蒲曰此牧猪輩戱라하고幷投之江中.
◎ 저호(楮毫) : 조회와붓.
◎ 적(跡) : 자최 적.
◎ 적(迪) : 편안할 뎍.
◎ 적려(積戾) : 싸인죄.
◎ 적령부(赤靈符) : 五月五日은天中佳節이니宮中에貼赤靈符於門戶之楣하야祓除不祥.
◎ 적립(赤立) : 아모 것도 없는 것.
◎ 적문(逖聞) : 遠聞.
◎ 적백(的白) : 진적히 고함이라.
◎ 적벽(赤壁) : 강이름이니 소동파 노든 곳이라.
◎ 적승(赤繩) : 月姥繩也.
◎ 적유(適有) : 맛참있다는 말.
◎ 적의(適宜) : 마진뜻
◎ 적제(赤帝) : 여름맛흔귀신.
◎ 전(展) : 펼 뎐.
◎ 전(戰) : 떨닐 전.
◎ 전(殿) : 전송하다는 뜻.
◎ 전(箋) : 글 전.
◎ 전(箭) : 살 전.
◎ 전(纏) : 얼킬 전.
◎ 전(餞) : 전송할 젼.
◎ 전(戩) : 盡也 다할 진.
◎ 전(旃) : 어조사 전.
◎ 전(痊) : 병나을 전.
◎ 전교(轉交) : ①서류(書類) : 따위를 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서 교부(交付) : 함 ②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서 받게 함의 뜻으로 편지(便紙) : 겉봉에 쓰는 말.
◎ 전구(前驅) : 압셔한다는 뜻.
◎ 전권(全眷) : 온 집안.
◎ 전긍(戰兢) : 조심.
◎ 전년(淟涊) : 垢濁.
◎ 전념(腆念) : 넉넉히 생각함이라.
◎ 전대(專對) : 出疆使臣이隣國에聘問하면典禮와利害를專對의責이有함이라하나니環은還之意.
◎ 전도류랑(前度劉郞) : 劉晨阮肇ㅣ游天台逢仙女二人하야留半年이라가歸鄕里하니已更數世矣.
◎ 전도변희(顚倒忭喜) : 업드러지며 잡바지며 깃거하단 말.
◎ 전매(全昧) : 아모 것도 몰나.
◎ 전면(轉眄) : 눈굴님사이.
◎ 전무온돌(全無溫突) : 방이 업단 말.
◎ 전문(專門) : 남의 집 존층.
◎ 전미천(專美擅) : 제일좋은 뜻.
◎ 전미한극(展眉閒隙) : 눈썹 펼 여가.
◎ 전북(全北) : 全羅北道.
◎ 전소(傳素) : 오는편지.
◎ 전안(奠鴈) : 초례에 신랑 폐백이라.
◎ 전우(電郵) : 젼보와우쳬.
◎ 전의고음(典衣沽飮) : 옷을뎐당잡혀서술을사는 것.
◎ 전조(荃照) : 荃은心也오君也니猶心照.
◎ 전진(專晋) : 몸으로 전히가난 것.
◎ 전첨(典籖) : 掌書卷之職者.
◎ 전형(典型) : 모범.
◎ 전형(銓衡) : 銓考人材之輕重이니吏部之職.
◎ 전호(佃戶) : 農作之戶.
◎ 전황(錢荒) : 돈 귀한 것.
◎ 절간(折簡) : 寄札.
◎ 절기동후(節曁冬候) : 절기가 겨울이 되엿단 말.
◎ 절등(絶等) : 非凡한 뜻.
◎ 절등(絕等) : 非凡한 뜻.
◎ 절면(折綿) : 몹시치워서솜이어러꺾어지는 것.
◎ 절무(絕無) : 아조 업단 말.
◎ 절앙(切仰) : 간절히 우러러 사모한 뜻.
◎ 절애(節哀) : 애통한 마음을 존절히 하난 것이라.
◎ 절애순변(節哀順變) : 셜음참한다는 뜻.
◎ 절증(切憎) : 간절히 미워하는 뜻.
◎ 절척(切戚) : 가갑은 쳑당.
◎ 점(店) : 상뎜 뎜.
◎ 점(點) : 뎜 뎜.
◎ 점(簟) : 삿자리 뎜.
◎ 점검(點檢) : 간검.
◎ 점금(點金) : 재물▣한다는 뜻.
◎ 점령(占領) : 차지하난 것.
◎ 점무(點無) : 조곰도없는 뜻.
◎ 점석(苫席) : 禮에席苦枕凷○凷는土塊
◎ 점석침궤(簟席枕几) : 거쳐하든자리.
◎ 점이(漸弛) : 점점 노이난 것.
◎ 점지(點地) : 처당.
◎ 점창(漸暢) : 점점 괘히는 뜻.
◎ 접면(接面) : 대면.
◎ 접무(接武) : 긴주난 뜻.
◎ 접종(接踵) : 이어오한다는 뜻
◎ 정(呈) : 드릴 정.
◎ 정(政) : 正也니 정히 정.
◎ 정곡(情曲) : 실정.
◎ 정곤(情悃) : 정다운 뜻.
◎ 정구(政究) : 공부하는 뜻.
◎ 정금열람(正襟閱覽) : 공경하야 보는 뜻.
◎ 정내(鼎鼐) : 三公의稱이니鼐는大鼎
◎ 정녕관밀(丁寧欵密) : 자셰하고관곡한 뜻.
◎ 정다산(丁茶山) : 名若鏞이오號茶山이니
◎ 정란(庭蘭) : 稱人之子也.
◎ 정람환완(精覧還完) : 정밀히 보고 온전히 놀리 보내는 뜻.
◎ 정례구궐(情禮俱闕) : 인정과 도리를 다궐압이라.
◎ 정분(定分) : 정한분수.
◎ 정사(呈辭) : 청원.
◎ 정사(情私) : 친족 사이의 사사로운 정
◎ 정성(定省) : 昏定晨省.
◎ 정언(鼎言) : 즁한말.
◎ 정연(精硏) : 정밀히 연구.
◎ 정와(井蛙) : 좁의소견.
◎ 정외지주(情外之誅) : 정밧 계책망.
◎ 정운(停雲) : 친구 생각난 마음.
◎ 정운락월(停雲落月) : 陶潜이懷友에有停雲詩하고杜子美思李白詩에落月이滿空樑.
◎ 정운령매(停雲嶺梅) : 친구생각
◎ 정의(鼎儀) : 만은물품.
◎ 정저와(井底蛙) : 적은소견.
◎ 정제(庭際) : 뜰.
◎ 정제(情弟) : 다정(多情) : 한 아우라는 뜻으로, 정다운 벗 사이의 편지(便紙) : 에서 자기(自己) : 를 일컫는 말.
◎ 정참(停驂) : 謝眺送范雲詩에停驂我悵望이오輟棹子夷猶.
◎ 정침(正寢) : 정당.
◎ 정황(鼎貺) : 만은선물.
◎ 제(劑) : 약제 제.
◎ 제(第) : 다만 졔.
◎ 제(臍) : 배꼽 제.
◎ 제례(除禮) : 한문(漢文) : 투의 편지(便紙) : 첫머리에, 갖추어야 할 예의(禮儀) : 를 다 갖추지 못함의 뜻으로 쓰는 말.
◎ 제루(諸累) : 모던 식구.
◎ 제번(除煩) : 잡다(雜多) : 한 인사말(人事-) : 을 덜어 버리고 할 말만 적는다는 뜻으로, 한문(漢文) : 편지(便紙) : 의 첫머리에 쓰는 말.
◎ 제부(諸父) : 종족간.
◎ 제석(除夕) : 섯달그믐날 밤
◎ 제성(啼聲) : 晉桓溫嶠|聞其啼聲曰此眞英物也
◎ 제솔(諸率) : 집안사람.
◎ 제익(諸益) : 모든벗.
◎ 제일(除日) : 十二月三十日.
◎ 제제영영(濟濟盈盈) : 만히 못고 환락한 거동.
◎ 제집(諸集) : 모든 식구.
◎ 제천(諸天) : 하늘이니 불경 문자라.
◎ 조(措) : 조처할 조.
◎ 조(曺) : 무리 조.
◎ 조(曹) : 무리 조.
◎ 조(潮) : 밀물 조.
◎ 조(眺) : 조짐 됴.
◎ 조(粗) : 거칠 조.
◎ 조(肇) : 비로소 조.
◎ 조(厝) : 둘 조.
◎ 조간(遭艱) : 당상.
◎ 조고(操觚) : 붓대잡한다는 뜻.
◎ 조고(早孤) : 일즉이親喪을당한 뜻.
◎ 조고(祖考) : 쥭은 하라바니.
◎ 조관(助管) : 조력한다는 뜻.
◎ 조구(曹邱) : 史記에曹邱生이揖季布曰僕이游揚足下之名於天下면顧不重耶.
◎ 조기시량(助其柴糧) : 指金五十圓而言이오.
◎ 조도(調度) : 지내가한다는 뜻.
◎ 조동(肇冬) : 十月이라.
◎ 조만일추(早晩一趨) : 조만간 한번 찾아 뵙겠습니다
◎ 조물(造物) : 셰상일.
◎ 조불(照拂) : 如照鏡而拂塵.
◎ 조섭(調攝) : 조리.
◎ 조송(藻頌) : 鳧在藻則喜하나니言其喜悅.
◎ 조안(粗安) : 대강안녕한 뜻.
◎ 조어(措語) : 말 매던은 것.
◎ 조염(肇炎) : 5월
◎ 조운(朝雲) : 기생 이름이니 소동파의 쳡이라.
◎ 조울(燥鬱) : 조민하고 답답한 모양.
◎ 조울(燥欝) : 조민한고답답한모양.
◎ 조작(朝鵲) : 까치가 아침에 짓스면 반갑은 소식을 듯난 법이라.
◎ 조장(調將) : 조셥.
◎ 조진모퇴(朝進暮退) : 아츰에 가고 저물게 온단 말.
◎ 조해(粗解) : 대가아한다는 뜻
◎ 조觧(粗觧) : 대강아한다는 뜻
◎ 조화소아(造化小兒) : 唐杜審言이疾甚에宋之問이省候하니答曰甚爲造化小兒의所困.
◎ 조화아(造化兒) : 독갑이.
◎ 조충(雕虫) : 적은재조뜻.
◎ 족숙(族叔) : 일가 아자씨.
◎ 족제(族弟) : 十寸以上의 弟.
◎ 족조(族祖) : 사종 넘는 대부.
◎ 족형(族兄) : 十寸以上의兄.
◎ 존문(存問) : 사람을 보내서 문후함
◎ 존장(尊丈) : 어린.
◎ 존정(尊庭) : 부모있는데.
◎ 졸(卒) : 맛칠 졸.
◎ 졸(拙) : 아랫사람에 대하야 내 몸 자층하는 뜻.
◎ 졸(猝) : 갑작이 졸.
◎ 졸당거창(猝當巨創) : 졸지에 컨일 당함이라.
◎ 졸렬(拙劣) : 용열한 뜻.
◎ 졸부(拙夫) : 아내에게겹사의말.
◎ 졸졸(猝猝) : 급한 뜻.
◎ 졸처(拙妻) : 아내가남편에게겹사의말.
◎ 졸형(拙荆) : 아내.
◎ 종(慫) : 꾀일 죵.
◎ 종련(種蓮) : 南史에王儉이以庾杲로爲長史하니人謂泛綠水依紅蓮이라蓮花幕之名이始此.
◎ 종수(從嫂) : 사촌형슈.
◎ 종숙(從叔) : 당숙.
◎ 종숭(瘇崇) : 종기.
◎ 종씨(從氏) : 사촌.
◎ 종용(慫慂) : 勸導.
◎ 종의(宗議) : 일가간에의론.
◎ 종자(從子) : 친족하.
◎ 종장(宗匠) : 제일.
◎ 종제(從弟) : 사촌이오.
◎ 종종(種種) : 자주.
◎ 종질(從侄) : 당질.
◎ 종출(鍾出) : 종기하야 한다는 뜻.
◎ 종환(瘇患) : 종기병.
◎ 좌사(左思) : 人姓名.
◎ 좌우(左右) : 그 사람좌우.
◎ 좌우(座右) : 안진자리.
◎ 좌임(左袵) : 이적.
◎ 죄려(罪戾) : 죄악.
◎ 죄제(罪弟) : 상중에 있는 사람이 자신을 낮추어 부름
◎ 주(籌) : 산 노흘 주.
◎ 주공(做工) : 공부하는 뜻.
◎ 주궤(主饋) : 집안 주장한 부인.
◎ 주급효여면기병(酒及肴與麵曁餠) : 술과 밋 안주와 다못 국수와 밋 떡.
◎ 주단(柱單) : 사주단자.
◎ 주람(周覽) : 두루두루구경하는 것.
◎ 주량(舟梁) : 詩云造舟爲梁.
◎ 주명(朱明) : 仲夏之節.
◎ 주문(注文) : 近日外國에物品求來에求請文札之稱.
◎ 주병(酒兵) : 南史陳暄이答兄子秀書曰酒猶兵也니兵可千日不用이로대不可一日不備.
◎ 주사(酒肆) : 술집.
◎ 주소원려(晝宵願慮) : 밤낫생각하는 뜻.
◎ 주손(胄孫) : 종손.
◎ 주수(株守) : 구지직힌뜻.
◎ 주신(主臣) : 죄송과 갓튼 뜻.
◎ 주옥(珠玉) : 저 사람의편지글시.
◎ 주제(朱提) : 漢食貨志에朱提縣에產好銀故로名銀曰朱提.
◎ 주책(誅責) : 벌책.
◎ 주최(主催) : 주장
◎ 주춘불건(住春不健) : 봄 타는 말.
◎ 주하증(注夏症) : 夏日阻食之病.
◎ 주황(做況) : 공부하는몸.
◎ 주획(籌劃) : 계획.
◎ 주효(奏効) : 효험보난 뜻.
◎ 죽두자(竹兜子) : 竹輿.
◎ 죽마고교(竹馬故交) : 같이 자라낫단 말.
◎ 죽마고우(竹馬故友) : 대말라고같이자란친한벗.
◎ 준(竣) : 마칠 쥰.
◎ 준(駿) : 大也 클 쥰.
◎ 준(蹲) : 거러 안즐 준.
◎ 준(餕) : 졔사 남저지 음식.
◎ 준매(俊邁) : 쥰슈한 뜻.
◎ 준비(準備) : 미리준비하는 뜻.
◎ 중구(重九) : 九月九日.
◎ 중궤(中饋) : 안주장.
◎ 중궤지임(中饋之任) : 음식 만다라 이바지 하는 뜻.
◎ 중당상(重堂上) : 남의 조부.
◎ 중복(重複) : 거듭.
◎ 중비군적(衆誹羣謫) : 뭇사람이 비방.
◎ 중성(重省) : 중시하.
◎ 중양(重陽) : 九月九日이라.
◎ 중원(中元) : 백중날.
◎ 중추(仲秋) : 八月.
◎ 즉견(卽見) : (편지(便紙) : 를 받아 볼 사람(손아랫사람에 한하여) : 의 이름 아래 쓰이어) : 이내 받아 보라의 뜻.
◎ 즉배(卽拜) : 즉시 올립니다
◎ 즉복승심(卽伏承審) : 즉시 엎드려 주신편지 살펴보니
◎ 즉승혜서(卽承惠書) : 보내주신 편지 막 받고
◎ 즉일(卽日) : 편지 받은 날
◎ 즐즐(喞喞) : 울부난 소래.
◎ 즐(櫛) : 빗 즐.
◎ 증(症) : 병증세 증.
◎ 증돈(蒸豚) : 살문돗.
◎ 증희(增禧) : 복더한 뜻.
◎ 지(摯) : 이를 지.
◎ 지(祉) : 복 지.
◎ 지(祗) : 다만 지.
◎ 지(脂) : 기름 지.
◎ 지(至) : 이어이르한다는 뜻.
◎ 지(躓) : ▣그러질 질.
◎ 䑛(䑛) : 할틀 지.
◎ 지각(遲刻) : 시간이는진것.
◎ 지격내외(地隔內外) : 日本은 內地、 朝鮮은 外地의 뜻.
◎ 지과(支過) : 지탕해가난 것.
◎ 지구(知舊) : 친구.
◎ 지굴(指屈) : 손꼽난단 말.
◎ 지기(知己) : 몸아난친구.
◎ 지남(指南) : 지남철.
◎ 䑛독(䑛犢) : 父母가 자식 사랑하는 뜻.
◎ 지리(支離) : 너무오란뜻.
◎ 지면(紙面) : 조희.
◎ 지미(芝眉) : 元德秀의字는紫芝니||의眉宇가使人都盡名利心
◎ 지불(支拂) : 주는 것.
◎ 지상염라(地上閻羅) : 옥중을 가라침이라.
◎ 지서(枝栖) : 唐詩云上林多少樹에不借一枝栖.
◎ 지연(紙鳶) : 종이로 제조한 연.
◎ 지연(遲延) : 지체.
◎ 지우(芝宇) : 저 사람의 모양.
◎ 지의(旨義) : 큰 뜻.
◎ 지이모(紙已毛) : 편지 기다 떨어젓다.
◎ 지인(至仁) : 지극한어짐.
◎ 지장(指掌) : 쉬운 뜻
◎ 지척(咫尺) : 갓갑다는 말.
◎ 지척지지(咫尺之地) : 갓가은땅.
◎ 지추덕제(地醜德齊) : 디위가 비슷하고 덕이 같흔 말.
◎ 지출(支絀) : 撑支其窘絀
◎ 지친(至親) : 집안 간.
◎ 지학(志學) : 十五歲.
◎ 지함(芝凾) : 저 사람의편지.
◎ 지호(至沍) : 11월
◎ 지휴(遲携) : 끌는 뜻.
◎ 직무(職務) : 직분.
◎ 진(晋) : 나아갈 진.
◎ 진(津) : 나루 진.
◎ 진(臻) : 至也 이를 진.
◎ 진(賑) : 치부책 장.
◎ 진(趁) : 나갈 진.
◎ 진(趂) : 나아갈 진.
◎ 진간(震艮) : 동지와 갓튼 뜻.
◎ 진간두편(陳簡蠧篇) : 묵은 책좀 먹은 책.
◎ 진경(震敬) : 깜작 놀나는 뜻.
◎ 진구(塵臼) : 티끌속.
◎ 진귀(趁歸) : 속히 오난 것.
◎ 진귀(趂歸) : 속히 도라가.
◎ 진당(晉唐) : 문상 만은 나라.
◎ 진당(晋唐) : 문장만은나라.
◎ 진면(晋面) : 가서 보는 것.
◎ 진섭(珍攝) : 잘조섭하는 것.
◎ 진시(診視) : 진찰.
◎ 진시(趁時) : 즉시란 말.
◎ 진알(進謁) : 가셔보옵난 것.
◎ 진인(眞人) : 신선.
◎ 진장(珍藏) : 보배같이감츄한다는 뜻
◎ 진즉(趁即) : 곧바로.
◎ 진진(秦晋) : 혼인한 나라.
◎ 진진지의(秦晉之誼) : 혼인한 정의.
◎ 진찰(診察) : 막볼 뜻.
◎ 진췌(殄瘁) : 病勞貌五袴漢黃覇가善治民하니民이歌曰昔無襦러니今五袴黑頭宰相少年宰官
◎ 진평(陳平) : 漢丞相.
◎ 진황(秦皇) : 진시황이니 신선 구하던 인군.
◎ 진황공대(陳荒空垈) : 묵은 빈 터 .
◎ 진후(晉侯) : 나가서 문후.
◎ 질(帙) : 책질 질.
◎ 질(疾) : 빠를 질.
◎ 질권(質券) : 전당문셔.
◎ 질물(質物) : 뎐당.
◎ 질언(質言) : 하는 뜻.
◎ 질언좌우(質言左右) : 질정하야말하야이리저리하어라.
◎ 집가(執柯) : 혼인중매하는 것.
◎ 집불(執紼) : 禮에葬日에親戚知舊가||運柩
◎ 집액(集腋) : 成裘集綴衆狐之白脈而成一裘
◎ 집편(執鞭) : 천자일.
◎ 차(蹉) : 뒤트러질 차.
◎ 차경(此頃) : 요새란 뜻.
◎ 차돈(次豚) : 둘재아달.
◎ 차륜(車輪) : 신무맛난례.
◎ 차면(次面) : 편지.
◎ 차상(此狀) : 내라하는 뜻.
◎ 차생(此生) : 자기를 일음.
◎ 차수(叉手) : 절하는 뜻.
◎ 차안(遮眼) : 唐高僧傳에曰我는以書遮眼.
◎ 차제주목(次第注目) : 차례로 살피는 뜻.
◎ 차진(此辰) : 이 때.
◎ 차타(蹉跎) : 놋치는 뜻.
◎ 착(搾) : 짤 척 버릴 거.
◎ 착수(着手) : 하는 뜻.
◎ 착의(着意) : 마음 드리서.
◎ 착잡(錯雜) : 섯긴 것.
◎ 착착(着着) : 점점.
◎ 착착진보(着着進步) : 점점 진하는 뜻.
◎ 찬(贊) : 도을 찬.
◎ 찬(饌) : 반찬 찬.
◎ 찬(爨) : 불땔 찬.
◎ 찬(攅) : 모을 찬.
◎ 찬서(賛書) : 편지로 대신함이라.
◎ 찬찬(粲粲) : 빗한다는 뜻.
◎ 찬하(贊賀) : 충찬.
◎ 찰(刹) : 큰 절 찰.
◎ 찰(札) : 편지 찰.
◎ 참(慙) : 붓그리울 참.
◎ 창(創) : 거창할 창.
◎ 창(昌) : 번성.
◎ 창(暢) : 펼 창.
◎ 창(滄) : 바다 창.
◎ 창결(悵缺) : 섭섭한것.
◎ 창광(倡狂) : 소굉한 뜻.
◎ 창대(昌大) : 번창.
◎ 창생(蒼生) : 백성.
◎ 창설(創設) : 처음시작한것.
◎ 창신(悵薪) : 셥셥한 뜻.
◎ 창일(漲溢) : 넘친말.
◎ 창피(昌皮) : 욕보는 말.
◎ 창황(倉皇) : 급한 뜻.
◎ 채(采) : 採同 캘 채.
◎ 채란(彩鸞) : 人名.
◎ 채번(彩幡) : 채색 수건.
◎ 채액(債額) : 빗.
◎ 채하홍분(彩霞紅粉) : 단풍.
◎ 채하홍분농지천면(彩霞紅紛濃脂淺綿) : 단풍
◎ 처량(悽凉) : 슬푼 뜻.
◎ 처분(處分) : 분부.부
◎ 척(擲) : 던질 텩.
◎ 척(脊) : 등마루 척.
◎ 척(陟) : 올을 척.
◎ 척(隻) : 외짝 척.
◎ 척기첨망(陟屺瞻望) : 부친 바라는 뜻.
◎ 척도(跖徒) : 도적의 무리.
◎ 척말(戚末) : 친척의 아랫사람, 친척에게 자신을 낮춤
◎ 척사(跖徙) : 무리.
◎ 척서(尺書) : 쪽편지.
◎ 척서(斥暑) : 더위물이치는 뜻.
◎ 척소(尺素) : 편지.
◎ 척수(尺綬) : 佩印之組니長一丈二尺은象十二月이오廣三尺은象三才.
◎ 척시생(戚侍生) : 친척간에 지위나 나이가 상당히 다를 경우 자신을 낮추는 말
◎ 척의(戚誼) : 친척사이
◎ 척제(戚弟) : 친척 아우
◎ 척지(尺地) : 갓가운 곳.
◎ 척촌(尺寸) : 적은 뜻.
◎ 척형(戚兄) : 四寸以上의異姓의兄.
◎ 척호지정(陟岵之情) : 어미 생각하는 말.
◎ 척충(尺虫) : 자버러지.
◎ 천(踐) : 밟을 천.
◎ 천(倩) : 하여금 천.
◎ 천(臶) : 거듭 천.
◎ 천(遄) : 빠를 천.
◎ 천감(淺鑒) : 엿혼지감.
◎ 천감토비(泉甘土肥) : 샘이달고히기름지다는 말.
◎ 천강(賤降) : 자생일.
◎ 천경파(千頃波) : 그 사람도량.
◎ 천교(賤嬌) : 내 딸.
◎ 천기(天氣) : 日氣.
◎ 천금매부(千金買賦) : 漢武帝之后ㅣ別居長門할새奉黃金百斤하야請相如作長門賦.
◎ 천대호(千代號) : 군함 이름.
◎ 천렬(薦劣) : 용렬한 모양.
◎ 천부(遄復) : 빨리나은 뜻.
◎ 천상(天相) : 自天佑之之意.
◎ 천식(賤息) : 자기딸.
◎ 천식은(淺識은) : 지식이 적다는 뜻.
◎ 천아(賤疴) : 내병.
◎ 천연(遷延) : 지체하한다는 뜻.
◎ 천연승지(天然勝地) : 저절로 된 좋은 땅.
◎ 천완(遷緩) : 천연한 것.
◎ 천인(倩人) : 대신사람.
◎ 천전(遄痊) : 병이빨이 낫는 뜻.
◎ 천종(賤悰) : 내 정성.
◎ 천죽방죽(天竹方竹) : 日本所産.
◎ 천중(天中) : 五月.
◎ 천착(淺窄) : 각색.
◎ 천치(賤齒) : 내나.
◎ 천행(擅行) : 졔 마음대로 하난 일.
◎ 천호인사(天胡忍斯) : 하늘이 얻지 이같이 참아하시난고.
◎ 천화(天花) : 痘疹.
◎ 천황(天潢) : 銀河니■浱의稱이라
◎ 철(撤) : 것을 철.
◎ 철(啜) : 마실 철.
◎ 철야(輟夜) : 밤을새우는 것.
◎ 첨(添) : 더할 텸.
◎ 첨(忝) : 욕될 첨.
◎ 첨극(添劇) : 더하단 말.
◎ 첨손(添損) : 병이 더함.
◎ 첨앙(瞻仰) : 생각하는 뜻.
◎ 첨일치(添一齒) : 나 한살 더 먹는 뜻.
◎ 첨정(添丁) : 아달 낫단 말.
◎ 첨증(添症) : 병이 더치는 뜻.
◎ 첨치(添齒) : 한 살더 먹는 것이라.
◎ 첩(妾) : 女子自稱用.
◎ 첩(捷) : 이길 첩.
◎ 첩경(捷徑) : 빠른 길.
◎ 청감(淸勘) : 다 갑는 뜻.
◎ 청낭(靑囊) : 醫師貯書之囊.
◎ 청목(淸穆) : 安過의뜻.
◎ 청묵(淸墨) : 아랫사람 편지.
◎ 청범(淸範) : 존칭이니 저 사람의 모양.
◎ 청비(淸毖) : 맑은 모양.
◎ 청안(靑眼) : 깃분눈.
◎ 청정세계(淸淨世界) : 부쳐 있는 곳.
◎ 청조(靑鳥) : 信傳鳥也.
◎ 청준(淸雋) : 준수.
◎ 청평결록(靑萍結綠) : 靑萍은劒名이오結綠은玉名이니皆重寶.
◎ 청함(淸凾) : 편지.
◎ 청화(淸和) : 4월
◎ 체(替) : 대신할 체.
◎ 체(涕) : 물 이름 .
◎ 체(滯) : 걸닐 체.
◎ 체(棣) : 아가배 체.
◎ 체리(棣履) : 형제간.
◎ 체백(替白) : 편지로 말함이라.
◎ 체상(棣床) : 형제 있난 자라.
◎ 체서(替書) : 편지로 하난 것.
◎ 체수(滯祟) : 쳬증.
◎ 체앙(替仰) : 편지로 대신함이라.
◎ 체주(掣肘) : 이상▣되한다는 뜻.
◎ 체체(棣體) : 兄弟也.
◎ 체체(棣軆) : 兄弟 있은 사람에게 쓰는 법.
◎ 체탐(替探) : 편지로 몸을 대신하야 안부를 탐문한단 말.
◎ 초(悄) : 근심할 초.
◎ 초(誚) : 꾸지즐 초.
◎ 초가(稍可) : 조금 나은 것.
◎ 초감(稍減) : 적이 감한 뜻.
◎ 초감(稍减) : 적이같한 뜻.
◎ 초동(焦桐) : 琴名也.
◎ 초등(超等) : 동류에뛰여한다는 뜻.
◎ 초등출류(超等出類) : 동류에뛰여한다는 뜻
◎ 초란지상(焦爛之傷) : 머리도 타고 이마도 지진 것.
◎ 초륜(超倫) : 뛰여난 뜻.
◎ 초민(焦悶) : 민망.
◎ 초백도소(椒栢屠蘇) : 술이름.
◎ 초사(樵思) : 타게 생각하는 뜻.
◎ 초사(焦思) : 타는생각.
◎ 초송(椒頌) : 슈비난송▣.
◎ 초순(初旬) : 초열흘.
◎ 초액(椒腋) : 皇后宮殿에以椒塗璧하나니漢禮라.
◎ 초연(悄然) : 빈모양.
◎ 초유(稍有) : 적이있다는 말.
◎ 초은(招隱) : 은사부르난시.
◎ 초일(超逸) : 초등한 뜻.
◎ 초주(椒酒) : 元朝酒名.
◎ 초초(悄悄) : 근심하한다는 뜻.
◎ 초추(初秋) : 七月.
◎ 초츤(髫齔) : 어릴 때.
◎ 초한(峭寒) : 봄치위뜻.
◎ 초해(稍解) : 적이아는 뜻.
◎ 초행(醮行) : 장가 올 때.
◎ 초화송(椒花頌) : 새해송축.
◎ 촉(促) : 재촉할 촉.
◎ 촉(囑) : 부탁.
◎ 촉득기룡(蜀得其龍) : 諸葛武侯兄及從弟가各仕三國하니世謂蜀得其龍.
◎ 촉룡(燭龍) : 불귀신.
◎ 촉처관념(觸處關念) : 到處에 생각는단 말.
◎ 촌렬(寸裂) : 마듸마다여지한다는 뜻.
◎ 촌언(寸言) : 잘은말.
◎ 촌음(寸陰) : 한치그늘.
◎ 촌음반각(寸陰半刻) : 한치그늘반시각.
◎ 총(偬) : 밧불 총.
◎ 총명(聰明) : 재조있난 사람.
◎ 총명(聦明) : 귀 밝고 눈 밝은 모양.
◎ 총소(寵召) : 남이 부르난 것을 존층하는 뜻이라.
◎ 총신(寵訊) : 저 사람이문는 것.
◎ 총총(怱怱) : 바쁜 뜻.
◎ 총포(叢逋) : 衆債.
◎ 총한(寵翰) : 저 사람의 편지니 존칭하는 말.
◎ 최(摧) : 꺼글 최.
◎ 최고운(崔孤雲) : 최치원이니 동방 첫문장.
◎ 최렬(摧裂) : 찌여지는 듯 하단 말.
◎ 추(抽) : 빼일 추 .
◎ 추(推) : 밀칠 퇴.
◎ 추(趨) : 추주할 추.
◎ 추(醜) : 類也 갓흘 추.
◎ 추(雛) : 새 색기 추.
◎ 추미(皺眉) : 눈썹찡기한다는 뜻.
◎ 추신(追伸) : 뒤에 추가(追加) : 하여 말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등(等) : 에서 글을 덧붙여 쓸 때 글 머리에 쓰는 말.
◎ 추신(追申) : 추신(追伸) : . 뒤에 추가(追加) : 하여 말한다라는 뜻으로, 편지(便紙) : 등(等) : 에서 글을 추가(追加) : 할 때 그 글의 머리에 쓰는 말.
◎ 추알(趨謁) : 가보는 뜻.
◎ 추알(趍謁) : 가보는 뜻.
◎ 추염(秋炎) : 8월
◎ 추요(蒭蕘) : 쳔한말.
◎ 추요지지(樞要之地) : 重要地也.
◎ 추조(趨造) : 나가한다는 뜻.
◎ 추진(趍晋) : 그 사람 집에 가난 것.
◎ 추창간운(推窓看雲) : 챵을 열고 구름을 보는 뜻.
◎ 추축(趍逐) : 상종.
◎ 추평(楸枰) : 바독판.
◎ 추행(楸行) : 성모 가난 것.
◎ 추환(芻豢) : 조혼열구자.
◎ 축(縮) : 주러질 축.
◎ 축미(縮眉) : 눈썹 찝으리는 것.
◎ 축사(祝史) : 祭官.
◎ 축융(祝融) : 여름귀신.
◎ 춘당(春堂) : 萱闈.
◎ 춘당(椿堂) : 남의 부친.
◎ 춘만(春晩) : 三月節.
◎ 춘부장(春府丈) : 남의 아부지.
◎ 춘사(春事) : 농사.
◎ 춘운추월(春雲秋月) : 王儉이作禇彥回碑文云風儀는與秋月齊朗하고音徽는與春雲等潤.
◎ 춘장(春丈) : 저 사람의 아버지.
◎ 춘추(春秋) : 년셰.
◎ 춘한(春寒) : 2월
◎ 춘홍(春鴻) : 편지 전하난 새.
◎ 춘훤(春萱) : 그 사람부모.
◎ 춘훤(椿萱) : 他人父母之稱
◎ 출고(出告) : 出必告.
◎ 출교(出郊) : 문밖에 나가는 뜻.
◎ 출초(出梢) : 끝나는 것.
◎ 충건(充健) : 충실한 뜻.
◎ 충분(充分) : 넉넉.
◎ 충우(充優) : 넉넉한 뜻.
◎ 충정(衷情) : 속정회.
◎ 취구(炊臼) : 상처.
◎ 취목지일(就木之日) : 입관하던 날.
◎ 취서(就緖) : 잘되한다는 뜻.
◎ 취소(吹簫) : 伍子가貧時에吹簫乞食於吳市
◎ 취수(聚首) : 作伴.
◎ 취약(脆弱) : 셤약한 뜻.
◎ 취중(就中) : 그 즁이란 뜻.
◎ 취총기죽(吹葱騎竹) : 파홀듸기 불고 참대 말타는 것이니 아희덜의 작란.
◎ 측(仄) : 기울일 측.
◎ 측령(仄聆) : 귀를 기우려 듯는 뜻.
◎ 측이선성(側耳蟬聲) : 장마 즁에 매암이가 울면 비가 개인다 하니라.
◎ 치(値) : 맛날 치.
◎ 치(穉) : 어릴 치.
◎ 치(馳) : 곳 달녀가 기별하는 뜻.
◎ 치념(馳念) : 아랫사람을 생각하는 것.
◎ 치려(馳慮) : 생각하는 뜻.
◎ 치련(馳戀) : 달여생각하는 뜻.
◎ 치류연양(穉榴軟楊) : 어린 석류 연한 버들.
◎ 치보(馳報) : 곳 통지 하는 뜻.
◎ 치사(致思) : 생각하단 말.
◎ 치산(治産) : 살임.
◎ 치산(治產) : 살임.
◎ 치수구금(錙銖鉤金) : 적은이익.
◎ 칙(飭) : 신측할 측.
◎ 慗(慗) : 원할 은.
◎ 친교(親敎) : 父의 分付.
◎ 친동월진(親同越秦) : 남타성가치 본다는 뜻.
◎ 친사(親事) : 혼인.
◎ 친우(親憂) : 친환.
◎ 친원(親元) : 새해 뎡월이란 말.
◎ 친전(親展) : 편지(便紙) : 에서, 받는 사람이 직접(直接) : 펴 보아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겉봉의 받는 사람의 이름 옆이나 아래에 쓰는 말.
◎ 칠석(七夕) : 七月七日.
◎ 침(忱) : 정성 침.
◎ 침(駸) : 달닐 침.
◎ 침고(沉痼) : 깊히 병든 것.
◎ 침궤(寢饋) : 眠食.
◎ 침담(寢啖) : 침식과 갓틈이라.
◎ 침문(寢門) : 吊友에哭諸||之外.
◎ 침선(針繕) : 바나질.
◎ 침수(沈祟) : 깊은병.
◎ 침채(沈菜) : 김치.
◎ 침채(沉菜) : 김치.
◎ 침침(駸駸) : 빠른 뜻.
◎ 칩(蟄) : 칩복할 칩.
◎ 칩복(蟄伏) : 蟄虫같이 업다리단 말.
◎ 칭도(稱道) : 칭찬.
◎ 칭상(稱觴) : 축수하난잔.
◎ 쾌상(快爽) : 시연한 것.
◎ 쾌소(快蘇) : 쾌하기 낫다는 뜻.
◎ 쾌소식(快消息) : 좋은 소식.
◎ 타(唾) : 춤밧을 타.
◎ 타(拖) : 있끌 타.
◎ 타(朶) : 꽃송이 타.
◎ 타(橢) : 길게 둥글 타.
◎ 타(跎) : 뛰트러질 타.
◎ 타려(他慮) : 色界를謂홈.
◎ 타령(妥靈) : 신위 모시는 뜻.
◎ 타옥(唾玉) : 옥같은글.
◎ 타운(朶雲) : 편지.
◎ 타이(朶頤) : 養也니言其啖也.
◎ 타주(唾珠) : 주옥같은시.
◎ 타진(他辰) : 다른때.
◎ 탁락(卓犖) : 놉다는 뜻.
◎ 탁문군(卓文君) : 여자 이름이니 만고미인이라.
◎ 탁상(卓床) : 밥상침상.
◎ 탁월(卓越) : 웃뚝한모양.
◎ 탄(綻) : 터질 탄.
◎ 탄관진의(彈冠振衣) : 갓 쓰고 옷 입단 말.
◎ 탄돌(嘆咄) : 탄식이 심한 뜻.
◎ 탄랑(坦郞) : 사위.
◎ 탄서(綻書) : 꽃 피는 뜻.
◎ 탈건괘벽(脫巾掛壁) : 巾버셔셔壁에거는 뜻.
◎ 탈유(脫有) : 혹있나뜻.
◎ 탐(探) : 탐문할 탐.
◎ 탐승(探勝) : 구경 단이는 말.
◎ 탑(榻) : 자리 탁.
◎ 탕병(湯餠) : 삼일날 손님 대졉.
◎ 탕병(湯餅) : 삼일날손대졉.
◎ 탕병회(湯餠會) : 삼칠일 잔차.
◎ 탕자(蕩子) : 부랑자.
◎ 태(殆) : 거위 태.
◎ 태(胎) : 태 태.
◎ 태동(殆同) : 갓다는 말.
◎ 태심(太甚) : 너모 심하다는 말.
◎ 태원(太遠) : 너모머다는 말.
◎ 태중대부(太中大夫) : 漢主父偃이一歲中에超遷至.
◎ 태진(太眞) : 楊貴妃.
◎ 택조(擇兆) : 산디가리난 것.
◎ 터(攄) : 펼 터.
◎ 토론(討論) : 의론하는 뜻.
◎ 토말두건(土襪頭巾) : 흙뭇은버선과머리에수건쓴것.
◎ 토회(兔懷) : 셰살.
◎ 통(痛) : 大也 클 통.
◎ 통금(痛禁) : 엄금.
◎ 통령(通靈) : 통신.
◎ 통음(痛飮) : 만이먹는 뜻.
◎ 통자(通刺) : 명함통함이라.
◎ 통해(通解) : 아난 것.
◎ 통환(通患) : 같은 걱정.
◎ 퇴(頹) : 씨러질 퇴.
◎ 퇴와(頹臥) : 쓰러진 모양.
◎ 투(透) : 뚜를 투.
◎ 투초(闘草) : 풀싸훔하는 것.
◎ 파(播) : 삐일 파.
◎ 파(派) : 갈내 파.
◎ 파(頗) : 자못 파.
◎ 파(叵) : 못할 파.
◎ 파산(巴山) : 친구리별하든곳.
◎ 파신(波臣) : 莊子視涸轍中에有鮒魚焉하니曰我는東海之波臣.
◎ 파탈(擺脫) : 헷지한다는 뜻.
◎ 판향(瓣香) : 齎香之儀오又師友之相愛不忘也.
◎ 팔궤(八簋) : 잘차린뜻.
◎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 불경젼부.
◎ 패상(悖常) : 강상을 패함이라.
◎ 패습(悖習) : 악습.
◎ 편기(偏嗜) : 편벽되이 조와하는 뜻.
◎ 편모시하(偏母侍下) : 慈堂侍下.
◎ 편애(偏愛) : 심히사랑하는 뜻.
◎ 편친(偏親) : 어머니.
◎ 편토(褊土) : 좁은땅.
◎ 편풍(便風) : 인편.
◎ 폄(砭) : 침 폄.
◎ 평(評) : 의론 평.
◎ 평교(平交) : 친구.
◎ 평소(平素) : 평일.
◎ 평수(萍水) : 우연이맛나는 뜻.
◎ 평장(萍場) : 타향.
◎ 평천(平泉) : 병장이름.
◎ 평향(萍鄕) : 타향.
◎ 폐(廢) : 폐할 폐.
◎ 폐시(蔽市) : 성한모양.
◎ 포(匍) : 긜 포.
◎ 포(泡) : 겁품 포.
◎ 포(褒) : 기릴 포.
◎ 포(晡) : 신시 포.
◎ 포(舖) : 펼 포.
◎ 포(拋) : 던질 포.
◎ 포류(蒲柳) : 일기 쇠하난 풀이니 사람 자즘에 비유함이라.
◎ 포륜(蒲輪) : 後漢書以蒲로褁車輪하니取其安也.
◎ 포린(抱麟) : 柱詩에天上抱送玉麒麟
◎ 포만(逋慢) : 지완함이라.
◎ 포문(飽聞) : 만히 들은 것.
◎ 포복(匍匐) : 굽히고가한다는 뜻.
◎ 포서일권(抱書一卷) : 책한권인다는 말.
◎ 포양(蒲釀) : 오월에 먹는 술.
◎ 포제(胞弟) : 친아우.
◎ 폭(幅) : 폭 폭.
◎ 폭(曝) : 볏쬐일 폭.
◎ 폭죽(爆竹) : 벽사.
◎ 폭한(曝寒) : 一曝十寒.
◎ 표종제(表從弟) : 외종제.
◎ 표준(標準) : 주체.
◎ 표질(表侄) : 성질.
◎ 표질(表姪) : 甥姪也.
◎ 표창(表彰) : 드러내다는 말.
◎ 품(禀) : 고할 품.
◎ 품달(稟達) : 아뢴다는 말.
◎ 품문(禀問) : 옛주어 보는 뜻.
◎ 품부(禀賦) : 기질이란 뜻.
◎ 품의(稟議) : 품해말는 뜻.
◎ 품질(禀質) : 天禀.
◎ 풍(楓) : 단풍나무 풍.
◎ 풍등(豐登) : 잘익은것.
◎ 풍문(風聞) : 소문.
◎ 풍물(風物) : 경치.
◎ 풍수(風水) : 堪輿說은藏風避水를專主라靑鳥雪心은靑鳥經雪心賦니地家書名.
◎ 풍수(風祟) : 풍병.
◎ 풍쟁(風箏) : 紙鳶戱.
◎ 풍조(風潮) : 풍속.
◎ 풍채(風采) : 모양이란뜻.
◎ 피변(彼邊) : 저곳.
◎ 벽악(辟惡) : 재앙업새한다는 뜻.
◎ 피열(披閱) : 뜨더보는 뜻.
◎ 피창(彼蒼) : 하늘.
◎ 필(蓽) : 쑥 필.
◎ 필석(筆碩) : 동창생으로 함 공부햇단 말.
◎ 필설난진(筆舌難盡) : 붓으로는 이루 다하지 못하다는 뜻.
◎ 필수석화(筆酬碩話) : 서로 글 뜻 토론하는 것.
◎ 필정(必旌) : 마음의 향함을 가라침.
◎ 필호(蓽戶) : 가난한 문호.
◎ 필호(蓽戸) : 가난문호.
◎ 핍(逼) : 핍박할 핍.
◎ 하(賀) : 하례 하.
◎ 하(遐) : 멀 하.
◎ 하간(何間) : 어느사이.
◎ 하답(下答) : 답장.
◎ 하례(下隷) : 하인.
◎ 하례(下隸) : 하인.
◎ 하물(荷物) : 짐짝.
◎ 하백(河伯) : 河水之神.
◎ 하복(遐福) : 장구한 복.
◎ 하삭(河朔) : 북방하수.
◎ 하성(下誠) : 주로 편지(便紙) : 에서, 웃어른께 '자기(自己) : 의 정성(精誠) : '을 겸손(謙遜) : 하게 일컫는 말.
◎ 하세(下世) : 세상을 버림이라.
◎ 하수물각(下收勿却) : 밧고 도로 물니치지 말는 말.
◎ 하숭(何崇) : 무삼병.
◎ 하승(下乘) : 佛家에以三乘으로論道優劣하니白牛車爲上乘이오鹿車爲中乘이오羊車爲下乘
◎ 하어복질(河魚腹疾) : 左傳河魚腹疾하니奈何오.
◎ 하정(下情) : 아래사람의정리.
◎ 하조(下照) : 下亮이뜻.
◎ 하족책(何足責) : 부족책.
◎ 하질(遐耋) : 오란수.
◎ 하척(下擲) : 웃사람이 아랫사람 주는 것.
◎ 하촉(下燭) : 통총.
◎ 하한(河漢) : 莊子에猶河漢而無極也하야大有逕庭에不近人情焉.
◎ 학보(學步) : 거름배우는 뜻.
◎ 학우(學友) : 同接.
◎ 한(汗) : 땀 한.
◎ 한(罕) : 드물 한.
◎ 한(翰) : 편지 한.
◎ 한(嫺) : 한숙할 간.
◎ 한(鷴) : 두루미 한.
◎ 한류(汗流) : 붓거려워 땀나난 뜻.
◎ 한무(漢武) : 한무제니 또한 신선 구하던 인군이라.
◎ 한문(寒門) : 唐葉法善이導明皇游月宮할새見玉宇金闕之額曰淸虛廣寒之府.
◎ 한부(韓富) : 韓富冨弼宋朝名栢.
◎ 한산(閑山) : 고향을 가리침.
◎ 한산석경(寒山石逕) : 단풍만은곳.
◎ 한안(汗顔) : 붓그린낫.
◎ 한안강어(寒雁江魚) : 皆書信也.
◎ 한액(汗額) : 붓그러은 뜻.
◎ 한염(旱炎) : 가믐과 더위.
◎ 한㕏(寒㕏) : 간란한 집.
◎ 한화(寒花) : 국화.
◎ 한훤(寒喧) : 문안.
◎ 한훤(寒暄) : 암부.
◎ 한훤례어(寒暄例語) : 안부 뭇는 뜻.
◎ 한훤차(寒喧箚) : 단찰 편지.
◎ 할거(割據) : 나우어사는 것.
◎ 할반(割半) : 반몸버인뜻.
◎ 할반지통(割半之痛) : 형제 간 상고를 당함이라.
◎ 함(啣) : 명함 함.
◎ 함(緘) : 봉할 함.
◎ 함(艦) : 배 함.
◎ 함(凾) : 편지 함.
◎ 함(醎) : 짤 함.
◎ 함결(銜結) : 銜環結草니銜環은黃雀이欲報救命之恩하야銜環而來하고結草.
◎ 함량(涵諒) : 깊히 량해.
◎ 함이(含飴) : 戱孫也.
◎ 합격(合格) : 시험에 합당.
◎ 합내(閤內) : 그 사람집안.
◎ 합내대소(閤內大小) : 그집안식구.
◎ 합문(閤門) : 오은 문중.
◎ 합비(合庇) : 왼 집안.
◎ 합석(合席) : 맛나다는 말.
◎ 합연(溘然) : 죽한다는 뜻.
◎ 합절(閤節) : 그집안.
◎ 항(伉) : 짝 항 .
◎ 항(港) : 항구 항.
◎ 항려(伉儷) : 부부.
◎ 항습(恒習) : 습관.
◎ 항아(姮娥) : 달ㅅ귀신.
◎ 해(咳) : 기춤 해.
◎ 해(懈) : 게를 해.
◎ 해낭(奚囊) : 시 짓난 주머니.
◎ 해량(海諒) : 깊히 헤아리는 뜻.
◎ 해부(解部) : 배갈느난 것.
◎ 해수(咳嗽) : 겨침.
◎ 해왕(偕往) : 같이가.
◎ 해의(海衣) : 김.
◎ 해의반박(解衣盤礴) : 莊子에齊王이好畵하야使衆畵史로作畵할새有一畵史|後至하야||||而坐어날王이曰此眞善畵者也. 梨園老麯部御樂供奉之樂師.
◎ 해이(解弛) : 풀이단뜻.
◎ 해작(偕作) : 동행.
◎ 해제(孩提) : 어린때.
◎ 해증(咳症) : 해소.
◎ 해행(偕行) : 동행.
◎ 해행(蟹行) : 數字를가로쓰는 뜻.
◎ 해행수자(蟹行數字) : 數字를 가로 쓰는 뜻.
◎ 행(倖) : 요행 행.
◎ 행리(行李) : 행장.
◎ 행무첨증(幸無添症) : 다행히 더하지 아니하단 말.
◎ 행운류수(行雲流水) : 업셔지한다는 뜻.
◎ 향국(香國) : 꽃필때.
◎ 향당(鄕黨) : 일군.
◎ 향려(鄕廬) : 시골집.
◎ 향렴(香奩) : 녀자의 화장품 기구.
◎ 향료(香醪) : 좋은 술.
◎ 향산(鄕山) : 고향산쳔.
◎ 향상(向狀) : 그 젼 모양.
◎ 향운(香雲) : 宋李綱이每宴客에焚香於樓之四隅하야名曰香雲
◎ 향자(向者) : 저번에.
◎ 향자평(向子平) : 人名畢婚恣遊.
◎ 향하(享遐) : 수하다는 뜻.
◎ 허랑(虛浪) : 허탄하다는 말.
◎ 허희(噓唏) : 탄식하난 모양.
◎ 헌(軒) : 마루 헌.
◎ 헌(幰) : 수레장막 헌.
◎ 헌근(獻芹) : 변변치 못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웃사람에게 물건(物件) : 을 선사할 때나 자기(自己) : 의견(意見) : 을 적어 보낼 때'에 겸손(謙遜) : 하게 이르는 말.
◎ 험이(險夷) : 험하고편한 뜻.
◎ 혁(革) : 곳칠 혁.
◎ 혁염(爀炎) : 뜨거운 볏.
◎ 현각(賢閣) : 남에 아내.
◎ 현경(懸磬) : 속뷘뜻
◎ 현경(現警) : 目前之疾病憂患.
◎ 현경(賢卿) : 아내다러하나.
◎ 현경(現警) : 目前之疾病憂患.
◎ 현계(賢季) : 나무 동생.
◎ 현곤중(賢昆仲) : 他人兄弟之稱稱兕觥詩云稱彼兕觥하니萬壽无彊.
◎ 현념(懸念) : 생각하는 뜻.
◎ 현란(眩亂) : 엇뜩한 뜻.
◎ 현망(懸望) : 고대.
◎ 현안(眩眼) : 눈어지런뜻.
◎ 현앙(懸仰) : 대단히 바라.
◎ 현애(懸涯) : 서로 먼 뜻.
◎ 현어(懸魚) : 羊續이爲南陽太守에府丞이献生魚러니受而懸於庭.
◎ 현연(泫然) : 눈물 흘리는 모양.
◎ 현윤(賢允) : 남의 아들.
◎ 현재(賢宰) : 착한 원.
◎ 현저(玄著) : 淸遠之想.
◎ 현절(懸切) : 기다리한다는 뜻.
◎ 현정(懸鼎) : 밥 짓지 못한다는 뜻.
◎ 현주(玄酒) : 씬 술.
◎ 현포(賢抱) : 저 사람의 손자.
◎ 현핍(現乏) : 당장업다는 말.
◎ 현합(賢閤) : 그 사람부인.
◎ 현해(玄海) : 일본 가는 대 있은 바다.
◎ 현호(懸弧) : 禮記生男에懸弧於門左○弧는桑木弓이니以蓬爲矢하야射天地四方.
◎ 현호령진(懸弧令辰) : 생신날.
◎ 혈(孑) : 외로울 혈.
◎ 혈괴(血塊) : 피뭉치.
◎ 혈립(孑立) : 홀로선뜻.
◎ 혈혈(孑孑) : 왓다른모양.
◎ 혈혈단신(孑孑單身) : 외로온 뜻.
◎ 협(挾) : 낄 협.
◎ 협(狹) : 좁을 협.
◎ 협(頰) : 뺨 협.
◎ 협(叶) : 하할 협.
◎ 협(愜) : 화합할 협.
◎ 형(逈) : 뭘 형.
◎ 형(馨) : 꽃다울 형.
◎ 형가(刑家) : 집다사리한다는 뜻.
◎ 형달(形達) : 형용해 말함이라.
◎ 형산(荆山) : 玉을出하는地名.
◎ 형설(螢雪) : 秋冬節也.
◎ 형영상적(形影相吊) : 외로온 뜻.
◎ 형우(荆憂) : 처병.
◎ 혜검(慧劎) : 날랜비수.
◎ 혜독(惠牘) : 저 사람의 편지니 놉히는 뜻.
◎ 혜량(惠諒) : 살펴서 이해(理解) : 함의 뜻으로, 편지(便紙) : 에서 쓰는 말. 겸손(謙遜) : 한 표현(表現) : 임. 부디 저의 간청(懇請) : 을 혜량(惠諒) :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의 뜻.
◎ 혜신(惠訊) : 편지의 뜻.
◎ 혜아(惠我) : 내게보낸것.
◎ 혜풍(惠風) : 화한 바람.
◎ 혜후(徯侯) : 관찰기다리한다는 뜻.
◎ 호(壺) : 병 호.
◎ 호(岵) : 뫼 호.
◎ 호(沍) : 얼 호.
◎ 호(滬) : 淸國上海.
◎ 호가(浩呵) : 큰 우.
◎ 호가호가(好呵好呵) : 우습다는 말.
◎ 호구(糊口) : 입에 풀하는 뜻.
◎ 호남(湖南) : 전라도.
◎ 호시(怙恃) : 부모.
◎ 호월(胡越) : 서로 머러셔 상통이 잘 아니되난 곳.
◎ 호음(好音) : 저 사람의 별기.
◎ 호중(湖中) : 충청도.
◎ 호진(弧辰) : 회갑.
◎ 호희사(胡姫肆) : 술집.
◎ 호천부적(昊天不吊) : 하늘이 도아주지 아니하다난 뜻.
◎ 호천통곡(號天痛哭) : 하늘을 부르지저 운단 말.
◎ 호촉(呼燭) : 불 켜는 뜻.
◎ 호한(虎漢) : 디명이니 경치 좋은 곳.
◎ 호희사(胡姬肆) : 술집.
◎ 혹연(或然) : 혹르럴뜻하다는 말.
◎ 혼(溷) : 데러울 혼.
◎ 혼권(渾眷) : 온집안.
◎ 혼권은온집안.(渾眷은온집안.) :
◎ 혼만(渾漫) : 마음없는 뜻.
◎ 혼실(渾室) : 온집안.
◎ 혼절(渾節) : 왼잡안.
◎ 혼접(渾接) : 여러동졉.
◎ 혼효(混淆) : 석긴 것.
◎ 홀홀(忽忽) : 바쁜뜻.
◎ 홍교지탄(虹橋之嘆) : 소식 없는 것.
◎ 홍라(紅螺) : 鸚鵡殼이薄而紅하야堪爲酒杯.
◎ 홍로(洪爐) : 대단히 더운 것.
◎ 홍로(紅露) : 술 이름.
◎ 홍료(洪潦) : 큰장마.
◎ 홍범(洪範) : 성젼책편이름.
◎ 홍수(洪水) : 장마때큰물.
◎ 홍수(紅瘦) : 꽃치지는 것.
◎ 홍아(紅牙) : 宋趙子固ㅣ每醉歌樂府에執紅牙而節曲.
◎ 홍옥(紅玉) : 술.
◎ 홍일(烘日) : 더운 날.
◎ 홍장걸작(鴻章傑作) : 큰 문장의 썩 잘 지은 것.
◎ 홍종(鴻踪) : 저 사람이오는 것.
◎ 홍희(鴻禧) : 큰 복죠.
◎ 화강(化彊) : 治化之郡.
◎ 화갱(和羹) : 정승사업.
◎ 화계(畵鷄) : 귀신난그림.
◎ 화교성수(火橋星樹) : 정월보름에 등불 케난 모앙.
◎ 화㦸(畵㦸) : 韋應物詩曰兵衛森畵㦸、燕寢凝淸香、.
◎ 화륜(火輪) : 날.
◎ 화묵(華墨) : 손아래사람 편지.
◎ 화물(伙物) : 家具汁物孤山處士林逋|隱西湖之孤山하야妻梅而子鶴.
◎ 화불단행(禍不單行) : 재앙이 重疊한 뜻.
◎ 화사록창(花謝綠漲) : 꽃은 다하고 록음이 성한 뜻.
◎ 화사첨족(畵蛇添足) : 잘하려다가잘못된뜻.
◎ 화산(火傘) : 太陽溫度 地球에有溫帶熱帶寒帶
◎ 화수(火樹) : 등ㅅ대.
◎ 화수지의(花樹之誼) : 일가정의.
◎ 화수희(火樹戱) : 불노리.
◎ 화수희(火樹戯) : 불노리.
◎ 화승(花勝) : 꽃로름.
◎ 화식전(貨殖傳) : 치부책.
◎ 화아(畵鴉) : 벽에먹칠하는 것.
◎ 화옹(化翁) : 천지조화 첨지라.
◎ 화중은일(花中隱逸) : 국화를 일음.
◎ 화진(花辰) : 꽃 필 때.
◎ 화한(華翰) : 좋은 편지.
◎ 화후(和煦) : 3월
◎ 확(穫) : 거둘 확.
◎ 확굴(蠖屈) : 易에云尺蠖之屈은以求伸也
◎ 환(幻) : 변할 환.
◎ 환(歡) : 歡의 略字.
◎ 환(鰥) : 호라비 환.
◎ 환고(環顧) : 두루 보는 것.
◎ 환고(紈袴) : 富貴家의子弟炫服
◎ 환관(煥舘) : 더운 집.
◎ 환성(還省) : 부모를차저가보는 것.
◎ 환양(豢養) : 牛馬曰芻오犬豕曰豢이니豢養는飼以犬豕之列.
◎ 환영(歡迎) : 조와하난 것.
◎ 환우(寰宇) : 왼셰계.
◎ 환원숙(桓元叔) : 옛사람성명
◎ 환절시기(換節時機) : 절기 밧귀는 뜻.
◎ 환차(還次) : 도라오신다.
◎ 환패(還旆) : 도라오는 뜻.
◎ 환해(宦海) : 벼살자리.
◎ 환후(患候) : 병환.
◎ 활(豁) : 넓을 활.
◎ 활(闊) : 넓을 활.
◎ 활별(濶別) : 오래못본뜻.
◎ 황(煌) : 光也 빗날 황.
◎ 황(貺) : 줄 황.
◎ 황감청구(黃柑靑韭) : 입춘날 먹는 시식이라.
◎ 황권중고인(黃卷中故人) : 책에 있난 이전 착한 사람.
◎ 황내(黃嬭) : 午睡.
◎ 황당(荒唐) : 荒은荒廢오唐은唐突.
◎ 황실(貺室) : 아내를 삼아주난 것이라.
◎ 황작자(黃雀炙) : 참새구이.
◎ 황조(黃鳥) : 꾀꼬리.
◎ 황지(荒地) : 묵은땅.
◎ 황혼(黃昏) : 매화필때.
◎ 황화(黃花) : 국화.
◎ 황화(黃華) : 국화.
◎ 회(誨) : 가라칠 회.
◎ 회개(悔改) : 허물을 고치난 뜻.
◎ 회계(回戒) : 回答.
◎ 회량(懷凉) : 슬푼뜻.
◎ 회록지재(回祿之災) : 화재.
◎ 회서(懷緖) : 회포.
◎ 회앙(懷仰) : 생각하는 뜻.
◎ 회양(回陽) : 병낫는 뜻.
◎ 회옥(回玉) : 答札也.
◎ 회회(恢恢) : 넉넉한 뜻.
◎ 획자(獲炙) : 獲受其薰炙.
◎ 횡(黌) : 학교 횡.
◎ 횡사(黌舍) : 學宮.
◎ 횡액(橫厄) : 뜻밖에 당하난 액.
◎ 횡역지래(橫逆之來) : 내 허물 없이 만하난 변.
◎ 효(肴) : 안주 효.
◎ 효과(效果) : 효력.
◎ 효과(効果) : 효험.
◎ 효란(淆亂) : 어지러운 것.
◎ 효진(囂塵) : 풍진 시대란 말.
◎ 후(朽) : 썩을 후.
◎ 후(煦) : 더울 후.
◎ 후각(後覺) : 後進.
◎ 후인(後人) : 남뒤지한다는 뜻.
◎ 후진(後進) : 뒤에 배호난 사람.
◎ 학철(涸轍) : 물 없는 수래.
◎ 훈지지악(塤篪之樂) : 형제 화합한 뜻.
◎ 훈호(塤箎) : 형제풍류.
◎ 훙서(薨逝) : 죽은 뜻.
◎ 훤(暄) : 따뜻할 훤.
◎ 훤(萱) : 망우초 헌.
◎ 훤당(萱堂) : 어머니.
◎ 훤위(萱幃) : 母堂也.
◎ 훤위(萱闈) : 나무 어머니.
◎ 훼치(毁齒) : 男子七歲曰||之年이니謂孔■落而另生■也
◎ 휘(諱) : 휘할 휘.
◎ 휘만(揮漫) : 흥치없는 뜻.
◎ 휘쇄(揮灑) : 쓰고그리한다는 뜻.
◎ 휘음(諱音) : 부고.
◎ 휴(休) : 아름다울 휴.
◎ 휴양(休養) : 사무 안보고 집에서 한양.
◎ 휴이(携貳) : 꺼러러는 뜻.
◎ 흉음(凶音) : 訃音의 뜻.
◎ 흉화(凶禍) : 喪事也.
◎ 흘(仡) : 날낼 흘.
◎ 흠(欠) : 합흠 게지개.
◎ 흠(欽) : 공경 흠.
◎ 흠녕(欠寧) : 편치 아니한 것.
◎ 흠돈(欠頓) : 이름을 생략하고 보냄, 친하거나 손아래 사람에게 보낼때 사용
◎ 흠선(欽羨) : 부러워하는 뜻.
◎ 흠손(欠損) : 편지못한 뜻.
◎ 흠앙(欽仰) : 부러워하는 뜻.
◎ 흠이(欽羡) : 부러워하는 뜻.
◎ 흠화(欠和) : 불평.
◎ 흡(翕) : 화할 흡.
◎ 흡위갈망(洽慰渴望) : 흡족히 목말느기 바라난 마음을 위로함이라.
◎ 흥체(興替) : 흥하고 폐한 뜻.
◎ 희(希) : 바랄 희.
◎ 희(禧) : 복 희.
◎ 희광(羲光) : 羲和는堯時曆官이니||은猶言光陰.
◎ 희마대(戯馬臺) : 九日에노는곳.
◎ 희학(戱謔) : 희롱.
◎ 희한(稀罕) : 드문단 말.
◎ 희활(稀濶) : 드문뜻.
◎ 희희양양(熙熙穰穰) : 분주한 뜻.
◎ 힐조(詰朝) : 아침.
'한문 사전, 번역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두문자, 이두자료, 이두사전, 이두문자사전, 이두해설, 이두문자해설 (8) | 2023.04.10 |
---|---|
한문 번역어 사전, 한문 단어 용어 해설 한문사전 (1) | 2023.04.10 |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ㄱ) - (ㅂ) (1) | 2023.04.09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ㅇ) - (ㅎ) (1) | 2023.04.09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ㄱ) - (ㅅ) (2)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