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假) : 거짓 가.
◎ 가(呵) : 꾸지즐 가.
◎ 가(暇) : 겨를 가.
◎ 가가(可呵) : '스스로 생각해도 우습다'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 에 쓰이는 말.
◎ 가경취숙(駕輕就熟) : 韓文에如駕輕車就熟路.
◎ 가관(加冠) : 冠禮하다는 뜻.
◎ 가군(家君) : 부친.
◎ 가기(可旣) : 다하는 뜻.
◎ 가내(家內) : 왼집안.
◎ 가동(呵凍) : 온손록임이라.
◎ 가례(家隸) : 집하인.
◎ 가루(家累) : 집안일.
◎ 가리(珂里) : 他人鄕里之稱.
◎ 가면(加勉) : 더힘씀이라.
◎ 가무(家務) : 집안일.
◎ 가배(嘉排) : 八月十五日.
◎ 가부(葭莩) : 姻親.
◎ 가사(葭思) : 詩云蒹葭蒼蒼이어날白露爲霜
◎ 가산(家山) : 고향.
◎ 가산(家產) : 가산.
◎ 가상(可尙) : 가히 슝상할 일.
◎ 가상(嘉尙) : 충찬하는 뜻.
◎ 가성(佳城) : 他人墳墓之稱.
◎ 가수(呵手) : 손 불단 말.
◎ 가신(家信) : 집소식
◎ 가실(家室) : 아해두는 뜻.
◎ 가아(家兒) : 아들.
◎ 가액(加額) : 손언꼬 바라는 뜻.
◎ 가양렬품(家釀劣品) : 집에셔 한 조치 못한 뜻.
◎ 가엄(家嚴) : 부친.
◎ 가의(葭誼) : 혼인한 의치.
◎ 가장(可將) : 가히 밧드난 뜻.
◎ 가절(佳節) : 名節.
◎ 가찬선섭(加饌善攝) : 음식을 갓초와 잘 좃셥하는 뜻.
◎ 가䇿(加䇿) : 채치한다는 뜻.
◎ 가초(價鈔) : 價餞.
◎ 가황(佳况) : 아름다운형상.
◎ 각골(刻骨) : 뼈에 삭이는 뜻.
◎ 각골면려(刻骨勉勵) : 뼈에 삭여 힘쓰는 뜻.
◎ 각려(恪厲) : 죠심하는 뜻.
◎ 각필(閣筆) : 글시폐한 뜻.
◎ 간(刊) : 색일 간.
◎ 간(幹) : 간섭할 간.
◎ 간관(懇欵) : 간절.
◎ 간속(赶速) : 빨은 뜻.
◎ 간운(看雲) : 형이 아우 생각하는 뜻.
◎ 간자(間者) : 그사이.
◎ 간제(間梯) : 소개하는 모양.
◎ 간책운편(簡冊芸編) : 셔책.
◎ 간초(艱草) : 간신히쓰는 뜻.
◎ 간한(間寒) : 공부를하다만것.
◎ 갈(喝) : 꾸지즐 갈.
◎ 갈(渴) : 목말을 갈.
◎ 갈(葛) : 측 갈.
◎ 갈건(葛巾) : 술거르난수건.
◎ 갈광(葛纊) : 夏葛冬纊이니纊.
◎ 갈구(渴求) : 목말은때에물구하듯하는 것.
◎ 갈변(喝釆) : 칭찬.
◎ 감(勘) : 익일 감.
◎ 감가(酣歌) : 술김에노래하는 것.
◎ 감량(鑑亮) : 보아생각하한다는 뜻.
◎ 감명(感銘) : 감사한 뜻.
◎ 감송교지(感悚交摯) : 감사함과 황송함이 한가지 발하다는 뜻이라.
◎ 감지(甘旨) : 唐董召南이入㕑供甘旨하고上堂問起居.
◎ 감찰(鑑察) : 잘 살펴주세요
◎ 감패(感佩) : 감사함을 가젓다.
◎ 감하각골(感賀刻骨) : 고맙고 뼈에 삭인단 말.
◎ 감환(感患) : 감기병.
◎ 감희지(鑑羲之) : 人名.
◎ 강(彊) : 지경 강.
◎ 강(疆) : 지경 강.
◎ 강(絳) : 붉을 강.
◎ 강남해(康南海) : 淸國人이니名은有爲라甞游歐洲하야有游記.
◎ 강동순(江東蓴) : 순나물.
◎ 강목(綱目) : 역대 사기라.
◎ 강보(襁褓) : 포대기.
◎ 강습(講習) : 연습.
◎ 강와(僵臥) : 쓸어진뜻.
◎ 강조(降朝) : 그 사람 생일.
◎ 강할(降割) : 화액나린 뜻.
◎ 개(介) : 도울 개.
◎ 개(价) : 하인 개.
◎ 개(慨) : 실풀 개.
◎ 개(槪) : 대강 개.
◎ 개(芥) : 노둔한 것.
◎ 개계(開戒) : 경계한단 말.
◎ 개도(開導) : 인도하는 뜻.
◎ 개연(慨然) : 슬픈 거동.
◎ 丯용(丯容) : 어엿분 얼굴.
◎ 개원(開元) : 당나라 단년호.
◎ 개의(介意) : 뜻에두는 것.
◎ 개탁(開坼) : 봉한 편지(便紙) : 나 서류(書類) : 를 '뜯어 보라'는 뜻으로, 주로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편지(便紙) : 겉봉에 쓰는 말.
◎ 개혁(改革) : 곳치는 뜻.
◎ 객관(客館) : 주막.
◎ 객동(客冬) : 저년 겨을.
◎ 객월(客月) : 지는 달.
◎ 객황(客況) : 客狀과 如홈.
◎ 객황(客况) : 객의 모양.
◎ 갹(醵) : 춘염 거.
◎ 거(渠) : 어런 압해 졔 몸을 낫춰하는 뜻.
◎ 거(距) : 이를 거.
◎ 거(遽) : 문득 거.
◎ 거가(擧家) : 왼 집안.
◎ 거가(渠家) : 계집.
◎ 거거(渠渠) : 深廣貌
◎ 거무하(居無何) : 얼마 아니 되엇단 말.
◎ 거세(擧世) : 온 셰상.
◎ 거실(擧室) : 왼집안.
◎ 거역차의(渠亦此意) : 저도 또한 이 뜻으로.
◎ 거연(居然) : 잠사이.
◎ 거유거흥(渠有渠興) : 졔가 졔흥이 있단 말.
◎ 거의(渠意) : 제마음.
◎ 거일(居一) : 첫재.
◎ 거제(居諸) : 세월.
◎ 거창(巨創) : 초종.
◎ 거취(去就) : 가고 오는 것.
◎ 건(愆) : 허물 건.
◎ 건둔(蹇屯) : 險艱.
◎ 건상(乾像) : 천문.
◎ 건상(乾象) : 천눈.
◎ 건선(健羨) : 대단히 흠선.
◎ 건수(蹇修) : 媒妁.
◎ 건시(乾時) : 말을때.
◎ 건절(建節) : 方伯이膺命에君이賜節鉞
◎ 걸(傑) : 호걸 걸.
◎ 걸신(乞神) : ①('빌어먹는 귀신(鬼神) : '의 뜻으로) : 굶주리어 염치(廉恥) : 를 돌아보지 않고 음식(飮食) : 을 지나치게 탐내는 욕심(慾心) : ②걸신장이.
◎ 검(儉) : 검소할 검.
◎ 검(檢) : 상고할 검.
◎ 검납(檢納) : 자셰밧한다는 뜻.
◎ 검열(檢閱) : 조사.
◎ 견권(繾綣) : 후한 뜻.
◎ 견금(見今) : 즉금.
◎ 견리(見吏) : 백성잡난아젼.
◎ 견사(牽絲) : 아내잘엇은 뜻.
◎ 견인(堅忍) : 굳게 참는단 말.
◎ 견초(見梢) : 끗낸것.
◎ 견택(堅澤) : 禮記月令에水澤이堅腹.
◎ 견회(遣懷) : 회포보내한다는 뜻
◎ 결(缺) : 이지러질 결.
◎ 결계(缺界) : 진세.
◎ 결과(結果) : 끝이란뜻.
◎ 결소(結巢) : 집진것.
◎ 결실(結實) : 맛치는말.
◎ 결연(缺然) : 섬섬한 뜻.
◎ 결연구불(缺然久不) : 史記報任
◎ 결옥(潔玉) : 옥거흔신랑.
◎ 결초(結草) : 春秋時에魏顆ㅣ不從父乱命而不徇其父妾이러니後與敵戰時에父妾之父魂이結草以拒敵하야顆不被擒.
◎ 겸(歉) : 흉년 겸.
◎ 겸순(兼旬) : 두렬흘.
◎ 겸충(歉衷) : 부족한마암.
◎ 겸측(歉仄) : 불안한 뜻
◎ 겸황(歉荒) : 흉년.
◎ 경(慶) : 경사 경.
◎ 경(擎) : 밧들 경.
◎ 경(瓊) : 구슬 경.
◎ 경(哽) : 목메일 경.
◎ 경각(頃刻) : 잠.
◎ 경경(耿耿) : 깜물깜물하는는 뜻이생각하다는 말.
◎ 경계(敬啓) : 편지(便紙) : 에 첫머리에 쓰는 말로써 삼가 사뢴다는 뜻으로 쓰임.
◎ 경과(經過) : 지나는 뜻.
◎ 경기(更奇) : 통기하단 말.
◎ 경부(敬復) : 경복(敬覆) : . 공경(恭敬) : 하여 삼가 답장한다는 뜻으로 주(主) : 로 한문투(漢文-) : 의 회답 편지(便紙) : 첫머리에 쓰는 말. 경복자(敬復者) : .
◎ 경복(敬覆) : 경복(敬復) : . 공경(恭敬) : 하여 삼가 답장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투(漢文-) : 의 회답 편지(便紙) : 첫머리에 쓰는 말. 경복자(敬復者) : .
◎ 경새(哽塞) : 억색한 뜻.
◎ 경서(庚暑) : 찌는 듯한 더위
◎ 경성(庚星) : 사람내난별.
◎ 경십(瓊什) : 남의 글.
◎ 경열(庚熱) : 복더위.
◎ 경염(庚炎) : 三伏中.
◎ 경요(庚耀) : 별광채 조부의 직성.
◎ 경위(涇渭) : 涇水淸하고渭水濁而二水相通故涇以渭濁
◎ 경위(經緯) : 올코 그른 것.
◎ 경의(經義) : 경서 뜻.
◎ 경자(景子) : 그림자.
◎ 경자(頃者) : 점대.
◎ 경잔(更殘) : 밤깊은 뜻.
◎ 경제(經濟) : 돈 적기 드는 것.
◎ 경풍(驚風) : 글씨잘쓴뜻.
◎ 경풍읍귀(驚風泣鬼) : 문필한 뜻.
◎ 경학원(經學院) : 성군관.
◎ 경함(瓊凾) : 저 사람의 편지니 죤칭하는 말.
◎ 경해(警咳) : 훈계하는 뜻.
◎ 경해일친(謦欬日親) : 親近長者之欬聲.
◎ 경행(景幸) : 크게 다행한 모양.
◎ 경향(京鄕) : 서울과 시골.
◎ 계(稽) : 조을 계.
◎ 계(届) : 밋칠 계.
◎ 계가(啓駕) : 행차의 뜻.
◎ 계군(雞群) : 嵇紹가始入洛에或謂王戎曰人中에見嵇紹하니昂昂然如野鶴之在鷄群.
◎ 계㦸(棨㦸) : 棨는揷㦸之欄이라唐詩에云兵威는森畵㦸.
◎ 계낙(季諾) : 漢書에得季布一諾이勝於千金.
◎ 계백(桂魄) : 달.
◎ 계백,천향(桂魄,天香) : 皆月也.
◎ 계속(繼續) : 연속한 뜻.
◎ 계속연구(繼續硏究) : 연속 공부하는 뜻.
◎ 계패(啓斾) : 가단 말.
◎ 계활(契活) : 살님.
◎ 고(姑) : 아즉
◎ 고(孤) : 어려서 아비 잃흔 것.
◎ 고(尻) : 문이 고.
◎ 고(痼) : 고질 고.
◎ 고가(高價) : 비싼것싼것.
◎ 고고(呱呱) : 어린아해 우는 소래.
◎ 고규(叩叫) : 叩地叫天.
◎ 고기(高奇) : 놉고 기이한 것.
◎ 고동(鼓動) : 격동하는 뜻.
◎ 皷동(皷動) : 격동하는 뜻.
◎ 고동포(古董餔) : 古時金石書畵之肆
◎ 고로(孤露) : 외로운 형상.
◎ 고로쇠오(孤露衰杇) : 외롭고 늙은 것.
◎ 고막(痼瘼) : 깊은 병.
◎ 고망(孤望) : 홀노바라는 것.
◎ 고맹(瞽盲) : 장님.
◎ 고모(姑母) : 父之姊妹.
◎ 고목(膏沐) : 단비.
◎ 고문(叩門) : 문 두다리는 뜻.
◎ 고문(高門) : 남의 집 존층.
◎ 고범(故犯) : 일부러 범하단 말.
◎ 고보(姑保) : 아즉 무고한 뜻.
◎ 고부(皐復) : 皐呼也니禮에以死者之로乘屋上揮之하야呼其死者之名而使復其魂靈하야覆諸屍體耋耄오九十曰耄
◎ 고부(孤負) : 저바리난 뜻.
◎ 고분(叩盆) : 상셔.
◎ 고부선(姑不宣) : 이만 줄입니다
◎ 고사(姑舍) : 구만두는 것.
◎ 고산(故山) : 선산.
◎ 고산처사(孤山處士) : 林逋妻梅.
◎ 고성(呱聲) : 우는소래우름소래.
◎ 고성인고선인(古聖人古仙人) : 聖人은箕子오仙人은東明王이니麟馬朝天.
◎ 고수(瞽手) : 하는 뜻.
◎ 고숙(姑叔) : 고모부.
◎ 고심(叩心) : 가삼을 두다리단 말.
◎ 고어읍(皐魚泣) : 皐魚는戰國時孝子니其母之沒에無疾而神愴.
◎ 고운(孤雲) : 최치원씨 별호.
◎ 고응통곡(叩膺慟哭) : 가슴을 두달기고 우는 것이라.
◎ 고자(糕字) : 九日詩韻字.
◎ 고자시(糕子詩) : 九日韻子.
◎ 고준(告竣) : 역사 마친 뜻.
◎ 吿준(吿竣) : 역사마친뜻.
◎ 고차불선(姑此不宣) : 나머지는 이만 줄입니다
◎ 고초(苦楚) : 고생하난 것.
◎ 고추(叩椎) : 끝는단 말.
◎ 고취(鼓吹) : 울리내난 뜻.
◎ 고탄(顧憚) : 기탄.
◎ 고포(菰蒲) : 미약한풀.
◎ 고풍(高風) : 놉흔 풍치.
◎ 고향(膏薌) : 좋은육찬.
◎ 고헌(高軒) : 남의 집 존층.
◎ 고희(古稀) : 人間七十古來稀의 뜻.
◎ 곡(鵠) : 곤이 곡.
◎ 곡돌徏신(曲突徏薪) : 남의환난을미리가라처주는 것.
◎ 곡진(曲盡) : 극진.
◎ 곡풍(谷風) : 동풍.
◎ 곡후(鵠候) : 서서 기다리는 말.
◎ 곤(悃) : 정성 곤.
◎ 곤계(昆季) : 兄弟.
◎ 곤소(悃愫) : 정성.
◎ 골(汨) : 골몰할 골.
◎ 공(孔) : 甚也 심할 공.
◎ 공(倥) : 밧불 공.
◎ 공(笻) : 집행이 공.
◎ 공과(工課) : 공부.
◎ 공극(空隙) : 결을.
◎ 공근순료(公瑾醇醪) : 周瑜ㅣ愛人下土하니如飮醇醪하야令人心醉.
◎ 공동(空洞) : 통 비인 것.
◎ 공려(貢慮) : 렴려.
◎ 공무(公務) : 官廳의일.
◎ 공속(公餗) : 공사.
◎ 공안(供眼) : 구경.
◎ 공야장(公冶長) : 사람이름이니 공부 자제자라.
◎ 공연(攻研) : 공부하는 뜻.
◎ 공음(跫音) : 신소래.
◎ 공총(倥偬) : 바쁜뜻.
◎ 공황(龔黃) : 龔遂黃覇는皆東漢循吏.
◎ 공회(孔懷) : 심히생각하는 뜻.
◎ 관(串) : 꼬챙이 꼬이 꾀미 천.
◎ 과(瓜) : 외 과.
◎ 과도(過度) : 너모하는 뜻.
◎ 과두(科頭) : 以布裏頭.
◎ 과세(跨歲) : 해를 지나.
◎ 과예(過譽) : 과한포장.
◎ 과의(瓜誼) : 친사간의 정의.
◎ 과일(課日) : 날마다.
◎ 과장(誇張) : 대단자랑하난 것.
◎ 곽(藿) : 아욱 곽.
◎ 관(慣) : 익힐 관.
◎ 관(貫) : 꾀일 관.
◎ 관(盥) : 세구할 관.
◎ 관(鑵) : 차관 관.
◎ 관곡(欵曲) : 정답고 곡진한 것.
◎ 관단(款段) : 疲劣馬.
◎ 관려(關棙) : 門扃之機牡.
◎ 관리(管理) : 총찰해 보는 것.
◎ 관북(關北) : 함경도.
◎ 관생(冠省) : 편지(便紙) : 나 소개장(紹介狀) : 등(等) : 의 첫머리에 쓰는 말로, 일기와 문안을 생략한다는 뜻. 사연 줄임.
◎ 관서(關西) : 평안도.
◎ 관석(關石) : 변치안한다는 뜻
◎ 관성(管城) : 붓만든사람작봉한땅이름.
◎ 관수(盥手) : 손 씻단 말.
◎ 관심(關心) : 렴려의뜻.
◎ 관억(寬抑) : 비통한 마음을 억제함이라.
◎ 관영(貫盈) : 한울에다은 뜻.
◎ 관즐(盥櫛) : 소셰.
◎ 관지(慣知) : 익히 아단 말.
◎ 관포(管鮑) : 관즁 포슉 두 사람.
◎ 관회물려(寬懷勿慮) : 마암놋코 렴녀 말는 말.
◎ 괄(刮) : 글글 괄.
◎ 괄(括) : 글글 괄.
◎ 괄구마광(刮垢磨光) : 때를갈고빗을내이.
◎ 괄목(刮目) : 공부가 성공되야 눈 씻고 본단 말.
◎ 광(曠) : 뷜 광.
◎ 광(筐) : 광주리 광.
◎ 광격(曠隔) : 오래막힌것.
◎ 광릉(廣陵) : 지명이니 상에 광장이 노든 곳이라.
◎ 광리(廣履) : 杜詩에安得廣厦千萬間
◎ 광음(光陰) : 歲月.
◎ 광제(光霽) : 저 사람의 모양.
◎ 광한전(廣漢殿) : 月宮.
◎ 괘려(掛慮) : 걱정.
◎ 괘벽(掛壁) : 벽에거다는 말.
◎ 괴걸(魁傑) : 영걸한 뜻.
◎ 괴의(怪宜) : 꽃치 못한 모양.
◎ 괴좌(塊坐) : 홀로 안즌 모양.
◎ 괴훈(槐薰) : 괴화나무에 더운 바람.
◎ 굉개(宏開) : 크게연뜻.
◎ 굉주(宏籌) : 큰도량.
◎ 교(嬌) : 아리땅울 교.
◎ 교객(嬌客) : 저 사람의 사위.
◎ 교구(矯捄) : 바라한다는 뜻.
◎ 교량(較量) : 비교하한다는 뜻.
◎ 교수(翹首) : 머리를 돌려.
◎ 교애(嬌愛) : 딸.
◎ 교인(校人) : 子產이使校人으로畜魚하니校人이烹之.
◎ 교주고금(膠柱敲琴) : 변통없는 것.
◎ 교집(交集) : 석긴것.
◎ 교착(交錯) : 석기여얽힌뜻.
◎ 교칙(校則) : 학교 규측.
◎ 교침(喬沈) : 殷洪喬가還豫章時에知舊ㅣ付書한대殷曰我不作致書郵라하고幷投書於水曰沈者沈하고浮者는浮하라○殷洪喬名은羨之.
◎ 교풍구속(矯風捄俗) : 풍속니로한다는 뜻.
◎ 구(咎) : 허물 구.
◎ 구(懼) : 愼의 略字.
◎ 구(究) : 궁구할 구.
◎ 구(舅) : 시부 구.
◎ 구(購) : 살 구.
◎ 구(劬) : 수고로울 구.
◎ 구(裘) : 갓옷 구.
◎ 구갈(裘葛) : 夏葛而冬裘.
◎ 구강무협(九江巫峽) : 단풍좋은곳.
◎ 구결(口訣) : 口授妙訣 執贄士는執雉.
◎ 구고(舅姑) : 시아부지 시어머니.
◎ 구곡(九曲) : 창자.
◎ 구공(鳩筇) : 집행이일흠.
◎ 구교(榘敎) : 嚴正한敎誨 鈞範은陶具니||는猶言典型.
◎ 구구(區區) : 적은 뜻.
◎ 구구앙위(區區仰慰) : 매우 위로가 됩니다
◎ 구궐(久闕) : 오래폐한것.
◎ 구覉(久覉) : 오래 작별하는 말.
◎ 구(懼) : 愼의略字.
◎ 구달(口達) : 입으로 아뢴다는 뜻.
◎ 구란(勾欄) : 妓樓之欄干.
◎ 구람(購覽) : 사보난 것.
◎ 구련(龜蓮) : 千歲壽.
◎ 구무(搆蕪) : 글짓한다는 뜻.
◎ 구문(歐文) : 右行書也.
◎ 구미분곡(俱未奔哭) : 초상 때에도 못가고 장사 때에도 못감을 말함이라.
◎ 구복(口腹) : 생계.
◎ 구산지죄(丘山之罪) : 죄가 크다는 뜻.
◎ 구생(苟生) : 구차이사한다는 뜻.
◎ 구수(邱嫂) : 과부형수.
◎ 구여(九如) : 아홉가지 츅하하는 뜻이라.
◎ 구엽(溝葉) : 중매.
◎ 구옥(搆屋) : 집 짓는단 말.
◎ 구우(舊雨) : 舊友也니雨與友로通.
◎ 구원(九原) : 황청언덕.
◎ 구점(鳩占) : 詩維鵲維巢어ᄂᆞᆯ維鳩居之.
◎ 구존(苟存) : 구차이사한다는 뜻.
◎ 구차(苟且) :
◎ 구축(龜縮) : 쟈라 목같이 웅그리단 말.
◎ 구취(鳩聚) : 모드는 뜻.
◎ 구토(嘔吐) : 구엘질.
◎ 구현장가(扣舷長歌) : 배전을치며노래하는 것.
◎ 구주(邭廚) : 韋邭公陟之廚에治膳이爲當時第一.
◎ 국견(局見) : 좁은소견.
◎ 국령(菊令) : 九月.
◎ 국문(國文) : 언문.
◎ 군(裙) : 치마 군.
◎ 군자(君子) : 남편.
◎ 군촉(皸瘃) : 터진뜻.
◎ 굴(掘) : 팔 굴.
◎ 굴가(屈駕) : 청하한다는 뜻.
◎ 굴자(屈子) : 屈原.
◎ 굴지(屈指) : 손 꼽는단 말.
◎ 굴지이대(屈指以待) : 손꼽고기다리는 뜻.
◎ 굴지충(屈之忠) : 굴원이 충성.
◎ 궁려(穹廬) : 적은 집.
◎ 궁보(窮菩) : 가난한 집.
◎ 궁부(窮蔀) : 가난한집.
◎ 궁양(穹壤) : 한울땅.
◎ 궁진(躬晉) : 몸소 가단 말.
◎ 궁진(躬晋) : 몸소가다는 말.
◎ 궁진면오(躬進面唔) : 몸소 나아가 낫으로 이약이 하단 말.
◎ 궁천극지(窮天極地) : 한울땅이다하는 뜻.
◎ 궁추(窮秋) : 九月.
◎ 궁한(窮寒) : 十二月.
◎ 권(勸) : 勸同.
◎ 권(眷) : 권속 권.
◎ 권(惓) : 정성 권.
◎ 권변(權變) : 권도와변동.
◎ 권솔(眷率) : 왼집안.
◎ 권조(權厝) : 完窆之前曰||.
◎ 궐석(闕席) : 아니 가는 뜻.
◎ 궐연(蹶然) : 놀는단 말.
◎ 궤(饋) : 먹일 궤.
◎ 궤(簣) : 퉁구미 궤.
◎ 궤견(饋遣) : 먹으라고 주는 것.
◎ 궤렬(憒劣) : 변변치 못함이라.
◎ 귀개(貴价) : 그집사람.
◎ 귀관기물(鬼關棄物) : 옥중에 있서 죽은 사람과 갓다는 뜻.
◎ 귀근(歸覲) : 도라가 본단 말.
◎ 귀녕(歸寧) : 부모게가서뵈옵는 것.
◎ 귀도(歸棹) : 집에오한다는 뜻
◎ 귀루(宄累) : 집안루.
◎ 귀서(歸栖) : 집에도라오다는 말.
◎ 귀안(歸鴈) : 답장.
◎ 귀정(歸庭) : 부모집에 도라옴.
◎ 규(揆) : 헤아릴 규.
◎ 규(窺) : 엿볼 규.
◎ 규(暌) : 猶違也.
◎ 규문(閨門) : 안방문.
◎ 규보(跬步) : 반거름.
◎ 규보지로(跬步之勞) : 반거름의 수고.
◎ 규양(閨養) : 처자.
◎ 규전(奎躔) : 이월별.
◎ 균(匀) : 均
◎ 균범(鈞範) : 陶具니||난猶言典型.
◎ 균의(均依) : 고루편한 뜻.
◎ 극(亟) : 빠를 극.
◎ 극(屐) : 신 극.
◎ 극감(郄鑑) : 羲之人名.
◎ 극구(隙駒) : 古說에人生湏臾가如白駒過隙.
◎ 극사(隙駟) : 이즈러진 틈 지나는 말이니 빠르다는 뜻.
◎ 극장(亟丈) : 선생임<두주
◎ 근(僅) : 겨우 근.
◎ 근(筋) : 힘줄 근.
◎ 근(覲) : 뵈일 근.
◎ 卺(卺) : 초레 근 합환주잔 근.
◎ 근(靳) : 액길 근.
◎ 근간(勤懇) : 부지런하고경성한 뜻.
◎ 근간(近間) : 요사이.
◎ 근기(近畿) : 京畿.
◎ 근도(勤導) : 잘 권고함이라.
◎ 卺례(卺禮) : 초례.
◎ 근배(謹拜) : 삼가 절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끝의 이름 아래 쓰는 말.
◎ 근배문(謹拜問) : 삼가 안부 묻습니다
◎ 근봉(謹封) : ①봉치 싼 보자기에 끼우는 근봉이라는 두 글자를 쓴 종이 ②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나 소포(小包) : 의 겉을 봉한 자리에 쓰는 말.
◎ 근사장(謹謝狀) : 삼가 답장 올립니다
◎ 근수(斤數) : 바로 가라치는 뜻.
◎ 근언(謹言) : 삼가 말씀을 드림이란 뜻으로, 편지(便紙) : 끝의 자기(自己) : 이름 아래에 쓰는 말.
◎ 卺연(卺筵) : 婚禮席也.
◎ 근원(根源) : 근본.
◎ 卺의(卺儀) : 초례.
◎ 근장(謹將) : 삼가밧드한다는 뜻.
◎ 근절(近節) : 근래안신.
◎ 근정(僅呈) : 겨우드림이라.
◎ 근정(斤正) : 글고치한다는 뜻.
◎ 근천(根天) : 천성.
◎ 근친(覲親) : 친정 가지는 것.
◎ 근함(謹緘) : '삼가 글월을 올립니다'의 뜻으로, 편지(便紙) : 겉봉의 뒤쪽 봉한 자리에 흔히 쓰는 말.
◎ 금(襟) : 옷깃 금.
◎ 금(錦) : 비단 금.
◎ 김강(金剛) : 산 이름.
◎ 김강선(金剛線) : 금강산 가난 철도.
◎ 금고(琴高) : 古仙人名이니乘鯉故로鯉得其名○古詩에遺我雙鯉魚雙鯉即書札.
◎ 금당(錦堂) : 韓魏公琦ㅣ居第를名以晝錦堂.
◎ 금붕(錦棚) : 비단비계.
◎ 금세(錦帨) : 女子初生設帨於門右.
◎ 금슬종고(琴瑟鍾鼓) : 내외간좋은의.
◎ 금연절(禁烟節) : 冬至後百五이爲寒食節이라晉文公의臣介子推|焚死於綿山故로後人이哀之而禁烟
◎ 김옥(金玉) : 그 사람 편지.
◎ 금의공자(錦衣公子) : 꾀꼬리.
◎ 김준미미(金樽美味) : 좋은 술.
◎ 금체(錦軆) : 귀체와 같은 말.
◎ 금호(錦護) : 곱게호위하는 뜻.
◎ 금환(錦還) : 저 사람이오는데通用也.
◎ 금회(衿懷) : 회포.
◎ 금회(襟懷) : 회포
◎ 급(笈) : 상자 급.
◎ 급계(及笄) : 시집갈때.
◎ 긍(肯) : 질길 긍.
◎ 기(冀) : 바랄 기.
◎ 기(己) : 몸 기.
◎ 기(朞) : 돌 기.
◎ 기(祺) : 상서 기.
◎ 기(羈) : 나그네 기.
◎ 기(驥) : 천리마 기.
◎ 覉(覉) : 나그내 기.
◎ 기각(綺閣) : 볏난집.
◎ 기거(起居) : 안부.
◎ 기고(忌故) : 제사남.
◎ 기과함(杞瓜含) : ▣포재한 뜻.
◎ 기국면(其局面) : 그 자격이란 뜻.
◎ 기군(驥羣) : 준마무리.
◎ 기내용(其內容) : 그속.
◎ 기대(期待) : 바라난 것.
◎ 기도(期圖) : 기필하는 뜻.
◎ 기두(起頭) : 펀지 첫머리.
◎ 기락점철(起落點綴) : 붓대고떼난법.
◎ 기란(己爛) : 임의느진것.
◎ 기리(綺里) : 仙人居之里.
◎ 기말(記末) : 신분이나 벼슬이 다른 경우 자신을 낮추어 부르는 말
◎ 기망(企望) : 바라는 뜻.
◎ 기망(旣望) : 칠월 십육일.
◎ 기문첩경(奇門捷徑) : 기특한문과빠른길.
◎ 기복(朞服) : 一年 입는 服.
◎ 기복인(朞服人) : 기년복(1년상) : 을 입은 사람
◎ 기세(棄世) : 별세.
◎ 기소(其蘇) : 다시사라한다는 뜻.
◎ 기소(起蘇) : 다시사한다는 뜻.
◎ 기신(羈身) : 억매인 뜻.
◎ 기실(記室) : 수령에 대한 경칭
◎ 기악(妓樂) : 기생과 음악.
◎ 기연(綺筵) : 빗난자리.
◎ 기예(技藝) : 재죠.
◎ 기억(岐嶷) : 아히가 순수한 모양.
◎ 기익(其翌) : 그있튼날.
◎ 기잠(己箴) : 몸에경계.
◎ 기장지무(旣張之舞) : 이미 시작한 일.
◎ 기재(杞梓) : 죠흔재목.
◎ 기적(寄跡) : 붓처 있은 뜻.
◎ 기적(汽笛) : 기차 고동.
◎ 기죽(騎竹) : 騎竹馬也.
◎ 기증손아(寄贈孫兒) : 손자에게 주엇단 말.
◎ 기포(幾包) : 멋.
◎ 기하(記下) : 기억할 만한 사람, 서로 얼굴을 아는 정도에서 자신을 낮추는 말
◎ 기하(芰荷) : 연.
◎ 기호(畿湖) : 京畿 忠淸道.
◎ 기호성병(幾乎成病) : 거의 병이 된단 말.
◎ 기화(奇貨) : 呂不韋ㅣ見秦異人이質於趙하고謂其父曰此는奇貨可居.
◎ 기황위(岐黃衛) : 岐伯은黃帝之師니君臣이皆通神於醫理
◎ 기후(氣候) : ①지상(地上) : 과 수륙(水陸) : 의 형세(形勢) : 에 의(依) : 해 생기는 날씨의 현상(現象) : ②이십 사 기(氣) : 와 칠십 이 후(候) : 의 총칭(總稱) : ③기체(氣體) : 와 같은 뜻으로 편지(便紙) : 에 씀.
◎ 기희(奇喜) : 깃득하고깃부단뜻.
◎ 기희(寄喜) : 기특하고 깃부단 말.
◎ 기반(覊絆) : 얼킨것.
◎ 기신(覊身) : 억매인뜻.
◎ 긴(緊) : 긴할 긴.
◎ 길례(吉禮) : 혼인례식.
◎ 길사(吉士) : ▣▣.
◎ 길천(吉阡) : 좋은 산디.
◎ 금낙(金諾) : 귀한허락.
◎ 금루가(金縷歌) : 唐李琦의妾桃枝가作歌曰花開堪折直湏折이니莫待無花空折枝.
◎ 금안(金安) : 金과如히典重하이니頌祝之辭.
◎ 금오(金吾) : 옛때순라군.
◎ 금풍(金風) : 가을바람.
◎ 금화(金花) : 금젼지꽃.
◎ 끽고(喫苦) : 고생하는 뜻.
◎ 끽긴(喫緊) : 독실한 뜻.
◎ 끽빈공고(喫貧攻苦) : 굼고괴로은 뜻.
◎ 나(懦) : 나약할 나.
◎ 나근(那近) : 그 근쳐란 뜻.
◎ 나산위무(懦散爲務) : 게을음으로 일삼는 뜻.
◎ 나이(挪移) : 취대.
◎ 난명(難名) : 말하기 어려온 모양.
◎ 난상(爛商) : 란만히 상량.
◎ 난어(鸞馭) : 하늘로 올라가 섯다난 뜻.
◎ 난의(難醫) : 치료하지 못함이라.
◎ 난진(難振) : 동작어려운 뜻.
◎ 난해(難解) : 알기 어려온 뜻.
◎ 남(娚) : 오래비 남.
◎ 남국(南國) : 鮑照賦에東都妙姬와南國麗人이蕙心蘭質이오玉貌絳唇.
◎ 남극(南極) : 수하난볕.
◎ 남상(南翔) : 남으로날너가는 것.
◎ 남송(南宋) : 畵家에有南宋派하니專主神韻寫意
◎ 남해(南陔) : 잔치풍류.
◎ 납리(納履) : 신 들매하단 말.
◎ 납자(納刺) : 명함 드린단 말.
◎ 납한(臘寒) : 12월
◎ 낭(曩) : 지난번 낭.
◎ 낭유(浪遊) : 어랑이 노는 것.
◎ 낭자(曩者) : 졉대.
◎ 낭패(狼狽) : 일이 아니된 것.
◎ 내(耐) : 견딀 내.
◎ 내고(內顧) : 집안일.
◎ 내구(內舅) : 외삼촌.
◎ 내대(褦襶) : 일 알지 못함이라.
◎ 내상(內相) : 마루라.
◎ 내숙(內叔) : 외삼촌.
◎ 내자(內子) : 자신의 아내나 남의 아내
◎ 내제(內弟) : 처남
◎ 내지(內地) : 内地.
◎ 녀식(女息) : 딸.
◎ 녀아(女阿) : 딸.
◎ 년광(年光) : 셰월.
◎ 년미성립(年未成立) : 장성하지 못함이라.
◎ 념간(念間) : 수무날.
◎ 념시(拈示) : 舉示.
◎ 념제(念際) : 맛참 생각할 때.
◎ 녕(寧) : 얻지 녕.
◎ 녕(寗) : 편안 녕寧 同.
◎ 노(駑) : 노둔할 노.
◎ 노력(努力) : 힘쓰한다는 뜻.
◎ 노사숙유(老師宿儒) : 글 잘하고 점잔은 선배.
◎ 노염(老炎) : 7월
◎ 노위(魯衛) : 형졔.
◎ 노족(駑足) : 둔한말발.
◎ 노졸(老拙) : 노인이 겸사해 자층.
◎ 노태(駑駘) : 둔한말.
◎ 노하(魯下) : 노둔.
◎ 농지천금(濃脂淺錦) : 단풍.
◎ 뇌(惱) : 번민할 뇌.
◎ 뇌(腦) : 뇌두 노.
◎ 뇌막염(腦膜炎) : 병 이름.
◎ 뇌아(腦兒) : 뇌슈.
◎ 누초량방(耨樵兩方) : 김매고 나무하는 두 일.
◎ 눈가(嫩佳) : 고은 뜻.
◎ 뉵(恧) : 북그러울 뉵.
◎ 능언의아(能言의啞) : 말은 하되 벙어린갓단 말.
◎ 니고(泥古) : 老人頑古.
◎ 니수(泥首) : 叩頭於地.
◎ 닉관(搦管) : 붓잡한다는 뜻.
◎ 다반행색(茶飯行色) : 예사란 말.
◎ 다혜(多惠) : 만히 준단 말.
◎ 단(端) : 端同.
◎ 단계연(端溪硯) : 淸國端溪에産硯材하니馬肝色.
◎ 단군(檀君) : 동방 쳣 인군.
◎ 단란(團欒) : 둘너안즌모양.
◎ 단란(團圝) : 모인 모양.
◎ 단목(端木) : 子貢의치부.
◎ 단소(耑召) : 편지로 부르난 것.
◎ 단약(丹藥) : 환약.
◎ 단진간장(斷盡肝腸) : 간과창자끊어다하다는 말.
◎ 단진간장(斷盡肝膓) : 간과 창자 끊어다 하단 말.
◎ 단편(斷編) : 흔책.
◎ 단하(耑賀) : 젼위하난하례.
◎ 단현(斷絃) : 夫婦|誼同琴瑟故妻死曰||
◎ 단회(團會) : 모이난 뜻.
◎ 달(怛) : 슬흘 달.
◎ 달생(達生) : 양의삿같이▣낫한다는 뜻.
◎ 담(啖) : 먹을 담.
◎ 담(淡) : 승거울 담.
◎ 담(覃) : 미칠 담.
◎ 㗖(㗖) : 먹을 담.
◎ 담기(覃祺) : 집안모든사람의기후.
◎ 담도(覃度) : 저 사람의 왼집안.
◎ 담박(淡泊) : 맑은것.
◎ 담부(潭府) : 韓詩에潭潭府中居.
◎ 담비(覃庇) : 왼집안.
◎ 담석(儋石) : 楊雄이家無儋石之儲하나晏如也.
◎ 담악(湛樂) : 편안이 질기는 모양.
◎ 담여(擔舁) : 메난 것.
◎ 담왕(湛旺) : 형제간 편한 것.
◎ 담우(覃訏) : 큰뜻.
◎ 담절(覃節) : 그 사람집안.
◎ 담지(覃祉) : 그 사람집.
◎ 담탕(淡蕩) : 흐늘거리는 뜻.
◎ 담흡(湛翕) : 즐거운 뜻.
◎ 답가(踏歌) : 답교노래.
◎ 답교(踏橋) : 정월보름에 하난 풍속이라.
◎ 답지(遝至) : 이어이르한다는 뜻.
◎ 당(糖) : 사탕 당.
◎ 당(倘) : 만일 당.
◎ 당(儻) : 倘同 만일 당 혹 당.
◎ 당거(唐擧) : 상잘보난사람.
◎ 당거(唐舉) : 상 잘 보는 사람.
◎ 당등본앙수(當謄本仰酬) : 벗겨준단 말.
◎ 당래지직(當來之職) : 당연이 올 벼.
◎ 당상(堂上) : 편지한 사람 아부지.
◎ 당태종(唐太宗) : 당나라인군.
◎ 당후(堂候) : 부모의기후.
◎ 대(坮) : 臺의 略字.
◎ 대(戴) : 일 대.
◎ 대고(大故) : 상사.
◎ 대괴(大魁) : 웃듬.
◎ 대금(代金) : 갑이란 말.
◎ 대닉(大溺) : 큰병이든것.
◎ 대대축축(隊隊逐逐) : 떼를 지은 모양.
◎ 대도(大都) : 대개.
◎ 대동(大同) : 보통 같은 것.
◎ 대동궁진(帶同躬進) : 같이 간단 말.
◎ 대략(大略) : 대강이란 말.
◎ 대략(大畧) : 대강.
◎ 대례(大禮) : 婚姻.
◎ 대방가(大方家) : ■■ 만흔 집.
◎ 대백(大白) : 술이라.
◎ 대붕(大鵬) : 바다옴기난새.
◎ 대안(大安) : 제반(諸般) : 이 평안(平安) : 하다는 뜻으로, 평교간(平交間) : 의 편지(便紙) : 에서 상대방(相對方) : 의 안부(安否) : 를 물을 때에 쓰는 말.
◎ 대유대등(大有大登) : 큰풍년.
◎ 대작(帶昨) : 어제와 한 모양이란 말.
◎ 대재(大齋) : 절에 재 지내난 것.
◎ 대耊(大耊) : 권수.
◎ 대䇿(對䇿) : 應試.
◎ 대첨(大添) : 큰 병환.
◎ 대하(大何) : 큰짐.
◎ 대하(大河) : 큰 집.
◎ 덕문(德門) : 적덕한문호.
◎ 덕문여음(德門餘蔭) : 그 사림의 선세음덕.
◎ 도(圖) : 꾀할 도.
◎ 도(導) : 인도할 도.
◎ 도(徒) : 한갓 도.
◎ 도(悼) : 슬풀 도.
◎ 도(禱) : 빌 도.
◎ 도(覩) : 볼 도.
◎ 도(叨) : 탐할 도.
◎ 도각략초(都閣略草) : 다 그만두고 대강말함이라.
◎ 도규(刀圭) : 金丹藥名芻蕘賤卑者之言詩云先民有言하니詢于芻蕘.
◎ 도도(陶陶) : 화락한 모양.
◎ 도략(韜略) : 슬기꾀.
◎ 도말(圖末) : 꽃내는 것.
◎ 도말(塗抹) : 그리고쓰한다는 뜻.
◎ 도무(道務) : 도청 사무.
◎ 도박(到泊) : 가서대인것.
◎ 도부(桃符) : 복새낭구에 부적 씬 것이니 벽사하난 것이라.
◎ 도사(倒屣) : 王粲이造謁蔡邕하니邕이倒屣而迎.
◎ 도소(屠蘇) : 술 이름이니 소엽잘나 제조한 술.
◎ 도소주(屠蘇酒) : 新正之酒名니少者先飮.
◎ 도식(徒食) : 먹기만 하는 뜻.
◎ 도야(陶冶) : 질그릇과풀무.
◎ 도야구겸(陶冶俱兼) : 여러 가지를 겸한 뜻.
◎ 도연명(陶淵明) : 晋人.
◎ 도요(桃夭) : 詩云桃之夭夭여其葉蓁蓁.
◎ 도요가절(桃夭佳節) : 상봉아꽃필때.
◎ 도장(導杖) : 집행이.
◎ 도재(道哉) : 이른한다는 뜻.
◎ 도주(陶朱) : 치부한사람.
◎ 도주단목(陶朱端木) : 치부한사람.
◎ 도한(盜漢) : 도적놈.
◎ 도회(都灰) : 재같이시라사는 뜻.
◎ 독(牘) : 편지 독.
◎ 독(督) : 독촉할 촉.
◎ 독과(篤課) : 공부를 독실.
◎ 독리(讀履) : 글 익는 몸.
◎ 독보(獨步) : 쳣째란 말.
◎ 독현(獨賢) : 혼자어진뜻.
◎ 돈(頓) : 문득 돈.
◎ 돈소(頓蘇) : 완전이 소성된 것이라.
◎ 돈수(頓首) : 머리를좃는 것.
◎ 돈실음용(頓失音容) : 소리도 듣지 못하고 얼굴도 보지 못함이라.
◎ 돈아(豚兒) : 내아달.
◎ 돌(堗) : 굴둑 돌.
◎ 동(凍) : 얼 동.
◎ 동(董) : 동독할 동.
◎ 동견(同見) : 적은소견
◎ 동고(同苦) : 같이공부한것.
◎ 동관고공기(冬官考工記) : 책 이름.
◎ 동근동지(同根同枝) : 일가
◎ 동동(憧憧) : 생각하한다는 뜻.
◎ 동문췌객(同門贅客) : 한집 사위.
◎ 동상(東床) : 사위.
◎ 동상탄복일(東床坦腹日) : 사외 선볼 때.
◎ 동서의약(東西醫藥) : 東洋西洋의원과약.
◎ 동심(同心) : 斷金하는의.
◎ 동의보감(東醫寶鑑) : 의서책.
◎ 동주(銅柱) : 구리 기둥.
◎ 동준서승(東準西繩) : 東洋式과西洋式.
◎ 동창(同窓) : 동졉.
◎ 동창(同牕) : 같이공부하는 것.
◎ 동창생(同窓生) : 한 학교에서 공부한 친구.
◎ 동파(東坡) : 소동파니 문장이라.
◎ 동포(同胞) : 같은 사람.
◎ 두(逗) : 머물 두.
◎ 두(斁) : 실을 역.
◎ 두고(頭尻) : 首尾.
◎ 두단(斗胆) : 大胆.
◎ 두대(頭戴) : 머리에이다는 말.
◎ 두류(逗遛) : 유련하는 모양.
◎ 두문칩복(杜門蟄伏) : 문닷고업드림이라.
◎ 두미전약(豆糜煎藥) : 팟죽.
◎ 두소(杜召) : 杜詩召信臣良吏.
◎ 두시(杜詩) : 杜子美詩.
◎ 두축(斗祝) : 심하비는 뜻.
◎ 둔(鈍) : 둔할 둔.
◎ 득봉(得鳳) : 봉같은아내.
◎ 등대(等待) : 기다리는 뜻.
◎ 등백(鄧伯) : 무자한사람.
◎ 등백도(鄧伯道) : 무자한 사람.
◎ 등본(謄本) : 볏긴다는 말.
◎ 등선(登仙) : 신선이 되어 올나가는 것.
◎ 라(懶) : 계른뜻.
◎ 覼(覼) : 곡진할 리.
◎ 覼루(覼縷) : 委曲한 뜻.
◎ 라립(裸立) : 벌거버신뜻
◎ 라산(懶散) : 게으른뜻.
◎ 라체(裸軆) : 옷 버슨 몸.
◎ 라치(羅致) : 韓文에大夫烏公이鎭河陽할새以石生爲才하야羅以致之.
◎ 락락(落落) : 서로떨어저있은 것.
◎ 락막(落莫) : 떨어진 모양.
◎ 락모(落帽) : 취한모양.
◎ 락사(洛社) : 洛陽人之結社.
◎ 락송(雒誦) : 朗讀.
◎ 락양(洛陽) : 셔울.
◎ 락역(絡繹) : 연속한 모양.
◎ 락영(落英) : 떨어진꽃.
◎ 락후(落後) : 락제.
◎ 란(爛) : 무르녹을 란.
◎ 란단(圝團) : 모인모양.
◎ 란릉울금(蘭陵鬱金) : 좋은술.
◎ 䦨산(䦨珊) : 꽃이 거짓 떨어진 모양.
◎ 란언(蘭言) : 易云同心之言은其臭如蘭.
◎ 란의(爛議) : 잘 의론.
◎ 람(濫) : 넘칠 람.
◎ 람간(濫竿) : 학식 없이벼살한 뜻.
◎ 람전(藍田) : 여씨가 난 동명.
◎ 람중출청(藍中出靑) : 苟子曰靑出於藍而靑於藍言其弟子賢於師也
◎ 람포(藍浦) : 地名也.
◎ 랍미(臘尾) : 섯달그음꺼.
◎ 랍월(臘月) : 十二月.
◎ 랑남(郞娚) : 매부와 처남.
◎ 랑독(朗讀) : 낭낭히 읽는 뜻.
◎ 랑랑(啷啷) : 직직.
◎ 랑서(郞暑) : 랑관마을.
◎ 랑유(浪遊) : 놀기만 하난 것.
◎ 랑전(浪傳) : 헛발로 전함이라.
◎ 랑패(狼狽) : 일틀닌뜻
◎ 랑함(琅凾) : 남의편지.
◎ 랑함봉전(琅函奉展) : 저 사함의 편지를 밧드러 보단 뜻.
◎ 래의(萊衣) : 쵀색옷.
◎ 래채(萊彩) : 老萊子衣彩服而悅親.
◎ 래초(來初) : 來月初生.
◎ 랭각(冷却) : 괄시함이라.
◎ 랭절(冷節) : 寒食日也.
◎ 략비(畧備) : 대강가초한다는 뜻.
◎ 략사(略謝) : 대강사례한다는 말.
◎ 략천부선(略倩不宣) : 대략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倩은 사람에게 시켜서 편지를 쓸 때 사용
◎ 략초(略草) : 대강 쓰는 뜻.
◎ 략포(略布) : 대강 하단 말.
◎ 량고(良苦) : 썩괴로은것.
◎ 량기(兩岐) : 한가지에두이삭.
◎ 량당(兩堂) : 부모.
◎ 량상(良相) : 어진정승.
◎ 량제(良劑) : 좋은약.
◎ 량친(兩親) : 부모.
◎ 량필(良弼) : 어진신하.
◎ 량학(凉學) : 변변치못한자격이라.
◎ 려(儷) : 짝 려.
◎ 려(勵) : 힘쓸 려.
◎ 려(藜) : 장 려.
◎ 려명(麗明) : 곱고 밝단 말.
◎ 려속(麗俗) : 高麗時에國俗이尙佛敎
◎ 려우(旅寓) : 손노릇하는 것.
◎ 려정(旅程) : 지란 뜻.
◎ 려창(旅窓) : 客地.
◎ 려천(戾天) : 하늘에 닷난 것.
◎ 려형(呂刑) : 형법책
◎ 력방(歷訪) : 지나는 길에 찻는단 말.
◎ 력선(力旋) : 힘쎠주선
◎ 련(聯) : 련할 련.
◎ 련(鍊) : 단련할 련.
◎ 련몌(聯袂) : 같이오라는 뜻.
◎ 련상(戀想) : 생각하는 뜻.
◎ 련소(連燒) : 이웃집 불이 와셔 탄 것.
◎ 련승(連勝) : 연하야 편한 뜻.
◎ 련지(連枝) : 兄弟.
◎ 련표(聯鑣) : 竝轡也니鑣는馬銜之外銕
◎ 렬(劣) : 나즐 렬.
◎ 렬(裂) : 찌즐 열.
◎ 렬록(劣碌) : 용렬록록한 뜻
◎ 렬상(劣狀) : 변변치 못한 얼굴.
◎ 렬숙삼원(列宿三垣) : 天文에有太微、紫微、天市、三坦.
◎ 렬토(裂土) : 땅을난우는 것.
◎ 렴(奩) : 경대 염.
◎ 렴롱(簾櫳) : 탄간발
◎ 렴천(廉泉) : 水有||貪泉라가見范睢曰一寒이如此哉아賜范以一綈袍
◎ 렵호(獵戶) : 산영군의집.
◎ 령(令) : 나무 손자.
◎ 령(怜) : 령리할 령.
◎ 령(聆) : 드릴 령.
◎ 령(齡) : 해 령.
◎ 령(另) : 별다를 령.
◎ 령계(令季) : 나무 동생.
◎ 령납(領納) : 밧어드리는 것.
◎ 령념(另念) : 별달니 생각하는 뜻.
◎ 령단(靈丹) : 신효한약.
◎ 령력(另力) : 힘쓰말.
◎ 령리(怜悧) : 영민한 뜻.
◎ 령명(令名) : 좋은 일흠.
◎ 령서(令婿) : 남의 사위.
◎ 령성(零星) : 듬은것.
◎ 령손(令孫) : 저 사람의 손자이니 존칭하는 말.
◎ 령애(令愛) : 남의 딸.
◎ 령양(令孃) : 남의 딸.
◎ 령원(鴒原) : 형제안는곳.
◎ 령위(靈幃) : 고연.
◎ 령윤(令允) : 남의 아달.
◎ 령윤(令胤) : 그 사람아들.
◎ 령이(另異) : 별다른뜻.
◎ 령자(令姊) : 저 사람의 맛누이.
◎ 령정(零丁) : 고독함이라.
◎ 령체(零替) : 못된것.
◎ 령포(令抱) : 남의 손자.
◎ 령헌(鈴軒) : 동헌마루.
◎ 례투(例套) : 예사란일.
◎ 로(蘆) : 갈 로.
◎ 로공지균(魯公指囷) : 魯肅이有二囷米하야指一囷贈周瑜.
◎ 로련(老鍊) : 한슉한 뜻.
◎ 로렬(魯劣) : 논둔하고용열한 뜻.
◎ 로숙(露宿) : 길에서 자난 것.
◎ 로양(勞攘) : 행역.
◎ 로염(老炎) : 七月時.
◎ 로위(魯衛) : 형제.
◎ 로정(露頂) : 이마드러내한다는 뜻.
◎ 로좌(路左) : 길이이지단.
◎ 로초선연(露草鮮姸) : 물에 이슬이 달빗에 곱단 말.
◎ 로출(露出) : 드러내는 뜻.
◎ 로파(老婆) : 할미.
◎ 로형(老兄) : 年長이十年以上의者.
◎ 로호(露呼) : 드러내부르는 뜻.
◎ 록(碌) : 록록할 록.
◎ 록(漉) : 거를 록 古人詩에 葛하되 漉酒用葛巾이라 하니라.
◎ 록록(碌碌) : 더러운 모양이라.
◎ 록록(鹿鹿) : 悤悤貌.
◎ 록야(綠野) : 별업이름.
◎ 록야평천(綠野平泉) : 注見上.
◎ 록양(綠楊) : 白居易詩에綠楊分作兩家春.
◎ 롱단(壟斷) : 商品賣買場也.
◎ 롱아(籠鵝) : 王右軍이好鵝러니山陰道士請書黃庭經하야換以白鵝.
◎ 롱장(弄璋) : 아들나은 뜻.
◎ 롱주(弄珠) : 꽃봉오리.
◎ 뢰(罍) : 술준 뢰.
◎ 뢰롱(牢籠) : 통락과같은 뜻.
◎ 䛶사(䛶詞) : 졔문.
◎ 료(聊) : 애오라지 료.
◎ 료(醪) : 탁주 요.
◎ 료박(料襮) : 뜻밧.
◎ 료연(瞭然) : 휜한 것.
◎ 료연(暸然) : 밝은 뜻.
◎ 료염(潦炎) : 장마와더위라.
◎ 료외(料外) : 뜻박기란 말.
◎ 료우(潦雨) : 장마비.
◎ 룡구봉추(龍駒鳳雛) : 남의아들을추는말.
◎ 룡매(龍媒) : 룡숑.
◎ 룡면(龍眠) : 죠흔디.
◎ 룡문(龍門) : 땅이름.
◎ 룡빈(龍賓) : 먹.
◎ 룡산(龍山) : 구일에술먹는곳.
◎ 룡어(龍馭) : 黃帝沒에化龍昇天
◎ 룡종(龍鍾) : 어룩진 모양.
◎ 루(屢) : 여러 루.
◎ 루(累) : 더러울 루.
◎ 루(鏤) : 색일 루.
◎ 루(陋) : 더러울 루.
◎ 루루(縷縷) : 일일히 자세한 뜻.
◎ 루만(漏萬) : 다 빠뜨리고
◎ 루의(累儀) : 덕의 싸은 뜻.
◎ 루의(累義) : 덕의싸은 뜻
◎ 루충(縷衷) : 적은정성.
◎ 루환성상(屢換星霜) : 여러 해 된 뜻.
◎ 류(遛) : 머못거릴 류.
◎ 류랑(劉郞) : 劉夢得.
◎ 류류(纍纍) : 여기죄기 만흔 모양.
◎ 류매(流邁) : 속히 가난 것.
◎ 류매세월(流邁歲月) : 흐르는 셰월.
◎ 류설(縲絏) : 옥에 가치난 것.
◎ 류신(留神) : 마암두한다는 뜻.
◎ 류어(謬語) : 들인말.
◎ 류완(劉阮) : 劉怜阮籍酒客.
◎ 류홍(劉弘) : 人姓名.
◎ 륙예(六藝) : 禮樂射御書數.
◎ 륙족(六足) : 하인과 말이라.
◎ 륙화(六花) : 눈.
◎ 륜의(輪議) : 도리가면 의론.
◎ 륜환(侖奐) : 화려한 뜻.
◎ 률(栗) : 밤 률.
◎ 률륙(栗六) : 奔波貌.
◎ 륭소(隆邵) : 만흔것.
◎ 륵(泐) : 부스러질 륵.
◎ 름연(凜然) : 두려운 뜻.
◎ 릉(凌) : 업신역일 능.
◎ 릉력(凌轢) : 逼迫.
◎ 릉조(菱照) : 菱은菱花鏡
◎ 리(莅) : 림할 리.
◎ 리덕유(李德儒) : 唐丞相.
◎ 리덕유(李德裕) : 唐承相.
◎ 리매망량(魑魅魍魉) : 독갑이 괴신.
◎ 리부(嫠婦) : 과부
◎ 리세(利稅) : 잘가라느뜻.
◎ 리정(離庭) : 집을 떠난 것.
◎ 리측(離側) : 부모 젓해 있이지 못함.
◎ 리한천(離恨天) : 諸天之一.
◎ 리화백(梨花白) : 美酒名.
◎ 리황(履況) : 지내는 형편.
◎ 린(鱗) : 비늘 린.
◎ 린(麟) : 그린 린.
◎ 린각(麟閣) : 공신화상그린집.
◎ 린홍(鱗鴻) : 인편.
◎ 림리(淋漓) : 연속한 뜻.
◎ 림연선어(臨淵羨魚) : 실상 없이 부러하는 뜻.
◎ 림영(臨頴) : 붓잡는 뜻.
◎ 림저(臨楮) : 도의에림한 뜻.
◎ 림지학서(臨池學書) : 晉鐘繇||||에池水盡黑
◎ 립년(立年) : 三十時.
◎ 마(摩) : 만질 마.
◎ 마(魔) : 마귀 마.
◎ 마(麽) : 적을 마.
◎ 마고(麻姑) : 신선할미.
◎ 마난(麻亂) : 수란한 것.
◎ 마제은(馬蹄銀) : 今之元寶니形如馬蹄.
◎ 마중봉(麻中蓬) : 麻中之蓬은不扶而自直.
◎ 마치(馬齒) : 稱自己年齡也.
◎ 마희(魔戯) : 독갑이희롱.
◎ 막수(莫遂) : 이루지못하한다는 뜻.
◎ 막연(漠然) : 소식이 끌너진 것.
◎ 막원(邈遠) : 먼 뜻.
◎ 만(娩) : 해산할 만.
◎ 만(謾) : 게을 만.
◎ 만근(挽近) : 요사이난말.
◎ 만복(晩福) : 老來의 福.
◎ 만일(萬一) : 만분에일분.
◎ 만지장서(滿紙長書) : 사연(辭緣) : 을 많이 적은 편지(便紙) : .
◎ 만창(漫唱) : 부즐 없이 읍조리는 뜻.
◎ 만천(曼倩) : 신선사람.
◎ 만침(晩寢) : 늣도록 자는 뜻.
◎ 만후(娩後) : 산후.
◎ 말(末) : 업슬 말.
◎ 말선(襪線) : 才短之謙辭.
◎ 말유분위(末由奔慰) : 가서 조상하지 못함이라.
◎ 망(妄) : 망녕 망.
◎ 망(惘) : 슬흘 망.
◎ 망극(罔極) : 부모상사.
◎ 망륙지소령(望六之邵齡) : 륙십에 근한 나희란 말.
◎ 망망(茫茫) : 아득한 모양.
◎ 망수피독(忙手披讀) : 언뜻 보단 말.
◎ 망안욕천(望眼欲穿) : 기다려 눈이 뚜러질 지경이란 말.
◎ 망어(妄語) : 망영된말.
◎ 망언다사(妄言多謝) : 편지(便紙) : 따위의 글 끝에 자신(自身) : 의 말을 겸손(謙遜) : 히 낮추는 뜻으로 쓰는 말.
◎ 망운지회(望雲之懷) : 부모 바라는 뜻.
◎ 망일(望日) : 보름날.
◎ 망조(罔措) : 수족놀닐사이없는 뜻.
◎ 망친(忘親) : 부모를 있난다.
◎ 매(埋) : 무들 매.
◎ 매(妹) : 손 아래 누.
◎ 매(昧) : 어둘 매.
◎ 매(邁) : 갈 매.
◎ 凂(凂) : 더러울 매.
◎ 매달(枚達) : 일일 고하는 뜻.
◎ 매서(妹婿) : 매부.
◎ 매형(妹兄) : 매부.
◎ 맥량(麥凉) : 四月時.
◎ 맥맥(脉脉) : 서로보난모양.
◎ 맥천(麥天) : 사월 하늘.
◎ 맥추(麥秋) : 四月
◎ 맥휴점설(麥畦占雪) : 납일 눈이 오면 버리가 풍년되난 법이라.
◎ 맹(盲) : 판수 맹.
◎ 맹춘(孟春) : 정월.
◎ 면(眄) : 도라볼 면.
◎ 면(緬) : 멀 면.
◎ 면달(面達) : 뵙고엿잡한다는 뜻
◎ 면담(面談) : 대해서 말.
◎ 면명(面命) : 보고명하는 뜻.
◎ 면백(面白) : 직접으로 고함이라.
◎ 면식(眠食) : 자고먹는 것.
◎ 면연(緬然) : 뻔뻔한 뜻.
◎ 면오(面晤) : 대해셔 말하난 것.
◎ 면원(綿遠) : 연쇽한 뜻.
◎ 면유(面喩) : 보고이르한다는 뜻.
◎ 면지재(勉之哉) : 권고하는 뜻.
◎ 면터(面攄) : 맛나서 타파.
◎ 멸(蔑) : 어슬 멸.
◎ 멸륜(滅倫) : 륜기 떨어진 것.
◎ 멸성(滅性) : 죽기됨이라.
◎ 멸이가의(滅以可矣) : 이할 슈 업단 말.
◎ 멸이가의(蔑以加矣) : 더할것이업다는 말.
◎ 멸효(蔑効) : 효력이 업다는 뜻.
◎ 명(茗) : 차 명.
◎ 명감(銘感) : 이지못한한다는 뜻.
◎ 명금(鳴琴) : 宓子賤이治單父에彈琴不下堂而單父治.
◎ 명기(銘記) : 銘心의뜻.
◎ 명란(明卵) : 명태알.
◎ 명승구(名勝區) : 이름난땅.
◎ 명주(明珠) : 난조개보배.
◎ 명춘(明春) : 내년봄.
◎ 명폐(銘肺) : 허파에 색인 단마리니 銘心과 같은 말.
◎ 명협(蓂莢) : 帝堯殿庭에瑞草니開落이與曆相符.
◎ 명환(命奐) : 하려한 뜻.
◎ 모(冒) : 무릅쓸 모.
◎ 모(帽) : 모자 모.
◎ 모(矛) : 창 모.
◎ 모(耗) : 쇠할 모.
◎ 모렴(冒廉) : 렴치를무릅쓰다는 말.
◎ 冐렴(冐廉) : 염치 없이.
◎ 모서(母書) : 어머니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의 맨 끝에 쓰는 말.
◎ 모석(某碩) : 아모선배.
◎ 冐송(冐悚) : 황숑함을 무릅쓰단 말.
◎ 모순(矛盾) : 상외되난 것.
◎ 모아(某雅) : 아모선배.
◎ 모영(毛穎) : 붓.
◎ 모영(毛頴) : 붓.
◎ 모의봉격(毛義奉檄) : 漢毛義가以孝廉授官할새爲老母하야奉檄而喜.
◎ 모점(某店) : 아모주막.
◎ 모추(毛錐) : 五代史洪肇曰安朝廷禍亂이直須長鎗大㦸이니若毛錐子는安足用哉.
◎ 모춘(暮春) : 三月.
◎ 모충(謀忠) : 남의 일을 진심으로 꾀함이라.
◎ 모해(模楷) : 模는周公墓木名이오楷는孔子墓木名.
◎ 모호(糢糊) : 분명치 못함이라.
◎ 목(穆) : 화목 목.
◎ 목덕(木德) : 봄절후.
◎ 목무전우(目無全牛) : 莊子에庖丁이解牛에目無全牛.
◎ 목석지완(木石之頑) : 나무와 돌 같이 강하다난 뜻.
◎ 몰(沒) : 업슬 몰.
◎ 몰각(沒覺) : 지각없는 것.
◎ 몰수청완(沒數淸完) : 다갑는다는 말.
◎ 몰운(沒韻) : 운치없는 뜻.
◎ 몰치(沒致) : 無味한 뜻.
◎ 몽(蒙) : 어릴 몽.
◎ 몽매(蒙昧) : 어린 것.
◎ 몽매간(夢寐間) : 꿈꾸는사이.
◎ 몽연(朦然) : 어둔모양.
◎ 몽웅,롱장(夢熊,弄璋) : 稱人生子也.
◎ 몽조(夢兆) : 꿈꾼징조.
◎ 몽허(蒙許) : 허가 맛흔 것.
◎ 묘군(卯君) : 동생.
◎ 묘초(墓草) : 禮記朋友之墓에有宿草而不哭焉○言已久也.
◎ 묘훈(卯醺) : 朝酒之醉.
◎ 무(撫) : 어루만질 무.
◎ 무(毋) : 말 무 母字와 다름.
◎ 무(蕪) : 거칠 무.
◎ 무(貿) : 살 무.
◎ 무감(無憾) : 한없는 뜻.
◎ 무강(無疆) : 한령없는 뜻.
◎ 무경(無警) : 연고업는 뜻.
◎ 무고숭신(巫瞽崇神) : 무당과 판슈 위하난 괴신.
◎ 무납(茂納) : 복만이밧은 뜻.
◎ 무납백복(茂納百福) : 百福을 만히 밧는 뜻.
◎ 무료(無聊) : 無事의뜻.
◎ 무망(无忘) : 우연이든병.
◎ 무망(無望) : 뜻밧.
◎ 무망지숭(无妄之崇) : 뜻 밧 병.
◎ 무방(無妨) : 해롭지아니한.
◎ 무분(無分) : 갓다는 뜻.
◎ 무사(无射) : 실치 아니한 것.
◎ 무사(無似) : 범변치 못함이다.
◎ 무서입침(無序入侵) : 차례 없이 침노하는 뜻.
◎ 무선(無善) : 좋은이없는 뜻.
◎ 무성(婺星) : 조모 직성.
◎ 무송(貿送) : 사보내는 뜻.
◎ 무수척언(無酬隻言) : 혼자말.
◎ 무애(無涯) : 끝이 업단 말.
◎ 무䀋(無䀋) : 齊之强顏女子니至陋麁라宣王이召見拜爲后.
◎ 무요(無擾) : 無事.
◎ 무월(無越) : 지나지 아니하는 뜻.
◎ 무익의비(無益의悲) : 슬피하여야쓸데업는 것.
◎ 무전(拇戰) : 拇는大指也니猜拳之戱.
◎ 무채(舞彩) : 부모깃부게하난옷.
◎ 무하(廡下) : 梁鴻이寄人廡下호대羞因人而熱하야每滅釜火而炊.
◎ 무䘏(撫䘏) : 어루만지난 덕.
◎ 문견(蚊肩) : 모기엇개.
◎ 문년(問年) : 사주 청한 것이라.
◎ 문려고대(門閭高大) : 문호이르키는 뜻.
◎ 문룡(蚊龍) : 도룡룡.
◎ 문무전약(文武煎藥) : 약다리기을 지속을 갓게 하는 모양.
◎ 문생(門生) : 문하생과 같은 말
◎ 문소(文簫) : 人名.
◎ 문소채란(文簫彩鸞) : 人名.
◎ 문쇠조박(門衰祚薄) : 집안 보이 적다는 뜻.
◎ 문신(聞信) : 소식.
◎ 문운부행(門運不幸) : 집안 운수가 불행.
◎ 문유(門楢) : 세찬.
◎ 문재지승(聞齋之僧) : 재를 들은 중이란 말.
◎ 문찰(問札) : 안부를 묻는 서찰
◎ 문하생(門下生) : 선생 젼에 내 몸을 자층하는 뜻.
◎ 문화(文華) : 문체.
◎ 물고(勿孤) : 바라난 마음을 외로외 마라난 뜻.
◎ 물괘타인(勿掛他人) :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말나는 뜻.
◎ 물괴(勿恠) : 고히너기지말는 뜻.
◎ 물근(勿靳) : 근지마한다는 뜻.
◎ 물근일고(勿靳一顧) : 기어히 오기를 청하는 뜻.
◎ 물근혜고(勿靳惠顧) : 오기를 앗기지 마라.
◎ 물약(勿藥) : 병나은 뜻.
◎ 물초(勿誚) : 꾸짓지말미라.
◎ 물휘(勿揮) : 지말나한다는 뜻.
◎ 미(迷) : 아득할 미.
◎ 미(靡) : 업슬 미.
◎ 미(瀰) : 자물 이름.
◎ 미(冞) : 깁흘 미.
◎ 미거(未巨) : 용열한 뜻.
◎ 미거(美擧) : 아람다온 일이란 뜻.
◎ 미구(微軀) : 자기의몸.
◎ 미녕(靡寧) : 편치 못한 것.
◎ 미돈(迷豚) : 내 아들.
◎ 미란(未爛) : 란만치 못함이라.
◎ 미류(彌留) : 깻쳐있은 뜻.
◎ 미린(彌鱗) : 련속한 뜻.
◎ 미미(尾尾) : 칭찬.
◎ 미미(靡靡) : 어즈러운 모양.
◎ 미미(娓娓) : 다정한 뜻.
◎ 미부(美赴) : 도임.
◎ 미부하차(美赴下車) : 도임.
◎ 미사오지(微辭奧旨) : 깊은글뜻
◎ 미성(微誠) : 적은 정성.
◎ 미신(美愼) : 저 사람의병.
◎ 미신(縻身) : 몸에얼키다는 말.
◎ 미아(微疴) : 적은 병.
◎ 미아(迷兒) : 내 아들.
◎ 미양(微恙) : 적은병.
◎ 미오(未晤) : 못만한다는 뜻.
◎ 미월불개(彌月不開) : 여러 달 개이지 아니한 뜻.
◎ 미일불절(靡日不切) : 날마다 간절치 아늠이 업단 말.
◎ 미자(眉字) : 눈섭.
◎ 罙절(罙切) : 더욱 간절.
◎ 미조(美兆) : 아람다온 조즘.
◎ 미축(尾祝) : 끝으로 빈단 말.
◎ 미형(彌衡) : 人姓名.
◎ 민(愍) : 슬흘 민.
◎ 민면(黽勉) : 힘쓰한다는 뜻.
◎ 민연(悶然) : 민망.
◎ 민활(敏活) : 능한 뜻.
◎ 밀(謐) : 편안할 밀.
◎ 밀양(密養) : 唐李密이事祖母至孝하야陳情上表
◎ 박(迫) : 급할 박.
◎ 박기(薄技) : 변변치 못한 재조.
◎ 박두(迫頭) : 갓가온 뜻.
◎ 박리다매(薄利多賣) : 리를 박하게 남기고 만히 판단 말.
◎ 박마(樸馬) : 棘人之馬니卽素馬也.
◎ 박막(薄膜) : 림박하엿다는 말.
◎ 박존비희(薄尊菲希) : 번변치 못한 술과 번변치 못한 안주.
◎ 박탁(剝啄) : 문두다리한다는 뜻.
◎ 박품(薄品) : 박하물품.
◎ 반(攀) : 뷔여잡을 반.
◎ 반(班) : 반렬 반.
◎ 반(絆) : 얼킬 반.
◎ 반기(返期) : 도라올기약.
◎ 반독(伴讀) : 같이익는다는 말.
◎ 반면(反面) : 反必面.
◎ 반면(返面) : 도라와보옵난 것.
◎ 반목(反目) : 눈흘기한다는 뜻.
◎ 반백(半百) : 쉰이란 말.
◎ 반벽(攀擗) : 가삼치며우는 뜻.
◎ 반복(反覆) : 다시보는 뜻.
◎ 반비(飯費) : 밥갑.
◎ 반신(絆身) : 몸이 억맷단 말.
◎ 반이(搬移) : 이사.
◎ 반재(半載) : 半年.
◎ 반진(反唇) : 입수얼빗주기난모양.
◎ 반칩(絆蟄) : 매여있난 것.
◎ 반태(磐泰) : 반석태산.
◎ 반태조안(磐泰措安) : 세상잘다사리는 뜻.
◎ 반학(飯鶴) : 趙抃이赴官에推以一琴一鶴으로自隨.
◎ 반호벽용(攀號擗踴) : 지극히 애통하야 우는 형상.
◎ 발(魃) : 가물귀신 발.
◎ 발묵(潑墨) : 먹찍한다는 뜻.
◎ 발영(發榮) : 커가는 것.
◎ 발졸(拔卒) : 동류에 빼난 뜻.
◎ 발췌(拔萃) : 동류에빼한다는 뜻.
◎ 방돈약등기(放豚若等棄) : 도야지 같이 버려두난 뜻.
◎ 방목(榜目) : 급제한 사람 이름.
◎ 방불(髣髴) : 그럴듯한 것.
◎ 방비(芳菲) : 꽃다운 것.
◎ 방장봉래(方丈蓬萊) : 신선의땅이름.
◎ 방조약등기(放助若等棄) : 도야지 같이 버려두는 뜻.
◎ 방종(放縱) : 방탕한 뜻.
◎ 방착원예(方鑿圓枘) : 方孔圓枘이니謂其不合.
◎ 방창(方漲) : 넘는 뜻.
◎ 방침(方針) : 계책.
◎ 방태(蚌胎) : 구슬낫난조개.
◎ 방황(彷徨) : 배회하는 뜻.
◎ 방휼지세(蚌鷸之勢) : 서로지지아니하랴는 것.
◎ 배(倍) : 갑절 배.
◎ 배(拜) : 절하고 올림
◎ 배(輩) : 무리 배.
◎ 배가(排暇) : 게를을라는 뜻.
◎ 배견(排遣) : 물니쳐보내한다는 뜻.
◎ 배계(拜啓) : '절하고 아뢴다'는 뜻으로, 한문(漢文) : 편지(便紙) : 첫머리에 의례적(儀禮的) : 으로 쓰는 말.
◎ 배구(拜具) : '삼가 글월을 갖춘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의 끝에 써서 받을이에게 경의(敬意) : 를 표(表) : 하는 말.
◎ 배권기구(桮捲器具) : 쓰든그릇.
◎ 배백(拜白) : '엎디어 사뢴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끝의 자기(自己) : 이름 아래에 쓰는 말.
◎ 배부(拜復) : 절하고 회답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 사이에 답장하는 편지(便紙) :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 끝머리의 자기(自己) : 이름 아래에 쓰는 말.
◎ 배상(拜上) : '절하고 올림'의 뜻으로, 편지(便紙) : 끝의 자기(自己) : 이름 밑에 쓰는 말.
◎ 배상장(拜上狀) : 절하고 편지 올립니다
◎ 배수(拜手) : 돈수보다 낮은 절, 머리가 손에 닿음
◎ 배승상(裴丞相) : 裴度.
◎ 배승상(裵丞相) : 裵度.
◎ 배암(背岩) : 비회뒤.
◎ 배행(陪行) : 뫼시고 행하는 모양.
◎ 배헌(拜軒) : 저 사함의 집에 갓단 말.
◎ 백건아(白乾兒) : 酒名이니백일.
◎ 백량(百両) : 시집갈때가지고가는혼구.
◎ 백리(百里) : 고을.
◎ 백모(伯母) : 큰어머니.
◎ 백문(白門) : 西門.
◎ 백미(白眉) : 백씨.
◎ 백반(百般) : 여리 가지.
◎ 백부(伯父) : 큰아바지.
◎ 백설(百舌) : 온갖 새소래.
◎ 백악(伯樂) : 말상보난이.
◎ 백옥루(白玉樓) : 한울.
◎ 백완(伯阮) : 그 사람백부.
◎ 백완부(伯阮府) : 남의 백부.
◎ 백타(白墮) : 濁酒.
◎ 번(番) : 차레 번.
◎ 번구(燔灸) : 지지고굽한다는 뜻.
◎ 번뇌(煩惱) : 번민한 뜻.
◎ 번다(煩多) : 만은 뜻.
◎ 번롱(樊籠) : 樊은籬也猶獸柵이오籠은鳥籠也니言受人羈絆.
◎ 번병(藩屏) : 방어하는 뜻.
◎ 번얼(藩臬) : 今日의監司의稱.
◎ 번요(翻撓) : 흔드는 뜻.
◎ 번울(繁鬱) : 답답한 뜻.
◎ 번임(藩任) : 관찰.
◎ 번자(燔炙) : 지지고 굽난 뜻.
◎ 번풍(番風) : 꽃피는바람.
◎ 범방(犯房) : 남녀 동침.
◎ 범백(凡百) : 여러 가지.
◎ 범한(范韓) : 范仲淹韓琦는宋之賢相.
◎ 법경(法經) : 불경을 가라침이라
◎ 벽(僻) : 치우칠 벽.
◎ 벽(癖) : 성벽 벽.
◎ 벽(擗) : 칠 벽.
◎ 벽(襞) : 주름 벽.
◎ 벽상관전(壁上觀戰) : 項羽가與秦將戰할셔諸候|從壁上而觀戰
◎ 벽오취죽(碧梧翠竹) : 韓文公이見馬少傅暢曰碧梧翠竹鸞停鵠峙라하니言能守其業.
◎ 벽적(襞積) : 여러불 싸인 것.
◎ 변(忭) : 깃불 변.
◎ 변숙(辨菽) : 콩보리모로한다는 뜻.
◎ 별(瞥) : 잠깐 별.
◎ 별무거미지가극(別無居眉之暇隙) : 눈 뜰새가 업다 말.
◎ 별업(別業) : 별당.
◎ 별종신침(別種神針) : 별다른 법.
◎ 병가어소유(病加於小愈) : 병은 조금 나을 적에 더하단 뜻.
◎ 병가어소유(病加於少愈) : 병적이나한셔에먹하다는 말.
◎ 병류(迸流) : 둘녀흐르한다는 뜻.
◎ 병소(病蘇) : 병소복하한다는 뜻.
◎ 병적(屛迹) : 물너가한다는 뜻.
◎ 병초(病草) : 병즁글씨.
◎ 보(普) : 넓을 보.
◎ 보(譜) : 족보 보.
◎ 보경(報瓊) : 詩云投之以木瓜에報之以瓊琚.
◎ 보과(普科) : 여러과정.
◎ 보담(寶覃) : 그 사람집안.
◎ 보담(普覃) : 왼집안.
◎ 보도(普度) : 원집안.
◎ 보리재배(補籬栽培) : 울타리 집고 북도도는 것.
◎ 보배(普拜) : 가서 보는 것.
◎ 보장(保障) : 외방직히한다는 뜻.
◎ 보제(補劑) : 보약.
◎ 복(僕) : 我也 나 복.
◎ 복(匐) : 긜 복.
◎ 복(複) : 거듭 복.
◎ 복(覆) : 覆字의 略.
◎ 복(馥) : 향기 복.
◎ 부계(復啓) : '공경(恭敬) : 하여 답장함'이란 뜻으로, 회답 편지(便紙) : 의 첫머리에 쓰는 말.
◎ 복고(腹藁) : 배ㅅ속글.
◎ 부구(復舊) : 이전을회북하는 것.
◎ 복덕(僕德) : 나의덕.
◎ 복력(伏櫪) : 老驥伏櫪에志在千里.
◎ 복모구구(伏慕區區) : 주로 편지(便紙) : 글에서, '삼가 사모(思慕) : 하는 마음 그지 없습니다'의 뜻으로 쓰는 말.
◎ 복복(僕僕) : 자조 자조.
◎ 복복(馥馥) : 향기.
◎ 복부(覆瓿) : 항아리뎝한다는 뜻.
◎ 복상(卜商) : 人姓名.
◎ 부상(復常) : 명이 평복.
◎ 복성(卜姓) : 첩 어든 것.
◎ 부습(復習) : 다시 연습.
◎ 복승하장(伏承下狀) : 엎드려 내려주신 편지 받았습니다
◎ 복심(伏審) : 편지(便紙) : 글에서, '엎드려 살핀다'는 뜻으로, '삼가 살핌'을 이르는 말.
◎ 복아(腹我) : 나를 먹인단 말.
◎ 복요(福曜) : 福星.
◎ 복원(伏願) : 주로 편지(便紙) : 에서 엎드려 원한다는 뜻으로, 상대방(相對方) : 을 높이어 공손(恭遜) : 히 원(願) : 함을 이르는 말.
◎ 복유(伏惟) : 엎드려 생각하건대
◎ 복유하조(伏惟下照) : 잘 살펴주십시오
◎ 복응(服膺) : 본밧는 것.
◎ 복창(伏悵) : 마음에 섭섭하고 궁금하다는 뜻으로, 웃어른에 대(對) : 하여 한문투(漢文-) : 의 편지(便紙) : 에 쓰는 말.
◎ 복체(服體) : 복입은몸.
◎ 복체(服軆) : 복제 입는 몸.
◎ 본제입납(本第入納) : 자기(自己) : 집에 편지(便紙) : 할 때에 겉봉 표면(表面) : 에 자기(自己) : 이름을 쓰고 그 밑에 쓰는 말.
◎ 봉(俸) : 밧을 .
◎ 봉(棒) : 몽둥이 봉.
◎ 봉래(蓬萊) : 산 이름이니 신선 있는 곳이라.
◎ 봉복(鳳卜) : 혼인상셔.
◎ 봉봉(芃芃) : 성한양.
◎ 봉부(奉副) : 밧드러밧치다는 말.
◎ 봉솔(奉率) : 상봉하솔.
◎ 봉악(奉握) : 서로 면대하난 것.
◎ 봉착(逢着) : 맛나는 뜻.
◎ 봉표(丰標) : 저 사람의 모양.
◎ 봉호(蓬壺) : 신선있난 땅 이름.
◎ 불(不) : 불상이아니역이한다는 뜻.
◎ 부(剖) : 쪼갤 부.
◎ 부(副) : 맛치는 뜻.
◎ 부(符) : 병부 부.
◎ 부(簿) : 문서 부.
◎ 부(訃) : 訃告也.
◎ 부(赴) : 나아갈 부.
◎ 불가량(不可量) : 한량치 못하단 말.
◎ 부결(剖决) : 쳐절하한다는 뜻.
◎ 부교(俯敎) : 저 사람이하는말.
◎ 부급(負笈) : 책낀는 뜻.
◎ 불범(不凡) : 범상치안은 뜻.
◎ 부부하언(夫復何言) : 다른 말은 하지 못함이라.
◎ 부서(父書) : 아버지가 썼다는 뜻으로, 편지(便紙) : 의 맨 끝에 쓰는 말.
◎ 부석(負席) : 누엇단 말.
◎ 불세공(不世功) : 셰상에없는공.
◎ 불세기연(不世奇緣) : 세상에업는인연.
◎ 불세지공(不世之功) : 세상에 없는 공.
◎ 불숙(不淑) : 죽은 뜻.
◎ 부시(賦詩) : 시 짓는단 말.
◎ 부실(副室) : 첩.
◎ 부아(婦阿) : 자부.
◎ 불야(不夜) : 낫같은 뜻.
◎ 부언(浮言) : 말이라.
◎ 부연(裒然) : 뛰여나는 뜻.
◎ 부옹(婦翁) : 장인 자층.
◎ 부운(否運) : 쇠운.
◎ 부음(訃音) : 통부.
◎ 불의지척(不意之慽) : 의외의 참척.
◎ 불일성지(不日成之) : 하로가못하야이루엇다는 말.
◎ 불임경경(不任耿耿) : 깜을 깜을 생각함을 견대지 못하는 뜻.
◎ 부자(夫子) : 공부자.
◎ 부재(付梓) :
◎ 불적(不吊) : 불상히 아니 여기는 뜻.
◎ 불전(不戩) : 不備의뜻.
◎ 부제(婦弟) : 쳐남이 자층.
◎ 부주(父主) : 부주. 한문(漢文) : 투의편지(便紙) : 등(等) : 에서아버님의뜻으로,쓰이는말.
◎ 부지권리(付之卷裏) : 책에 뭇첫단 말.
◎ 부질(婦侄) : 처족하.
◎ 부차(副此) : 맛치는 뜻.
◎ 부촉(俯燭) : 통촉.
◎ 부태박부(否泰剝復) : 쇠하면성하난.
◎ 부패(腐敗) : 썩은 것.
◎ 불하(不瑕) : 엇더치안은 뜻.
◎ 불하(不遐) : 버리지 아니함이라.
◎ 부학지사(赴壑之巳) : 른 모양.
◎ 불환삼공(不換三公) : 三公 벼살로 밧구지 안는 뜻.
◎ 불후어인(不後於人) : 不在人後와 같은 말.
◎ 북두(北斗) : 슈비난술잔.
◎ 북비(北鄙) : 鄙는邊鄙니猶言北邊<두주
◎ 북상(北上) : 京之謂<두주
◎ 북해(北海) : 孔融이居北海하야好交天下士.
◎ 분(賁) : 詩小雅皎皎白駒여賁然來思○賁然光采貌.
◎ 분고(焚膏) : 古人이勤讀하야夜焚蘭膏而繼咎○蘭膏는香油.
◎ 분골(紛汨) : 바쁜 모양.
◎ 분골(紛滑) : 밧문도양.
◎ 분권(焚券) : 문셔불지르한다는 뜻.
◎ 분내(分內) : 분슈앞.
◎ 분둔(笨鈍) : 肥胖鈍濁.
◎ 분림(賁臨) : 오라한다는 뜻.
◎ 분망(奔忙) : 빠른것.
◎ 분망(紛忙) : 바쁜 모양.
◎ 분몌(分袂) : 작별하는 뜻.
◎ 분백(苯伯) : 史疇ㅣ以太肥故世稱苯伯.
◎ 분분(紛紛) : 어즈러은모양.
◎ 분석(分析) : 개는 뜻.
◎ 분연(賁然) : 오기를 비는 뜻.
◎ 분우(分憂) : 百里分憂之責.
◎ 분유(枌楡) : 故鄕.
◎ 분유고리(枌楡故里) : 일가시 난 동리.
◎ 분저(焚楮) : 조의사루한다는 뜻.
◎ 분지(賁趾) : 그 사람발있흔남.
◎ 분황(焚黃) : 黃紙에恭紀官誥하야焚告其.
◎ 부교(不較) : 교게하지안는 것.
◎ 부목(不目) : 보지아내도.
◎ 부사(不些) : 죄지안한 것.
◎ 부선(不宣) : '아직 쓸 말은 많으나 다 쓰지 못하였음'의 뜻으로, 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한문(漢文) : 투의 편지(便紙) : 끝에 쓰는 말.
◎ 부섬(不贍) : 넉넉지 못함이라.
◎ 불식(拂拭) : 如拂鏡拭塵.
◎ 부의(不意) : 의외.
◎ 부일(不一) : ①불일치(不一致) : ②같지 아니함. 한결같이 고르지 않음 ③'다 갖추어 말하지 못함'이라는 뜻으로, 편지(便紙) : 끝에 쓰는 '불비'의 낮은말.
◎ 붕簮(朋簮) : 易에勿疑朋盖簮○至誠不疑則朋類ㅣ合而從之라簮聚也.
◎ 붕정(鵬程) : 놉히옴으한다는 뜻.
◎ 비(庇) : 덥흘 비.
◎ 비(憊) : 곤할 비.
◎ 비(毖) : 도울 비.
◎ 비(菲) : 박한 비.
◎ 비(俾) : 하야금 비.
◎ 비경(費經) : 허비하야지나는 뜻.
◎ 비관(鼻觀) : 코.
◎ 비내(庇內) : 그 사람 집안.
◎ 비래(比來) : 요사이.
◎ 비린(鄙吝) : 더려운 것.
◎ 비린(鄙隣) : 나의 이웃집이 겸손하는 말.
◎ 비생(鄙生) : 자신에 대한 겸사
◎ 비소(鄙所) : 겸사하는 말이니 내집이란 말.
◎ 비야세월(飛也歲月) : 나는 듯 하는 셰월이니 빠르단 말.
◎ 비연(飛燕) : 趙飛燕善舞.
◎ 비영이괴(匪榮伊愧) : 영화롭지 않하고 도리혀 북그럽다는 뜻.
◎ 비왕(毖旺) : 삼가왕성한 뜻.
◎ 비의(鄙意) : 내 뜻.
◎ 비치(備置) : 가초와두는 것.
◎ 비품(菲品) : 박한▣품.
◎ 비황(悲遑) : 슬흐고창황한 뜻.
◎ 비효(菲肴) : 변변치 못한 안주.
◎ 빈구(貧窶) : 가난한 것.
◎ 빈빈(彬彬) : 빗는 모양.
◎ 빈사(濵死) : 죽일 지경.
◎ 빈의(殯儀) : 빈보.
◎ 빙(憑) : 의지할 빙.
◎ 凴궤(凴几) : 궤에기대한다는 뜻.
◎ 빙륜(氷輪) : 달박회.
◎ 빙모(聘母) : 장모.
◎ 빙부(聘父) : 장인.
◎ 빙석운산(氷釋雲散) : 어름 풀이듯하고 구름 흣허지듯하단 말.
◎ 빙시금상(氷腮金裳) : 매화꽃.
◎ 빙시옥골(氷腮玉骨) : 매화.
◎ 빙인(氷人) : 중매하는 사람.
◎ 빙조(冰祖) : 장조.
◎ 빙청(氷淸) : 장인모양.
'한문 사전, 번역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번역어 사전, 한문 단어 용어 해설 한문사전 (1) | 2023.04.10 |
---|---|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ㅅ) - (ㅎ) (2) | 2023.04.09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ㅇ) - (ㅎ) (1) | 2023.04.09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ㄱ) - (ㅅ) (2) | 2023.04.09 |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ㅊ) - (ㅎ) (1)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