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공(衙供) : 관아의 지공
아권(衙眷) : 현지에서 데리고 있는 가족
아다개(阿多介) : 털요
아대부(阿大夫) 전국시대 제(齊)나라 즉묵(卽墨지명)의 대부(大夫지방관 명칭)는 날마다 정사를 잘못한다는 말만 왕의 귀에 들려오고 아(阿지명)의 대부는 잘한다는 말만 들려오므로 위왕(威王)이 비밀리에 조사해 보니 즉묵대부는 어진 사람으로 정사를 잘하였고, 아대부는 폭정만 일삼으면서도 왕의 좌우에 뇌물을 뿌려 일부러 왕에게 들리게 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위왕은 노하여 전국에 포고하고 아대부를 기름 가마에 삶아 죽이니 전국의 관기(官紀)가 일신(一新)하였다. 아대부(阿大夫)전국시대 제(齊)의 위왕(威王)이 들으니 즉묵(卽墨고을 이름)의 대부(大夫행정관)는 정사를 잘못한다는 소문이 날마다 들리고 아(阿고을 이름)의 대부는 칭송하는 말이 날마다 들려 심복을 시켜 극비리에 내사해보니 즉묵은 정사를 잘하여 백성들이 태평을 즐기고 있고 아(阿)땅은 학정에 못이겨 백성들의 원성이 자자하였다. 그 까닭은 아의 대부가 왕의 좌우를 매수하여 칭송하는 말을 퍼뜨렸던 것이다. 왕은 대노하여 즉시 아대부를 잡아들여 가마솥에 삶아 죽이고 즉묵대부는 상을 내렸는데 이로부터 제나라에는 부정이 없이 전국이 잘 다스려졌다.《史記》
아문(衙門) : 청국의 예부아문
아방(兒房)) : 대궐안에 장신(將臣)이 지숙(止宿)하던 곳.
아병(牙兵) : 군사의 한 종류로 대장에 수행하는 군병
아사(衙舍) : 관아 건물
아성(亞聖) : 孟子를 지칭한 말
아안(鵝眼) : 가운데 구멍난 화폐
안가(晏駕) : 붕서
안고경(顔卿) : 당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안보(安寶) : 옥새를 찍음
안부(案付) : 장부에 올려서 귀속시킴
안부자(안부자) : 등록된 자
안산(案山) : 묏자리 맞은 편에 있는 산.
안석(安石) : 謝安의 자
안접(安接) : 安住
안찰(按察) : 감사
안탈(案頉) : 죄인안에 탈로 처리함
안토중천(安土重遷) : 본고장에 安住하길 바라고, 옮겨 이사하는 데에는 신중을 기한다는 뜻
압령관(押領官) : 조운선(漕運船
압연(押宴) : 관리인을 두고 베푸는 정중한 연회
압존(壓尊) : 웃어른 앞에서 그 위엄에 눌려 말이나 행동이 자유롭지 못함.
애연(藹然) : 성한 모양
애일지성(愛日之誠) : 부모를 섬길 수 있는 날짜가 적음을 안타까워하여 하루라도 더 정성껏 봉양하려고 노력하는 효성을 말함.
액수(額數) : 정원
야대(夜對) : 밤에 경연을 여는 일
약방(藥房) : 내의원(內醫院)
약방 계사(藥房啓辭) : 내의원에서 상주하는 글
약법삼장(約法三章) : 한 고조가 關中에 들어가 반포한 법. 곧 살인자는 사형, 사람을 상한 자와 도둑질하면 죽인다는 세 가지.
약원(藥院) : 내의원 약방
양감(量減) : 참량감소 (參量減少
양 경리(楊經理) : 楊鎬)양계(兩界) : 함경도와 평안도
양계사민례(兩界徙民例) : 양계의 이주민에 관한 규정)양국(兩局) : 어영청과 훈련도감
양군(兩軍) : 금위군(禁衛軍)과 어영군(御營軍)
양군문(兩軍門) : 어영청과 금위영을 지칭함
양남(兩南) : 경상도와 전라도, 영남과 호남
양도(兩都) : 개성과 강화
양도(兩道) : 경상도와 강원도
양도(兩都) : 평양과 개성
양등(兩等) : 봄․가을 두 차례
양료(粮料) : 식량과 사료
양릉(兩陵) : 영릉(英陵)과영릉(寧陵)
양리(良吏) : 善政을 베푼 관리
양마(養馬) : 정6품
양맥(兩麥) : 밀과 보리 혹은 가을 보리와 봄 보리
양미(糧米) : 양식으로 쓰는 쌀
양보(良保) : 良人으로서 軍役 복무 대신 布木을 바치는 軍丁
양부(兩府) : 강화와 수원부
양사(兩司) :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
양색군(兩色軍) : 감영 소속 군사와 삼수
양서(兩西) : 평안도, 함경도
양성(陽城) : 唐代에 諫議大夫를 지냄
양안(量案) : 토지측량(土地測量)을 기재한 대장(臺帳).
양역(良役) : 양민(良民)이 해야 할 국가에 대한 역무(役務).
양영(兩營) : 어영청과 훈련도감
양원(兩院) : 훈련원․통례원
양음(諒陰) : 임금의 喪制
양의사(兩醫司) : 내의원(內醫院)과 전의감(典醫監). 혜민서(惠民署)와 활인서(活人署)의 합칭
양이(量移) : 먼 곳으로 귀양간 사람을 가까운 곳으로 옮김
양저(糧儲) : 비축 양곡
양전(兩銓) : 병조와 이조
양전(兩殿) : 중전과 대왕대비전
양전(量田) : 토지의 측량
양절(兩浙) : 절강동, 서도〈浙江東, 西道〉의 합칭
양진(兩鎭) : 格浦․黔毛浦
양포(良布) : 조선조 때 임진왜란 후 군정(軍丁)과 봉족(奉足)의 구별이 희미해져서, 군역(軍役)의 의무가 있는 양인 장정(良人壯丁)에게서 일률적으로 징수한 가포(價布).
양현(兩賢) :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양호(兩湖) : 호남 호서, 전라도와 충청도
어공(御供) : 임금께 물품을 진공하는 것
어교(魚膠) : 아교
어막차(御幕次) : 임시로 천막을 쳐서 임금이 머무르는 곳
어보(御寅) : 임금의 도장
어압(御押) : 임금의 수결
어약(御藥) : 임금이쓰는 약
어약 감제(御藥監劑) : 임금이 복용할 약제(藥劑)를 감독하는 일.
어첩(御帖) : 임금이 내리는 첩지
어탕(御帑) : 內帑庫의 뜻임
어호(漁戶) : 고기를 잡아 생업으로 하는 천민
언답(堰沓) : 수리한 전답
언천대(彦千代) : 의방(義方)의아명(兒名)인 듯
얼 ․적(孼嫡) : 서자와 적자
얼녀(孼女) : 첩 소생이 딸
얼노(孼奴) : 惡逆奴酋
엄(嚴) : 임금의 거동에 주위를 경계시킴
엄심갑(掩心甲) : 가슴을 가리는 갑옷
업유(業儒) : 유학(儒學)을 닦는 서자(庶子)를 말함. 손자(孫子)부터는 유학으로 명칭함. 이조 숙종 때에 제정하였음
여결(餘結) : 있는 토지로서 불법적으로 수조 안에 실제 면적보다 줄이거나 누락시켜서 조세를 포탈한 토지 또는 그 토지에서 받은 결세. 이 여결은 결총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결세를 수령이나 아전들이 받아서 착복했다. 또한 평년작을 풍년작이라고 우겨서 징세하고 상부에는 평년작이라고 보고하여 거기서 남은 것을 착복하는 것도 여결이라고 했다.
여군(餘軍) : 교생(校生)과 기타의 역에서 태정(汰定)된 자를 지칭함. 여정(餘丁
여마(餘馬) : 예비말
여상(呂尙) : 文王의 신하 즉 姜太公
여상(如傷) : 내몸 다친 듯 백성을 사랑함
여수(廬囚) : 죄수의 사건 기록을 재심리하여 죄를 가볍게 하여 주는 일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 민유중(閔維重)
여역(癘疫) : 마마
여연(輿輦) : 임금이 타고 다니는 탈 것.
여오(女吳) : 전국시대 막강했던 齊나라도 景公때에 와서는 신흥국가인 吳나라에 눌리어 눈물을 흘리며 그 딸을 시집 보낸 일
여장(女墻) : 성 위에 쌓은 낮은 담
여정(轝丁) : 가마를 메는 사람
여정(餘丁) : 속량한 자로 양역에 편입되지 않은 자. 베 1필을 냈다
여정(輿情) : 백성의 마음
여정목(餘丁木) : 면역자를 정리하여 받은 베
여정목(餘丁木) : 여정은 국가의 충원 계획에 따라 現役을 징집하고 남은 장정. 이들이 현역에 복무하지 않은 대신 바친 布木. 비현역 장정에게 받아 들인 포목
여정포(餘丁布) : 여정(餘丁)에게 받아들이는 베. 여정은 국가의 군대 충원 계획에 의해 현역(現役) 징집이 유보된 사람. 이들은 현역에 복무하지 않는 대신 베나 무명을 바쳤음.
여제(癘祭) : 질병신에게 지내는 제사
여제(厲祭) : 제사를 못받는 귀신, 또는 못된 돌림병에 죽은 귀신에게 지내는 제사.
여피(儷皮) : 혼례의 納幣에 쓰는 한 쌍의 가죽.
여황익수(艅艎鷁首) : 화려하게 꾸민 배, 익수는 익조의 머리를 뱃머리에 붙였다하여 붙여짐 이름임
역가(役價) : 용역비
역가노비공목(逆家奴婢貢木) : 역적 집안의 노비가 신공으로 내는 무명
역견(逆堅) : 역적 許堅
역관(譯官) : 우리측 통역
역마(驛馬) : 역(驛)에 비치(備置)하여 두고 공무 여행자(公務旅行者)에게 제공하는 마필(馬匹).
역사(歷辭) : 수령이나 감사가 부임할 때 각 상사(上司) 아문에 다니며 하직인사를 하는 일.
역서(易書) : 시험 답안지를 다른 사람을 시켜 바꿔 쓰게 하는 일. 시관(試官)이 응시자의 글씨를 알아보고 부정을 저지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임.
역서자역관(曆書咨譯官) : 중국의 책력과 그에 따른 자문을 가지고 온 역관
역소(役所) : 공사 현장).
역자(驛子) : 역의 吏屬
역체(驛遞) : 마필에 의하여 관문서를 遞送 하거나 관리의 왕래를 護送 하는 일
역포(役布) : 身役 대신으로 내는 베.
역호(逆胡) : 반역하는 호
연가(煙價) : 연호군(煙戶軍)에게 주는 대가. 국가의 역사(役事)에 호적을 통하여 그 지역에서 동원하는 인부를 연호군이라 하며 그들에게는 품삯을 지급하였음
연계(連啓) : 연속하여 계사를 올림
연군(烟軍) : 家戶마다 내는 賦役人夫. 나라에는 큰 역사가 있을 때 호적을 통해 그 지역에서 대규모로 징발되었다
연명 상소(連名上疏) : 두 사람 이상이 이름을 한 곳에 잇달아 써가지고 소장(疏章)을 올리는 것.
연명(延命) ① 감사나 수령이 부임할 때에 궐패(闕牌) 앞에서 왕명을 전포(傳布)하는 의식. ②수령이 관찰사를 처음 가서 보는 의식.
연백(筵白) : 연석(筵席)에서 주청(奏請)함, 경연에서 직접 아룀
연백(延白) : 연안(延安) 백천(白川)
연병(練兵) : 훈련도감
연봉(延逢) : 수령(守令)이 존귀한 사람을 나가 맞는 것.
연분(年分) : 농사의 풍흉에 따라 전세의 등급을 9등급으로 매기는 것. 9등급의 전세율(田稅率
연분사목(年分事目) 농사의 풍흉에 따라 매년 토지의 등급을 9등으로 나누는 규정.
연분총수(年分總數) : 세금을 부과할 토지의 총 숫자. 그해 농사의 풍흉에 따라 토지의 등급을 9등으로 나누어 세금을 부과하였다《경국대전》
연사(年事) : 농사가 되어 가는 형편, 풍흉을 말함
연수(淵藪) : 못에 물고기가 모여들고 숲에 새들이 모여드는 것과 같이 도망자들이 모여드는 곳을 말함.
연신(筵臣) : 임금에게 경전을 강하는 벼슬아치. 연관(筵官)
연애(涓埃) : 아주 작은 것
연역(烟役) : 매호의 민가(民家)에 부과하는 잡역(雜役). 연호잡역(烟戶雜役
연제(煉臍) : 배꼽뜸
연죽(烟竹) : 담뱃대
연중(筵中) : 임금과 신하가 모이어 자문주답(諮問奏答)하는 자리, 연석[宴席]이라고도 함
연하(輦下) : 都城
연행(燕行) : 청(淸)나라 서울을 연경(燕京)이라 하고, 이 연경으로 가는 사신 일행을 약하여 일컫는 말.
연호잡역(烟戶雜役) : 민가(民家) 매호마다 부과하는 잡역(雜役).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 김제남(金悌男)의 봉호),
염․인(廉藺) : 염파(廉頗)와 인상여(藺相如). 조(趙)나라의 명신(名臣) 인상여가 진왕(秦王)에 항거(抗拒)하여 상경(上卿)이 되자, 염파는 자기 위에 있는 인상여를 미워하였다. 그러나 인상여는 나라 일을 우선으로 하고 사사로운 감정을 뒤로 돌리자 염파가 이를 듣고 인상여를 찾아가 사죄한 일이 있음.
염간(鹽干) : 소금을 굽는 천인
염목(染木) : 염색한 무명
염목(鹽木) : 염세(鹽稅)로 받는 무명베
염분(鹽盆) : 소금 굽는 가마
염세목(鹽稅木) : 염전에서 수봉한 세목
염초(焰硝) : 화약의 원료
염피(厭避) : 싫고 꺼려서 피함
염호(鹽戶) : 소금생산을 업으로 하는 가구).
염희(恬嬉) : 맡은 사물을 게을리 하는 것
엽저(獵猪) : 멧돼지 사냥
영(零) : 남짓, 端數).
영(領) : 군대조직의 맨 아래의 단위. 또는 그것을 지휘하는 사람.
영(令) : 왕세자가 대리청정할 때 내리는 명령.
영감(令監) : 종2․정3품에 대한 존칭어
영갑(令甲) : 법령
영고두적(領賈頭的) : 장사치를 거느린
영관수(營官需) : 감영과 고을이 쓰는 수요품
영급(永給) : 영원히 지급함
영래하인(迎來下人) : 신임을 맞으러 온 하인
영릉(寧陵) : 효종(孝宗)과 그 비의 능
영릉(英陵) : 세종(世宗)과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능
영목사(領牧使) : 목사는 원래는 정3품직이지만, 보다 높은 품계를 가진 사람이 임명되는 경우도 있어 정2품일 경우에는 영목사(領牧使), 종2품일 경우에는 판목사(判牧使)라고 하였다
영문(營門) : 監營
영서(嶺西) : 대관령 서쪽
영송(迎送) : 수령을 맞고 보냄
영수(零數) : 쓰고 남은 액수
영수미(營需米) : 감영 수용의 미곡
영애(嶺隘) 산고개의 요해처로서 관문(關門)이 설치되어 있는 곳. 고개목
영위(迎慰) : 맞아 위로함
영적(嶺賊) : 영남의 도둑
영적(零賊) : 잔적(殘賊)
영전위사(迎餞慰使) : 영위사 전위사의 합칭
영직(影職) : 실제로 그 직무(職務)에 근무하지 아니하고 이름만을 비는 벼슬. 차함(借銜).
영천(榮川) : 현재의 영주
영칙(迎勅) : 칙서를 맞이하다
영파부(寧波府) :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지명
영평후(營平侯) : 한나라 조충국(趙充國
영하(營下) : 감영이나 병영
영향(營餉) : 영에 필요한 양곡
영후하인(迎候下人) : 맞기 위해 대기하는 하인
예간(睿簡) : 임금의 선택
예겸(例兼) : 예에 의한 겸직
예부(禮部) : 중국관청, 청국의 관청명
예빈(禮賓) : 예빈시
예사(睿思) : 임금의 생각
예산(睿算) : 임금의 지모(智謀). 임금의 헤아림
예상(翳桑)처럼 다급함(굶주림이 급박하다는 뜻. 晋의 靈輒이 굶주려 뽕나무 그늘에 쓰러져 있을 때 趙盾이 구해 주었다는 데서 온말
예상의 주림(翳桑之餓) : 춘추지시 晋의 대부 조선자(趙宣子) : 이름은 循)이 예상에 출병하여 주린 사람을 구해준 일이 있는데 그후에 晋靈公이 伏兵으로 循을 죽이려 할 때 병정 한 사람이 앞을 막아 피신케 하였다. 거주와 성명을 물으니 저는 桑餓人이라고만 말하고 떠나버렸다《左傳》
예재(睿裁) : 임금의 결정
예절(例節) : 정규적으로 보내는 사절(使節)
예차(預差) : 차비관(差備官)을 일이 있기 전에 미리 정함.
옛사람은 소매를 끌어당기고[牽三國의 魏의 辛毗 고사]
오가작통(吾家作統) : 민호(民戶) 다섯집을 한통(統)으로 편성하는 호적법
오계(五季) : 중국의 唐과 宋 사이의 五代를 말함
오군문(五軍門) : 오군영(五軍營). 훈련도감․총융청․수어청․어영청․금위영.
오랑캐(虜) : 금(金)을 말함
오멸(汚爬) : 더럽다는 뜻
오부(五部) : 조선시대에 한성(漢城)을 중부(中部)․동부(東部)․서부(西部)․남부(南部)․북부(北部)의 다섯 구역으로 나눈 행정 단위. 또는 각 구역안의 소송(訴訟)․도로(道路)․금화(禁火)․택지(宅地) 등을 관장하던 관아(官衙)를 말함. 태조 3년에 설치하여 고종 31년에 폐함.
오상사(五上司) 조선시대 하급관청에서 일컫던 다섯 개의 상급관청. 곧 의정부 및 동반직의 충훈부, 의빈부, 돈령부와 서반직의 중추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오수전(五銖錢) 돈의 이름. 한 무제(漢武帝) 때에 처음으로 주조(鑄造)하였는데 무게가 5수(銖)이다. 전면(錢面)에는 전자(篆字)로 오수(五銖)라 새겨져 있고 수(隋)나라 때까지 쓰여졌으나 대소(大小)의 제작(製作)은 일정치 않았다 한다.
오승(五升) : 닷새베를 5승포라 함
오월왕(五越王) : 오월은 오대(五代) 때의 한 나라
오일경조(五日京兆) : 오래 계속하지 못하는 일의 비유로, 漢의 張敞이 京兆尹에 임명되다가 며칠 후에 면직되었던 고사에서 나온 말).
옥당(玉堂) : 홍문관
옥문관(玉門關)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에 있으며 서역(西域)을 통하는 관문(關門). 후한(後漢) 명제(明帝)․장제(章帝) 때의 명장(名將) 반초(班超)가 서역에 파견되어 50 여국(餘國)을 진무(鎭撫)하였는데 늘 살아서 옥문관에 들어가기를 원하였음.
옥산부원군(玉山府院君) : 장희빈의 아버지
옥색(玉色) : 임금의 얼굴
옥송(獄訟) : 형사재판
옥후(玉候) : 임금의 건강
옹정(雍正) : 청나라 世宗의 연호
옹정(擁正) 13년 간) : 옹정정(擁正)은 청나라 세종(世宗)의 연호이며, 13년은 1723~1735년 사이가 됨.
와력(瓦礫) : 기와와 자갈
와붕(窩柵) : 草房
완급(緩急) : 비상사태
완문(完文) : 증명서
왕사(王事) : 국사(國事)
왕사(王師) : 명나라 군대
왕성(王成) : 漢 宣帝 때에 膠東相으로 있으면서 치적이 우수했으며 외방의 유민 8만여 명이 境內로 몰려들었다고 보고하여 關內侯의 관작이 내렸다. 그러나 곧 병사했는데, 혹자의 말에는 왕성이 허위로 보고하여 큰 賞을 입었다고 하였다<中國人名辭典>
왕안대(王按臺) : 안대는 직명
왕옥(王獄) : 의금부(義禁府)
왕인(王人) : 황제의 칙사
왕자(王者) : 왕도(王道)로 정사하는 자
왜공목(倭公木) : 왜국과의 교역에 쓰이는 포목
왜공미목(倭供米木) : 왜인이 바치는 쌀과 무명
왜응(倭鷹) : 왜인에게 보내는 매
왜작미(倭作米) : 왜인에게 주는 공목(公木)을 쌀로 냄
왜주홍(倭朱紅) : 붉은 물감
외곤(外閫) : 외방의 병영과 수영
외대(外臺) : 외방에 나와 있는 대간(臺諫)의 뜻
외모(外侮) : 외침
외방(外方) : 도성 밖의 지방
외부(外府) : 바깥창고
외압(外押) : 手決을 세긴 도장
외정(外廷) : 군왕(君王)이 국정(國政)을 듣는 곳. 외(外朝)라고도 함
외조(外朝) : 군왕이 국사를 보는 곳
요리(料理) 차익을 취하거나 민간에 대출하여 이식을 취하는 일.
요망(瞭望) : 높은 곳에서 적정(敵情)을 살피어 바라보는 것.
요상(僚相) : 동료 의정(議政) 사이에서 서로 부르는 말
요역(徭役) : 노역(勞役)
요전상(澆奠床) : 묘소에 차려 올린 제물
요좌(遼左) : 요양(遼陽)의 서쪽
요패(腰牌) 군졸(軍卒)이나 하례(下隸)들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해 허리에 차는 패.
요포(料布) : 급료로 주는 무명이나 베
욕례(縟禮) : 성대한 예식)
용관(冗官) : 중요하지 않은 관원
용비(冗費) : 쓸데없는 비용
용식(冗食) : 무위도식(無爲徒食)
용지(龍脂) : 솜이나 헝겊을 막대에 감아 기름을 적셔 불을 밝히는 물건
용형(用型) : 행형
용호(龍胡) : 용골대(龍骨大)를 가리킴
우관(郵官) : 찰방(察訪)
우규(右揆) : 우의정
우당(右堂) : 참판의 별칭
우부령공(右副令公) : 우부승지
우서(羽書) : 격서(檄書), 격문(檄文)
우심읍(尤甚邑) 재해가 가장 심한 읍.
우형(虞衡) : 산택(山澤)을 맡은 관원
우후(虞侯) : 각 도에 배치된 兵馬節度使와 水軍節度使의 보좌관으로서, 병마우후는 종3품, 수군우후는 정4품이었음
운(運) : 조(組)와같음
운력(運力) : 울력
운신(運臣) : 수송책임관
웅번(雄藩) : 나라를 지키는 강한 번진(藩鎭)
웅읍(雄邑) : 큰읍
원곡(元穀) : 원 장부에 기록된 곡물
원군관(元軍官) : 정원으로서의 원래 군관
원두소(園頭所) : 채소와 오이․수박 등을 진상하는 곳
원양도(原襄道) : 강원도
원역(員役) : 사신을 수행하여 실무를 담당하는 아전. 이서(吏胥)의 하나
원융(元戎) : 원수(元帥)
원임(原任) : 전임
원작전(元作錢) : 현물이 아닌 돈으로 따져 내는 것
원장(員長) : 폭과 길이
원적관(原籍官) : 본적지관장)
원전(元田) : 매년 경작하는 땅
원정(元情) : 사실을 밝힘
원정(原情) : 피의자의 자기 변명
원정공사(原情公事) : 사정을 하소연한 진정에 관한 일
원종(原從) : 勳功의 등급에 들지 못하는 작은 공이 있는 공신의 칭호. 원종공신
원첩(原帖) : 첩문의 원본
원회곡(元會穀) : 각읍(各邑)에서 취급하는 환곡(還穀)은 1석(石) :15두)에 대하여 모곡(耗穀) 1두(斗) 5승(升)을 받고 그 중에서 1승 5홉은 호조(戶曹)에서 사용하고 8승 5홉은 진휼청(賑恤廳)에서 사용하며 5승은 본읍에서 사용하는데 호조와 진휼청에서 사용하는 곡식을 원회곡이라고 함
원회부(元會付) : 국가에서 그 고을에 떼어준 곡물, 본래 정부의 장부에 올라 있는 것
월2등(越二等) : 10분의 2를 감봉함
월곶진(月串鎭) : 달곶이진
월과(月課) : 매달 실시하는 훈련에 필요한 조총․화약, 기타 군기(軍器)를 만들어 바치던 것을 말함. 다달이 보이는 시험. 혹은 매월 定例로 하는 일.
월과가미(月課價米) 병기를 만들기 위해 매월 거둬들이는 쌀
월과군기(月課軍器) : 월별로 부과하는 군기
월과미(月課米) : 매월 정례로 바치는 稅米
월과조총가미(月課鳥銃價米) : 매월 바치는 조총 대가의 쌀
월등(越等) : 감봉 처분. 공무상 과오를 범한 경우의 감봉처분. 봉급의 10분의 1을 감봉할 때에는 월1등(越一等), 2를 감할 때에는 월2등이라 하고, 7등을 초과하지 못하며, 감봉처분을 받을 만한 조건이 네 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8등까지 감봉할 수 있음.
월령(月令) ①월령의(月令醫). ②농가나 국가의 정례(定例)의 연간 행사를 다달이 구별하여 적은 표. 뜻이 바뀌어 시후(時候)란 말로도 쓰임. 국가의 정례적인 연간 행사를 다달이 구별하여 적은 표. 여기에는 13명의 감찰을 두고 각기 1관아를 담당함.
월령감찰(月令監察) : 담당감찰
월름(月廩) : 월급으로 주는 곡물
월오기(月吾□) : 가죽으로 지은 긴 버선이니 방한용(防寒用)으로 사용함. 다로기라고도함
위관(委官) : 일정한 직무의 처리를 위하여 위임시킨 관원
위기(委寄) : 위임(委任)
위내(衛內) : 시위하는 범위내
위대두(位大豆) : 기장․피․목면․삼을 심은 밭에서 결세로 대신 바치는 콩
위리(圍籬) : 가시울타리를 친 유배소
위미태(位米太) : 조세(租稅)로 바치는 쌀과 콩. 대동법을 실시하면서 전세(田稅)를 쌀과 콩으로 통일하였음.
위첩(慰帖) : 위문 서신
위태(位太) : 조세로바치는콩
유고(留庫) : 창고에 저장해 둠
유고목(留庫木) : 창고에 보관중인 무명
유관(留官) : 고을 수령의 직무를 대리하여 보는 坐首
유군(遊軍) : 유격군병
유궁(儒宮) : 향교를말함
유기(遊騎) : 유격기병
유도(留都) : 留守를 말함이니 仁祖때에 강화유수와 개성유수가 있었는데 강화는 강도라 하고 개성은 송도라는 별칭이 있으므로 유수를 유도중신이라고도 함
유도군병(留都軍兵) : 임금 거둥시에 도성을 지키는 군병
유둔(油屯) : 기름 먹인 종이
유랍(鍮鑞) : 놋쇠와 백철
유련(流連) : 놀이에 빠져 집에 돌아가지 않음
유망(流亡) 고향을 떠나 떠돎
유문(留門) : 특명으로 밤에도 성문을 닫지 못하게 함
유방(留防) : 연장되어 방수함
유부(游府) : 구유격률 관부
유사(攸司) : 그 관청
유서(諭書) : 관찰사․절도사․방어사 등이 임지로 부임할 때 내리는 왕의 명령서. 이에는 諭書之寶가 찍힘
유신(儒臣) : 홍문관(弘文館) 관원의 통칭.
유안(劉晏) : 唐나라 南華 사람이다. 字는 士安. 玄宗 ․肅宗 ․大宗 ․德宗의 4대에 걸쳐 벼슬하였는데 덕종 때에는 關內 ․河東 ․三川 및 각도의 靑苗使를 지냈다. 安史의 반란이 일어났을 때 조정에서는 府庫가 고갈되어 어려운 상황에 봉착하였는바 이때, 유안이 재물을 잘 經理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일을 솔선하여 훌륭한 정치를 하였다
유역(留役) : 남아서 역을 치름
유엽전(柳葉箭) : 살촉이 버들잎처럼 생긴 화살
유옥(留獄) : 현수(現囚
유음(幽陰) : 귀신
유의(襦衣) : 솜 대신 종이를 두어 만든 겨울옷으로 국경지방에 수자리 사는 군사에게 지급하던 옷. 유지의(襦紙衣
유의가(襦衣價) : 유지의(衣衣)를 공납(貢納)하는 값. 유지의는 솜 대신 종이를 두어서 만든 북쪽을 지키는 군사에게 지급하였음.
유재(遺在) : 남아 있음.. 남아 있는 것, 재고품
유정(惟正) : 해마다 궁중 및 서울고관에 바치는 공물
유정지공(惟正之供) : 해마다 정례(定例)로 궁중 및 서울의 고관(高官)에게 바치는 공물(貢物). 유정지공(惟正之貢).
유족도(柳簇鞱 화살통
유지(留支) : 당해 도의 경비는 그 도에서 징수하는 조세(租稅)로 충당하고, 그 나머지는 중앙에 보내어 국비로 함. 곧 도 경비로 쓸 것을 일컬음.
유지(有旨) : 전지(傳旨).
유진(留陣) : 어떤 곳에 군사를 머물러 둠.
유청(有廳) : 有廳軍, 또는 有色軍의 준 말
유청군사(有廳軍士)) : 보충대(補充隊)와 낙강군(落講軍)으로 조직해 충순위(忠順衛)․충찬위(忠贊衛)․충장위(忠壯衛)의 3위에 예속시켜 포(布)를 받는 군대.
유포(游布) : 일정한 역이 없는 자에게 부과하는 베.
유품(儒品) : 유생으로 지방 품계를 가진 자
유협(楡 화폐명
육기(六氣) : 천지간의 여섯가지 기운. 寒, 署, 燥, 濕, 風, 雨를 말함
육기(六起) 황제와 황후에게 세 번씩 여섯 몫을 보낸다는 뜻.
육량(六兩) : 화살의 무게
육상궁(毓祥宮) :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사당으로, 영조의 생모인 숙빈(淑嬪) 최씨를 향사(享祀)하는 곳임.
육성(六成) : 60% 순분 (純分)이 있음
육성삼분(六成三分) : 63%의 순분(純分)이 들어 있는 은
육성은(六成銀)성분 60%로 만든 은, 이에 대해 성분 백%의 은을 십성은(十成銀)이라고 하며 이것은 순은(純銀)이다. 혹은 이를 천은(天銀)이라고도 함.
육양(六兩) : 철전(鐵箭
육지(陸贄) : 당(唐)나라 덕종(德宗)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주자(朱)의 난을 당해 봉천(奉天)으로 파천(播遷)하자 많은 계책을 올려 평정하는데 공헌했다.
육진(六鎭) : 경원, 경흥, 부령, 온성, 종성, 회령에 있던 진
육함(六函) : 함곡관〈函谷關〉의 여섯관문
윤대(輪對) : 문무 관원이 차례대로 궁중에 들어가 임금의 질문에 응대(應對)하거나 임금에게 政事의 득실을 상주(上奏)함.
윤대관(輸對官) : 동반(東班) 6품 이상, 서반(西班) 4품 이상(초기에는 동반 4품 이상, 서반 2품 이상)의 당하관(낭관) :郎官)이 차례대로 궁중에 들어가 임금의 질문에 응대하기도 하고 임금에게 政事의 득실을 상주하는 제도를 윤대(輪對)라고 하는 바, 그 윤번의 차례가 된 관원을 말함.
윤음(綸音) : 왕의 말씀
윤점(輪點) : 돌아가며점검함
윤직(輸直) : 윤번으로 당직함
윤탁(尹鐸) 중국 춘추시대 진(晋)나라 사람. 조간자(趙簡子)가 진양(晋陽)을 다스리게 하였을 때에 견사(繭絲稅收)를 위할 것인가, 보장(保障)을 위할 것인가를 물었다. 조간자가 보장이라고 답하자 진양의 호수(戶數)를 줄여 백성들이 여유와 인화(人和)를 얻을 수 있었다.
윤하(允下) : 윤허가 내림
율관(律官) : 법관
융기(戎器) : 병기(兵器)
융무(戎務) : 병무(兵務)
융복(戌服) : 무복(武服)
융사(戎事) : 군사에 관계된 일
융오(戎伍) : 군대
융정(戎政) : 군정(軍政
은(殷) : 초왕의 이름
은결(隱結) : 조(租)와 세(稅)의 부과 대상에서 제외시키기 위하여 부정으로 양안(量案)에 올리지 않은 땅
은루(隱漏) : 논밭을 숨기어 양안(量案)에 올리지 아니 하는 것.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하여 소의 생산을 숨기고 보고하지 않아 장부에 누락시킨 것.
은색랑(銀色郞) 호조에 딸린 부서의 관리. 금(金)․은(銀)에 관한 일을 맡아 봄.
은연죽(銀煙竹) : 담뱃대
음빙(飮氷) 고된 일로 속에 열이 나서 얼음을 먹고 식힘. 장자(莊子)에 나는 아침에 명을 받으면 저녁때는 음빙해야 하였다 고 말하였다.
음우상두(陰雨桑土) : 환란(患亂)이 닥치기 전에 미리 대비함.
음우지비(陰雨之備) : 불의(不意)의 사태에 대비함을 말함
음직(蔭職) : 조상의 공훈으로 자손이 벼슬을 하는 일
응련(鷹連) : 매. 새 사냥을 위해 기르는 매
응사(鷹師) : 매를 잡아 궁중의 수요에 바치는 잡직
응세(應稅) : 징세(徵稅)에 응함. 또는 과세함.
응탈(應頉) : 응당 사고(事故)로 처리해야 할 일
응판관(應辨官) : 외국 사신이 쓰는 물건을 내어주는 사무를 맡아보는 호조(戶曹)의 한 관리
응하(應下) : 당연히 지출해야 하는 돈
응행절목(應行節目) : 반드시 집행할 사항
의거(義擧) : 仁祖反正을 가르킴
의경세자(懿敬世子) : 成宗의 아버지
의관(衣冠) : 진신(縉紳)
의귀(依歸) : 믿고 갈만한 곳
의려(義旅) : 의로운 군대
의릉(懿陵) : 경종과 그 계비의 능
의릉(義陵) : 함경남도 함흥군에 있는, 이태조(李太祖)의 증조부모 도조(度祖) 내외의 묘.
의막(依幕) : 임시 거처하는 곳
의망(擬望) : 삼망(三望)의 후보자를 추천함. 삼망은 1인의 관원을 채용하는데 3인의 후보자를 임금에게 추천하는 것. 임금은 그 중 1인에게 낙점(落點)하여 결정함
의빈(儀賓) : 왕실의 사위
의송산(宜松山) 소나무 조성의 적격지로서 봉산(封山)하기에 적당한 산.
의시(議施) : 죄를 논의 집행
의의(擬議) 의정부나 육조(六曹)에서 중신(重臣)들이 모여, 관서(官署)에서 보고한 사목(事目)이나 임금이 의논하도록 명한 일에 대하여 그 가부를 의논하는 일. 그 내용을 임금에게 보고하며, 임금이 이것에 근거하여 의결함
의자(議者) : 논평인
의자(衣資) : 옷감
의조(儀曹) : 예조
의죄(議罪) : 죄를 논함
의주(儀注) :나라의 전례(典禮)에 대한 절차를 적은 책
의차(擬差) : 추천하여 임명함
의천(擬薦) 벼슬아치를 뽑을 때 삼망(三望)의 후보자로 추천함. 의망(擬望). 의논하여 추천함
이찬성(貳贊成) : 참판과 같은 차석을 뜻함.
이간책(離間策) 항우(項羽)와 범증(范增)의 사이를 이간질하여 사이가 틀어지게 한 고사(故事).
이강(李綱) 북송말(北宋末) 남송초(南宋初)의 정치가이자 군략가.
이경(二更) : 밤 9시부터 11시까지
이군색(二軍色) 병조의 한 분장(分掌). 기병(騎兵)과 보병(步兵)의 보포(保布) 및 궐내 궐외 각 관청의 고립군(雇立軍)에 관한 사항을 관장함. 이군빗이라고도 함.
이극용(李克用) 오대(五代) 후당(後唐)의 태조. 그의 선대는 서융(西戎)으로 사타부(沙陀部)의 추장(酋長)이었는데 그의 조부가 당(唐)에 항복하였고, 그의 아버지는 대동절도사(大同節度使)가 되어 이극용이 승습(承襲)하였다. 황소(黃巢)의 난에 큰 공을 세워 진왕(晉王)에 봉해졌으나 주전충(朱全忠)이 시기하여 본거지로 물러났다. 그의 아들 이존욱(李存)이 주전충의 후량(後梁)을 멸하여 후당을 세우고 이극용을 추존하여 태조로 삼았다.
이납(移納) : 수납하는 장소를 바꾸어서 내는 것
이륜(彛倫) : 人倫
이마(理馬) : 정6품),
이맥(耳麥) : 귀리
이목(耳目)의 관원) : 사헌부(司憲府)와 사간원(司諫院)의 관원. 임금으로부터 위임받은 언책(言責)을 제대로 수행하여, 임금의 귀와 눈이 되어야 한다는 뜻에서 이렇게 호칭함.
이몽하(李夢學) 임진 왜란 때의 충청도 鴻山에서 난을 일으켰다가 그 부하 김경창에게 피살된 사람
이문(移文) : 동등한 관아 사이에 왕래하는 공문서. 또는 공문서를 보냄. 공이(公移). 회이(回移)
이밀(李密) : 처음 수 양제(隋煬帝)의 숙위가 되었다. 뒤에 낙구(洛口)에 응거하여 위공(魏公)이라 칭하고 강회(江淮) 이북을 차지하였다가 왕세충(王世充)에게 패함.
이백동(二百同 이백 묶음, 묶어서 한덩이로 만든 묶음을 一同이라고 함. 포목은 50필, 먹은 10개, 붓은 10자루, 백지는 1백권, 조기 따위는 2천마리, 건시는 1백접, 토지는 1백 뭇(束)임
이백문(은화 1냥당
이비(吏批) : 이조(吏曹)에서 주청하여 임금의 비답(批答)을 받은 벼슬
이사(吏事) : 행정사무
이사(貳師) : 세자부(世子傅
이소(二所) : 제2의 시험장
이아(貳衙) : 감영소재지에 있는 郡衙
이어(移御) : 임금이 거처를옮기는 것
이엄(耳掩) : 남바위)
이엄(二嚴) : 행군할 때 신호의 하나, 무기를 갖추라는 명령
이윤(伊尹) : 은(殷)나라의 어진 재상
이의(肄儀) : 의식을 예행 연습으로 익힘
이자(移咨) : 자문(咨文)을 보냄. 통보(通報)함
이전(移轉) : 방출(放出), 다른 지방에 넘겨줌
이전미(移轉米) : 강화나 남한산성에서 실어간 쌀
이정(釐正) : 시정. 정리하여 바로잡아 고침
이정(里正) : 지방의 동리에서 호적 기타의 공공사무를 맡아보는 사역의 하나. 5戶를 1統으로 하고 5통마다 이정을 두었음.
이정(移定) : 이속(移屬)
이조유조서리(吏曹留曹書吏) : 사무 연락 및 기타 필요에 따라 지방 관아에서 이조에 붙박이로 머물러 있게 하는 아전.
이준(移准) : 물품의 용도를 다른 데에 옮겨 쓰도록 허가함. 방물(方物)을 절약하여 써서 남은 여분을 다음 사행(使行)의 방물에 옮겨 쓰도록 한 것.
이징(移徵) : 옮겨 징수함
이차(移差) : 옮겨 임명됨
이천석(二千石) : 봉록의 단위이나 刺史를 주로 지칭함
이회(移會) : 공문의 지시
이효(二崤) 동과 서의 두 효관(崤關
익릉(翼陵) : 인경왕후의 능
익주(益州) : 지금의 四川省
익평위(益平尉) : 洪得箕. 효종의 부마
인(印)을 새겼다가 다시 녹여 버리는 일) : (한고조(漢高祖)가 역이기(酈食其)의 말을 듣고 제후(諸侯)를 봉 (封)하려고 인신(印信)을 새겼는데 장량(張良)의 반대로 다시 녹였다는 고사
인거군(引鉅軍) : 톱질하는 사람
인구(引咎) : 허물을 자청함.
인년(引年) : 당년에 완결짓지 않고 해를 끌음
인로(引路) : 길을 인도하는 하인
인리(人利) : 맹자 공손축 편에 天時는 地理만 못하고 지리는 人和만 못하다 라는 데서 인용한 인화 ․지리의 두가지의 약어
인배(引陪) : 정3품 이상의 당상관이 출입할 때에 그 앞을 인도하는 관노(官奴)의 하나
인배수(引陪手) : 인도하는 관노
인산(因山) 태상왕, 태상왕비, 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 왕세손, 왕세손빈의 장례. 국장(國葬)임. 그 사무는 계제사(稽制司)에서 맡는데 특별한 경우에는 국장도감(國葬都監)을 설치하여 장사를 지냄. 인봉(印封). 예장(禮葬).임금의 장례
인순(因循) : 그대로 지속함
인신(印信) : 관인
인용(引用) : 공물가를 지급기일 전에 미리 당겨 사용함
인정(人情) : ① 사람이 본디 가지고 있는 감정이나 심정. ② 남을 도와 주려고 하는 갸륵한 마음씨. ③ 세상 사람들의 사회적 심정. ④ 선물. 예물(禮物). [通俗編, 禮節, 人情], 按. 以禮物相遺. 曰送人情. 唐宋元人. 皉諺之也 .⑤관리에게 은근히 주는 뇌물. 일종의 부과세
인정(人定) : 매일 밤 2경(二更)에 종을 28수(二十八宿)의 의미로 28본 쳐서 통행을 금지하는 것. 전국의 요충지와 큰 절에 종을 달아놓고 2경에 28번 쳐서 통행을 금지하고, 5경(五更)에 33천(三十三千)의 뜻으로 33번 쳐서 통금을 해제하는데, 2경의 것을 인정, 5경의 것을 파루(罷漏)라고 함. 통금되면 공무, 질병 등 이외는 대관도 통행이 금지됨.
인종(仁宗) : 북송(北宋)의제4대황제
인지(麟趾) 역시《시경》주남의 편명. 문왕의 후비들이 덕을 잘 닦음으로써 자손들까지 잘 생기고 성품도 인후(仁厚)함을 나타낸 시. 이 시도 태평 기상을 노래한 시라 한다.
인징(隣徵) : 逃故 등으로 각종 稅를 받아들일 수 없을 때에 이웃 사람들에게 물리어 받는 일.
인징(隣徵) : 조선조 후기에 도망자․사망자․실종자의 각종 세의 체납을 대충(代充)하기 위하여 억지로 그 이웃에게서 추징(追徵)하던 일.
인평대군(隣平大君) : 인조의 삼남, 휘는 요
인피(引避) : 책임을 자기에게 돌리고 벼슬을 사양하는 것
인혐(引嫌) 책임을 지고 사퇴함.
일(佾) : 궁정이나 文廟에서 경사나 제사 때 추는 춤을 佾舞라 하는데 八佾舞․六佾舞․四佾舞․二佾舞 등이 있으며, 일은 춤을 추는 列로 1일은 8인으로 8일무는 64명이 추는 춤이다
일경(一鏡) : 김일경
일공(日供) : 날마다 바치는 음식상
일관(日官) : 추길관(諏吉官). 길일(吉日)을 가리는 일을 맡은 관상감(觀象監)의 한 직장(職掌).
일광산(日光山) : 일본 관동지방에 있는 관광지
일군색(一軍色) : 병조의 한 分掌 部署
일궤(一簣)가 모자라는 후회) : 아홉 길의 산(山)을 만드는데 공(功)이 한 삼태기 때문에 무너진다는 뜻으로, 계속 성공할 때까지 성의를 보이지 않고 중도에 포기하면 전공(前功)은 아무런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말.
일려(一犁) : 쟁기 밥이 묻힘
일률(一律) : 사형
일명지사(一命之士) : 처음 관직을 받은 사람, 末職의 뜻
일반(一半) : 절반
일서(一鋤) : 호미 밥이 묻힘
일수가(日守價) : 천역에 종사하는 하인에게 주는 대가
일시(一視) : 똑같이 대하다
일시동인(一視同仁) : 모든 백성을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함.
일의대수(一衣帶水) : 좁게 흐르는 한줄기 강물
일전(日躔) : 날이 운행하는 위차(位次)
일죄(一罪) : 사형(死刑)
일차(日次) : 정기일
임사(任使) : 사명을 받들고 임무를 수행함
입거목(入居木) : 入居廳에 공물로 바치는 무명, 입거청은 중종 때 함경․평안․황해 지방에 이주시킨 백성들이 흉년으로 각지에 흩어졌을 때에 이들을 推刷하는 사무를 맡아보던 임시 관청
입계(入啓) : 계장(啓狀)을 왕에게 올림.
입달(入達) : 왕세자에게 아룀
입대(立待) : 대기시킴
입대마(立待馬) : 대기시켰다가 보충하는 말
입마(立馬) : 말을 대기시킴
입문(入門) : 試場의 문에 듦
입문자(入門者) : 科場에 들어 간 자
입방(入防) : 방비에 들어감
입본(立本) 사리를 탐하여 조세로 받은 쌀을 팔고 이듬해 봄에 쌀값을 싸게 쳐서 백성에게 돈을 꾸어주고 가을에 쌀로 받아 채우는 것.
입비차관(立碑差官) : 병자호란때 청 태종이 仁祖의 항복을 받고 그 지점인 三田渡에 자기의 공덕을 자랑하기 위하여 비석을 세웠는데, 이 三田渡碑를 세우기 위하여 청국에서 파견한 관원
입안(立案) : 관청에서 발급하는 증명서
입역(立役) : 역에 나가도록 함
입지(立旨) : 신청서(申請書) 또는 원서(願書)의 말미(末尾)에 신청 또는 원한 사실을 입증하는 뜻을 부기(附記)한 관아의 증명.
입지자(立旨者) : 증명권자
입파(入把) : 관의 급한 소용(所用)으로 말을 준비하여 둠. 파는 말의 대기, 또는 대기하는 말의 뜻
잉관(剩官) : 남아 도는 관원
잉설(剩設) : 쓸데없이 설치함
잉차(仍差) : 그 직의 임기가 만료된 뒤에도 옮기지 않고 계속하여 그 직을 맡겨둠. 유임. 또는 잉임(仍任)이라고도 함.
자 ․순(慈順) : 慈城 順天
자공(子貢) : 공자 제자
자대(字隊) : 천자문(千字文)의 글자 순서대로 대오의 이름을 붙임
자망(自望) : 해당 장관이 임의로 추천함
자모정식(子母停息) 변리가 붙는 금전 등을 일정한 연한이 지나면 그 이후에는 이식을 더 받지 못하도록 금하는 일.
자목(字牧) : 수령
자문(咨文) : 중국과 왕복하는 외교문서
자문(尺文) : 지방 관아에서 조세를 호조(戶曹)에 바치고 받는 영수증. 곧 조세 영수증.
자문감(紫門監) : 선공감의 職所
자문지(咨文紙중국과 왕복하는 문서를 쓰는 두껍고 단단한 종이
자미성(紫微星) : 북극성
자벽(自辟) : 이조와 병조에서 서임(敍任)하지 않고, 해당 장관이 자기의 뜻대로 사람을 천거하여 아래 벼슬아치로 임명함. 자벽망(自辟望)의 준말.
자벽과(自僻寡) 자체에서 천망하여 충원한 자리.
자보(咨報) : 중국 관아에 대한 통보
자보(資保) 보포(保布)를 내어 실역(實役)에 복무하는 군정을 돕는 보인(保人).
자복(咨復) : 회부).
자복(咨覆) : 회자(回咨)
자봉(自奉) : 스스로 保養
자불자(自不者) : 스스로 포기하여 불등급이 된 자
자비량(自備糧 제 먹을 것을 제가 준비함
자성(粢盛) : 제수용 곡물
자성편(自省篇) : 스스로 반성(反省)하는 글을 적어놓은 책.
자주(咨奏) : 자문과 주문
자직(咨直) : 검문소
자표(咨票) : 자문과 표문
자헌(資憲) : 정2품
자호(字號) : 전결의 번지와같은 것
자회(咨會) : 공문 조회. 자문으로 통보함
작목(作木) : 전세(田稅)를 받을 때 곡식 대신에 무명으로 환산(換算)하여 받음
작문(作門) 파수하는 군사를 배치하여 출입을 단속하는 군영의 문.
작미(作米) : 무명을 쌀로 바꿈. 가포(價布)를 쌀로 바꾸는 것.
작부(作夫) : 결세를 거두어 들이는 방법의 한가지. 8結을 1夫로 대신함
작산(作散) : 실직이 없는 사람
작전(作錢) : 곡식을 돈으로 환산하여 내게 하는 것.
작종(作綜) : 편철(編綴)하여 합침
작지(作紙) : 조세(租稅)에 붙여 받는 세(稅)의 한 가지로, 문서(文書)를 만드는데 쓰이는 종이 값으로 받아들이는 것
작지목(作紙木) : 수수료로 받는 무명
작지역가(作紙役價) : 조세에 붙여 받는 문서종이 값
작청(作廳) : 아전들이 집무하는 곳
작포(作布) : 전세(田稅)를 받아들일 때 미곡(米穀)이 나지 아니하고 베가 나는 곳에는 미곡 대신에 베로 받치게 하는 일.
잔도(棧道) : 산의 낭떠러지에 따라서 나무로 선반처럼 내 매어 만든 길. 절벽(絶壁)과 절벽 사이에 걸쳐놓은 다리의 길.
잔읍(殘邑) : 가난한 읍
잠상(潛商) : 밀거래상
잠상률(潛商律) : 밀수행위 처벌법
잡탈(雜頉) : 자잘한 사유
장경(章京) : 청대(淸代) 만주 지방의 관직 명칭으로, 문서를 관장하였음.
장달(狀達) 지방에 파견된 관원이 대리 청정(代理聽政)하는 왕세자에게 올리는 보고서.
장렬왕후(莊烈王后) : 인조의 계비 趙氏
장률(贓律) : 관원이 부정하게 뇌물을 받거나 직권을 이용하여 재물을 탐한 행위의 죄를 규정한 刑律
장릉(長陸) : 인조와 그 비의 능
장릉(章陵) : 인조의 아버지 원종과 그 비의 능
장리(長吏) : 관사(官司)의 이속(吏屬) 중 우두머리
장리(長利) : 곡식을 꾸어주고 꾸어준 곡식의 절반을 이자로 받는 것.
장마(場馬) : 국영목장의 말
장망(將望) : 장수로서의 인망
장문(狀聞) :임금에게 상계(上啓)하여 주달(奏達)함.
장번(長番) : 교대가 없는 계속 근무
장생전(長生殿) : 궁중의 관재를 맡아 보던 곳
장선(裝船) : 배에 짐을 실음
장안(匠案) 장인 명부
장안령(長安令) 장안(長安)은 지금의 중국 섬서성(陝西省)에 있는 서안(西安)의 고호(古號)로서 서한(西漢)과 당(唐)의 수도가 있던 곳이다. 그곳의 장관을 장안령(長安令) 또는 경조윤(京兆尹)이라 하였는데 우리 나라의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거기에 비의(比擬)하여 그렇게도 불렀다.
장오(贓汚) : 불법으로 뇌물 받는 것
장오수령(贓汚守令) : 탐장(貪贓)질을 한 수령
장옥(場屋) : 科場
장전(帳殿) : 임시로 만든 처소
장전(長田) : 각 역(驛)의 역장(驛長)에게 지급하는 전지.
장점(狀粘) : 장계에 덧붙인 절목(節目)
장죄(贓罪) : 뇌물을 받은 죄
장청(狀請) : 장계로 청함
장초군(壯抄軍) : 장정을 뽑아조직한 군대
장파(狀罷) : 죄를 저지른 수령을 그 도의 감사가 왕에게 장계하여 벼슬을 파면시키는 일.
장포(匠布) : 장인의 번포
재감(裁減) : 헤아려 가볍게 덜어줌
재감(災減) : 재해(災害)를 입은 논밭의 세를 감면(減免)함
재거관(賫去官) : 가지고 갈 관원
재결(災結) : 재해(災害)를 입은 전답
재국(才局) : 능력과 도량
재궁(梓宮) : 임금의 관(棺)
재랑(齋郞) : 참봉의별칭
재상차착(災傷差錯)재 해를 입은 전지의 조사 보고를 사실과 다르게 한 것.
재송(賫送) : 실어보냄
재수(梓樹) : 묘지의 나무
재실(災實) :재결(結)과 실결(實結)
재실분등(災實分等) : 被災의 정도를 9등으로 나눔을 말함
재앙이 연못의 물고기) : (성문에 불이 나자 그 불을 끄기 위하여 못의 물을 퍼감으로써 물고기까지 피해를 본다는 말
재유(在宥) : 無爲로 다스림
재읍(災邑) : 재해로 지정된 읍
재자관(䝴咨官) : 자문(咨文)을 가지고 가는 임시 벼슬. 중국에 보내는 자문을 가지고 가는 사자(使者)임.
재자역관(賫咨譯官) : 자문을 가지고 가는 역관
재조(再造) : 전란에서 구함
재집(宰執) : 실직(實職) 2품
재처(裁處) : 심의 처리
재칙차관(賫勅差官) : 칙서를 가져오는 관원
재택(裁擇) : 생각하여 채택함
재판왜(裁判倭) : 일본 국왕이나 대마도주(對馬島主)가 보내는 사신의 일종. 이 밖에도 특송사(特送使)․별차왜(別差倭) 등이 있음.
쟁집(爭執) 다투어 고집함. 왕(王)의 명령(命令)․처분(處分)을 부당성(不當性)을 지적하여 그것을 취소해 주기를 요구하며 고집하는 것.
저군(儲君) : 다음에 계승할 아들
저보(邸報) : 官報
저사(儲嗣) : 후계자
저승전(緖承殿) : 동궁
저양(儲養) : 미리 양성해서 비축함
저치미(儲置米) : 선혜청에서 비축해둔 곡물
저치미(儲置米) : 저축하여 둔 쌀. 각 지방에 각종 세곡(稅穀)으로 받아들인 쌀을 저축하여 두고 관수 물자(官需物資)의 조달에도 사용하며, 또 춘대 추납(春貸秋納)의 구황(救荒)에도 사용함.
저화(楮貨) 닥나무 껍질로 만든 종이 화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에 만들어서 사용한 적이 있으나 잘 통용되지 못하였고 조선 태종 때에 다시 만들어서 그 가치를 1장에 정포(正布) 1필로 정하였으나 백성들이 신뢰하지 않았으므로《속대전(續大典)》에 의해 국폐(國幣)를 동전(銅錢)으로 바꾸었다.
적간(摘奸) : 부정을 밝힘
적거(謫居) : 귀양살이
적립(赤立) : 공허하고 텅빈 모양
적모(糴牟) : 회수된 보리
적몰선(籍沒船) : 몰수선
적앙(積殃) : 악을 쌓음
적전(籍田) : 임금의 親耕田
적지(赤地) : 발가벗은 땅
적포(積逋) : 오래된 逋欠
전가사변(全家徒邊) : 죄인과 그의 온 가족을 함경도나 평안도 등 국경지방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일.
전개(專价) : 단일 목적만을 위한 신하
전거(錢車) : 돈의 통용에 수레를 사용함
전계(轉啓) : 옮겨 아룀
전곡아문(錢穀衙門) : 선혜청․호조와 같이국고를 관리하는 관청
전곤(專閫) : 도원수
전관(銓官) : 문무관의 전형(銓衡) 사무를 맡아보는 이조와 병조의 관원
전교(傳敎) 교서(敎書)를 번함. 또는 그 교서. 하교(下敎).
전구(前驅) : 先鋒
전국시대(戰國時代) 중국 역사의 시대적 구분을 표시하는 말로서 B.C. 403B.C. 221. 즉 주(周)의 위열왕(威烈王)으로부터 진 시황(秦始皇)이 천하를 통일하기까지의 약 200년간을 말함.
전대(專對) : 사신을 뜻함
전랑(銓郞) : 이조정랑과 병조정랑
전리(專利) : 전매(專賣)
전망(前望) : 그 전의 천거로 후보의 명단에 올라있는 자.
전면전세외잡역(全免田稅外雜役) : 전액 면제된 전세 이외의 잡역
전복(典僕) : 관아에 딸린 노복
전부(銓部) : 이조
전사(傳舍) : 旅館
전삼세(田三稅) : 전지(田地)를 근거로 하여 과하는 전세(田稅)ㆍ대동미(大同米)ㆍ군포(軍布)의 삼세. 전세는 전지에 과하는 세. 대동미는 현물로 바치는 모든 공물(貢物)을 미곡으로 환산하여 밭과 논 1결(結)에 대해서 일정한 양(量)을 거두어들이는 쌀. 군포는 군적(軍籍)에 있는 자가 병역 대신으로 바치는 삼베와 무명. 소유전지의 다과(多寡)에 따라 수량이 다름
전석(磚石) : 벽돌
전석(前席) : 임금의 앞자리
전송(轉送) : 간접적(間接的)으로 남의 손을 거쳐 보냄.
전수(典守) : 맡아서 관리함
전수관리(典守官吏) : 관리책임이 있는 관리
전시(殿試) : 복시(覆試)에서 선발된 문과 33명과 무과 28명에게 왕이 몸소 보이는 과거. 복시의 합격으로 과거의 급제는 결정되고 전시는 다만 급제의 순위를 정할 뿐임.
전알(展謁) : 절하고 뵘
전위(餞慰) : 중국 사신이 돌아가는 도중에서 전송하며 위로하는 것
전유(傳諭) : 왕의 유지(諭旨)를 의정(議政) 또는 유현(儒賢)에게 전함.
전인(廛人) : 가게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 점원.
전장문서(傳掌文書) : 인계서류
전재(全災) : 재해를 인정하여 세를 전면 감면함
전조(銓曹) : 이조와 병조
전좌(殿坐) : 親政 ․朝賀 ․親閱 때에 正殿 또는 親閱臺의 玉座에 나와 앉음. 친열의 경우 신하들은 모두 戎服을 입음
전차(專差) : 이 일만을 위한 차인
전촉(箭鏃) 화살촉
전최(殿最) : 관찰사가 각 고을 수령의 실적을 조사하여 중앙에 보고하는 일, 성적을 고사할 때 上을 最라 하고 下를 殿이라 하여 매년 6월 15일과 12월 15일 두 차례에 걸쳐 시행하였음
전함(前銜) : 전직. 전에 벼슬의 직함을 띠고 있던 자).
절가(折價) : 환산
절과(竊科) : 부정한 방법으로 과거에 입격함
절목(節目) : 법의 조목
절반 유치법(折半留置法) : 정부에서 양곡을 춘궁기에 백성들에게 대여하고 추수 후에 일정한 이자를 붙여서 회수하여 보관하는 것을 환곡이라 하는데, 이 환곡을 대출할 적에 절반을 창고에 유치해 두도록 정한 법을 말함.
절사(節使) : 동지․정조․성절에 상례로 보내는 사신
절새(絶塞) : 먼 변방 지역
절선(節扇) : 端午에 선사하는 부채
절선(節扇) : 합죽선
절수(折受) : 임금에게서 자기 몫으로 땅이나 결세(結稅)를 떼어 받음
절은(折銀) : 은가로 환산
절전(折錢) : 돈으로 換算함
절족(切族) : 아주 가까운 일가
절책(折責) 折券棄責의 준말로 빚을 다 갚는다는 뜻. 여기서는 궁각을 샀던 빚을 다 갚으면 장 1백을 판(板) 40대로 한다는 뜻
절하(節下) : 휘하
절행(節行) : 절일(節日)의 사신 행차
절혜지전(節惠之典) : 시호를 내리는 은전
절화(絶火) : 끼니를 잇지 못함
점계(粘啓) : 증거나 참고가 될 만한 문서를 첨부하여 아뢰는 일.
점고(點考) : 장부를 대조하면서 고찰(考察)함.
점련(粘連) : 관련 서류를 덧붙임
점마(點馬) : 點考를 마친 말
점목(粘目) : 계본(啓本)에 덧붙인 절목(節目)ㆍ사목(事目)ㆍ조목(條目) 등
점미가(粘米價) : 찹쌀 값
점보(粘報) :참고 서류를 붙인 보고서
점시(點試) : 사열과 훈련
점열(點閱) : 점고하고 사열함
점이(粘移) : 증거 서류(證據書類)나 원공문(原公文)을 첨부(添付)하여 이문(移文)을 발송함
점퇴(點退) : 공물(貢物)의 규격 검사에서 불합격되어 수납(收納)하지 아니하는 일
점하(點下) : 추천문서나 품목들의 해당하는 곳에 점을 찍어 결정을 나타내는 일.
접본(摺本) : 책장을 베지 않고 긴 것을 차례차례 접어서 만든 책.
접위관(接慰官) : 일본 사신을 영접․위로하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하는 관직.
접위관(接慰官) : 일본 사신을 영접․위로하기 위하여 임시로 임명하는 관직.
접제(接濟) : 도와줌. 살림살이에 필요한 물건을 차려서 살아나갈 방도를 세움.
정(征) : 조세
정(程) : 걸어서 당도하는 길
정간(井間) : 비율과 같은 말. 줄이나 간격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줄을 정(井) 자 모양으로 친 것.
정강(靖康) : 흠종(欽宗)의연호
정경(正卿) : 조선왕조 때 정2품 이상의 관직에 있는 의정부, 좌․우참찬관, 육조판서, 한성판윤, 홍문관 대제학 등을 말함
정계(停啓) : 사헌부․사간원에서 임금에게 이미 처벌한 죄인의 성명․죄명 등을 적어서 상주하는 서류 가운데에서 죄인의 이름을 지우는 일
정고(呈告) : 휴가를 신청함
정공(正供) : 정당한 부담이라는 뜻으로 부세(賦稅)ㆍ방물(方物)의 일컬음
정관(政官) : 이조(吏曹)와 병조(兵曹)에 딸리어 문ㆍ무관의 전형(銓衡)을 맡아보는 관원. 전관(銓官)
정국(庭鞫) : 궐 안에서 신문하는 일
정급(定給) : 책정해 줌
정당(停當) : 결정
정라선군병(征羅禪軍兵) : 나선정벌에 출정한 군사. 나선정벌은 孝宗 때 淸을 도와 러시아를 친 싸움임
정로위(定虜衛) 북방 방비를 위해서 한량(閑良) 1천 명을 뽑아 편성한 군대.
정론(正論) 한 문제(漢文帝) 때에 고묘(高廟)의 어좌(御座) 앞에 있는 옥환(玉環)을 훔친 자가 있어 법관 장석지가 기시(棄市)의 형에 처해야 한다고 아뢰니, 문제가 크게 노하여 사람이 무도하여 선제(先帝)의 어기(御器)를 훔쳤는데 겨우 기시란 말인가? 족주(族誅)해야 한다고 하니, 장석지가 말하기를 가령 어리석은 백성이 장릉(長陵한 고조(漢高祖)의 능침(陵寢)의 한줌 흙을 팠다면 어떤 벌을 가하시겠습니까? 하고 아뢰므로 문제가 노여움을 풀고 장석지의 주견을 받아들였다는 고사.
정릉(貞陵) : 태조 계비 강씨의 능
정명수(鄭命壽) : 역관으로 청국에 가 있음
정목(政目) : 관원(官員)들의 임명(任命) 해임(解任), 그 밖의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문서. 인사 이동자 명단
정목(正木) : 품질이 썩 좋은 무명
정묘(丁卯)년 변란) : (정묘년 변란 1627년에 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우리나라와 후금 사이의 싸움. 丁卯胡亂
정문(呈文 하급 관청에서 상급 관청에 보내는 공문서. 주로 동일한 계통의 관청사이에 행하는 데, 한 면(面)에 다섯줄로 쓰는 것이 특징임
정백미(精白米) : 잘 찧은쌀
정백자(程伯子) : 정호(程顥)의 별칭
정범(正犯) : 주범
정봉(定封) : 결정하여 봉함
정봉(停捧) : 징수 중지
정부(丁夫) : 군정(軍丁)의 의무가 있는 자
정부재향록사(政府在鄕錄事) : 녹사로서 지방 관아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직무없이 입번(入番)을 대기하고 있는 녹사. 그 중에는 군역을 피하기 위하여 녹사 차첩을 받은 자가 많으며 중추원 녹사는 정원이 60명인데 800여 명에 달했으며 서울에 입번하는 녹사는 5, 6명에 불과했다.
정사(鄭使) : 鄭命壽를 말함
정사(呈辭) 사직(辭職)ㆍ청가(請暇) 등의 원서(願書)를 관(官)에 제출(提出)하는 일
정사(政事) 정치(政治)에 관한 여러 가지 사항. 특히 관원(官員)의 임명(任命)과 출척(黜陟)에 관한 일
정사공신(靖社功臣) : 인조반정 때의 공신
정삭(正朔) : 본래 정월 초하루라는 뜻인데 제왕이 반포하는 曆書를 지칭. 새로 나라를 세우면 이를 고쳐 천하에 반포하였다
정산(定算) : 정해진 계획
정삼수(精三手) : 포수, 사수, 살수
정석(鼎席)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자리
정선(征繕) : 租稅를 거두어 車馬 ․甲兵을 증강시키는 일. 정은 조세, 선은 증강을 뜻함
정섭(靜攝병을 요양함
정순(呈旬) : 낭관(郎官)이 사임하려고 할 때에는 10일에 한 번씩 세 번을 계속하여 소속 상관에게 사임원서(辭任願書)를 제출함. 또는 그러하는 일
정시(庭試) :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에 대궐 안에서 보이는 과거.
정안(政案) : 전․현직 관원의 신상명세서
정액(定額) : 定員
정어(鼎魚) : 곧 죽게 된 목숨
정여립(鄭汝立) 기축옥사를 일으킨 사람 선조 22년 圖讖說을 만들어 난을 일으켰다가 패하여 진안 竹嶋에서 자살함
정우(丁憂) : 상을 당함
정은(丁銀) : 가장 나쁜 은. 순도는 70%
정자산(鄭子産)이 …… 속임을 당한 것) : 정(鄭)나라 자산(子産)이 선물 받은 물고기를 교인(校人)에게 못에 기르게 하였는데, 교인이 삶아 먹고 그럴 듯하게 거짓으로 꾸며서 보고하여 속은 것을 말함.
정장(呈狀) : 소장(訴狀)을 관아(官衙)에 바침. 특히 벼슬을 사양하거나 말미를 청하거나 할 때의 원서(願書)를 말함. 정소(呈訴
정전(丁錢) : 승려(僧侶)가 되려는 자가 도첩(度牒)을 받을 때에 군포(軍布)의 대신으로 바치는 돈. 정포(正布) 20필값을 바침.
정조(正租) : 벼
정조(政曹) : 조선조 때 중앙 관제의 육조(六曹) 가운데 문관의 인사를 총괄하는 이조(吏曹)와 무관의 인사를 총관하는 병조(兵曹)를 합쳐서 일컫는 말.
정조시(停朝市) 국상(國喪)이 있거나 대신(大臣)의 장례, 비상의 재변이 있을 때 조정(朝廷)의 조회(朝會)를 정지하고 시장을 철시(撤市)하는 일.
정채(情債) : 시골의 아전이 선혜청(宣惠廳)이나 호조(戶曹)의 서리에게 어떤 일을 청탁하고 정례를 주는 돈
정철(正鐵) : 잡철(雜鐵)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무진동(銅). 시우쇠.
정청(政廳) : 전관(銓官)이 궁중에서 정사를 행하는 것. 이조와 병조가 따로 있음
정청(庭請) 세자(世子), 또는 의정(議政)이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궁정(宮庭)에 이르러 대사(大事)를 계품(啓稟)하여 전교를 기다림.
정초보인(精抄保人) : 정초군(精抄軍)에 딸린 보인, 정초군은 총융청에 딸린 (束伍軍) 중에서 가려 뽑은 군대로 병자호란 때 창설되었음.
정칙사(鄭勅使) : 鄭命壽
정탈(定奪) ① 임금의 재결(裁決). ② 신하들이 올린 몇 가지의 논의(論議)나 계책(計策) 가운데에서 임금의 가부(可否)를 논해서 그 어느 한 가지만 택함.
정파(停罷) : 폐지
정포(丁布) : 군정(軍丁)이나 공역(公役)에 종사할 장정이 군역ㆍ공역 대신으로 바치는 무명이나 베
정헌(正憲) : 정2품
제교대(除交代) : 新 ․舊任의 인수 ․인계 절차를 특별히 除免함
제급(題給) : 제사(題辭)를 매기어 내어줌. 지령(指令)을 내어 줌
제급(題給) : 제출한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에 제사(題辭)를 매기어 내어 줌. 지령(指令)을 내어 줌.
제독(提督) : 교육을 감독ㆍ장려하는 관원. 조선조 14대 선조 19년(1586)에 시작하여 팔도(八道)에 한 사람씩 두어 관하 각 향교의 학사(學事)를 감독케 하다가, 25년(1592) 겨울에 폐지함. 훈도(訓導
제릉(齊陵) : 태조비 신의왕후의 능
제방(除防) : 제대
제방미(除防米) : 군인이 복무 연한을 마치고 제대하거나 교체할 때 지급하는 쌀.
제방포(除防布) : 군인이 복무 연한을 마치고 제대(除隊) 할 때나 교체(交替)할 때에 지급하는 무명이나 베
제번전포(除番錢布) : 번드는 일을 면제 받는 대신에 바치는 돈이나 베
제사(題辭) : 백성이 낸 訴狀이나 願書 등에 기록하는 官府의 판결이나 指令. 題旨
제색(諸色) : 각종담당부서
제서(制書) : 임금의 어보(御寶)가 찍힌 글
제송(除送) : 덜어서 보냄
제송(題送) : 제사(題辭)하여 보내다
제언[堤堰]) : 둑
제원(諸員) : 수장제원(守藏諸員)과 장책제원(粧冊諸員)의 약칭. 제원은 교서관(校書館)에 따린 잡직(雜織)의 하나
제주(題奏) : 題本과 奏本의 합칭. 제본은 兵刑錢穀)등 공사에 주본은 私事에 관한 상주서
제주(製奏) 글을 지어 아룀
제주 세 고을〔三邑〕) : 제주․대정(大靜)․정의(旌義
제출(除出) : 파견
조[租] 벼
조가(朝家) 조정(朝廷).
조간자(趙簡子) : 전국시대(戰國時代) 진(晋)의 대부(大夫)
조감(照勘) : 대조검사
조곡(糶穀) 환상(還上) 제도에서는 봄에 각 고을의 사창(社倉)에서 창고에 있는 곡식의 반(半)을 백성들에게 꾸어 주고 가을에는 이자를 얹어서 받아들이는데, 조곡은 봄에 창고의 곡식을 백성들에게 꾸어 주는 일
조관(照管) : 남의 물건을 맡아서보관하는 것
조군(漕軍) : 조운(漕運)에 종사하는 사람
조내(造乃) 풀이나 나뭇단의 큰 묶음을 세는데 쓰는 단위의 명칭. 겁내(迲乃). 자래․자네의 차자(借字)임. 6태()가 1겁내(迲乃).
조단(照斷) : 죄인에 해당되는 법조문을 적용하여 판결함
조도(調度) : 수요와 공급
조등(刁蹬) 교활(狡猾)하고 자기 의사를 고집하는 것. 刁狡也, 蹬推也(六部成語 刁蹬注解) : 농간을 부림
조량목(助粮木) 시장에서만 쓰던 상목(常木). 길이나 너비가 매우 짧으며 거칠다
조례(照例) : 전례를 참조하는 것
조명(朝命) : 조정의 명령
조미(糶米) : 환상미(還上米
조발(調發) : 동원
조병절목(調兵節目) : 병사 동원 규정
조보(朝報)승정원에서 처리한 사항을 매일 아침 적어서 각 관아에 통보하는 것. 기별(寄別)․난보(爛報)․조지(朝紙)라고도 하며 오늘날의 관보(官報)와 같음.
조봉대부(朝奉大夫) : 종4품의 품계
조빙(朝聘) : 군신이 예로 교제함
조사(詔使) : 중국사신
조사(朝辭) 지방관에 임명된 자가 조정에 나아가 왕에게 사은숙배하고 하직하는 일.
조삼(造蔘) : 수삼(水蔘)을 가공하여 다듬는 일. 곧 수삼을 찌고 다듬고 하여 홍삼(紅蔘)이나 백삼(白蔘)으로 만드는 일. 또 그렇게 만든 삼.
조신 장복(朝臣章服) : 조신(朝臣)의 관대(冠帶). 벼슬아치의 공복(公服).
조신(朝紳) : 고위직 관료
조예(皂隸) : 하인
조용(調用) : 登用
조운(漕運 수상(水上)운송
조유(詔諭) : 깨우쳐 주심
조의(朝議) : 조정의 의논
조적(糶糴) : ① 환곡을 방출하고 수납하는 것. ② 양곡의 매매(賣買). ③ 환자(還上
조전(漕轉) : 수로(水路) 운송
조전사목(漕轉事目) : 해상 수송에 관한 규정
조죽(祖竹) : 왕대
조참(朝參) 매달 초 5일, 11일, 21일, 25일의 네 차례에, 모든 문무 관원(文武官員)이 검은 옷을 입고 근정전(勤政殿)이나 인정전(仁政殿)에서 임금에게 문안드리고, 정사를 아뢰는 일.
조천(祧遷) 종묘의 본전(本殿) 안의 위패를 영녕전으로 옮겨 모시는 일.
조충국(趙充國) : 한나라 선제(宣帝) 때 용장(勇將)으로 70여 세의 나이로 서강(西羌)의 반란을 평정하기 위해 출정했는데 금성(金城)에 이르러 조정에 방략(方略)을 올린 후 둔전(屯田)을 설치하고 돌아왔음.
조태후(趙太后)가 장안군(長安君)을 내보낸 경우(秦나라 莊襄王의 왕후로서 장양왕이 죽고 진시황이 즉위함에 미쳐 황태후가 되었음. 당초 조태후의 성명은 趙姬로서 呂不韋의 소실이었는데, 여불위의 간계로 인하여 임신 2개월만에 당시 趙나라에 볼모로 잡혀왔던 진나라 昭襄王의 왕손 (異人) : 뒤에 장양왕이 되었음)에게 개가하여 임신 11개월만에 아들을 낳았다. 그가 후일에 진시황이 되었고 이인에게 출가한 후에 長安君 成嶠를 낳았음. 진시황 7년에 이르러 조 나라를 정벌할 때 장안군 성교와 장군 樊於期는 후속부대로서 5만 군병을 이끌로 참전하게 되었다. 번어기는 이 기회를 타서 진시황은 여불위의 아들이요, 장안군이 선왕의 아들임을 밝히고 장안군을 추대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로 돌아가자 燕나라로 망명하였다. 장안군을 사로잡혀 극형에 처하게 되니 조태후는 장안군의 목숨을 살려주기를 간청하였다. 그러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장안군을 마침내 자결하였으니, 나이 겨우 17세였음
조판(措辦) : 조달
조포(措捕) : 조치하여 체포함
조흘(照訖) : 서로 맞대어 보아 살핌
족징(族徵) : 조선조 때 조세(租稅) 징수(徵收) 방법의 하나. 지방 고을 이속(吏屬)들이 공금(公金)이나 관곡(官穀)을 포흠(逋欠)했거나 군정이 도망․사망하여 군포세(軍布稅)가 축났을 때에 이를 대충하기 위하여 억지로 그 일족에게 추징하는 일.
졸경(卒更) : 순라군(巡邏軍)이 밤을 경계하느라고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하고 도성(都城) 안을 돌아다님의 일컬음.
종경(從輕) : 되도록 가볍게
종계변무(宗系辨誣) 고려말에 윤이(尹彛)․이초(李初)가 이성계(李成桂)에게 죄를 짓고 명(明)나라로 도망가서 이성계가 고려의 권신(權臣) 이인임(李仁任)의 아들이라고 고하여《대명회전(大明會典)》에 이인인(李仁人) 또는 이인임으로 실리게 되었다. 세조 때부터 이를 정정해 달라고 주청사를 보내기 시작하여 역조(歷朝)를 내려오면서 수십 번을 청하였으나 개간(改刊)할 때에 고쳐주겠다는 약속만 받고 고치지 못하다가 선조 17년 개간하는 기회를 타서 변무사를 보내서 주청하여 마침내 뜻을 이루고 논공 행상하였으며 백관에게 가자(加資)하고 사(赦)까지 베풀었으나 원문(原文)을 고친 것이 아니라 변무한 사실만 주(註)로 달았으므로 청대(淸代)에까지 말썽이 되었다.
종략(從略) : 간략히
종량(從良) : 천인을 양민이 되게 함. 종모허량 從母許良
종모허량(從母許良) : 어미를 따라 속량(贖良)하여 줌).
종무(鍾巫) 종(鍾)은 땅 이름이고 무(巫)는 무당인데, 무당이 제사를 지내는 자리라는 뜻. 춘추시대 노(魯)의 은공(隱公)이 종무더러 제를 올리게 하여 제사에 참례하고자 위씨(蔿氏) 집에 머물러 있는데 신하인 우부(羽父)가 자객을 시켜 죽였다.《좌전(左傳)》
종반(從班) : 시종관인 승지 등을 말함
종반(宗班) : 종친으로서 동․서반의 품계를 가진 자
종신(從臣) : 陪從臣
종신(宗臣) : 나라에 큰공을 세운 사람. 왕족(王族)으로서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
좌규(左揆) : 좌의정
좌기(坐起) : 관청(官廳)의 으뜸 벼슬에 있는 이가 출근(出勤)하여 일을 보는 것.
좌기 빈대(坐起賓對) : 관청의 우두머리가 사진(仕進)하여 일을 보는 것을 좌기(坐起)라 하고, 빈대(賓對)는 차대(次對)로 매월 여섯 차례 정부당상(政府堂上)과 대간(臺諫)․옥당(玉堂)들이 입시하여 중요한 정무를 상주하는 일.
좌기시(坐起時 관청의 으뜸 벼슬에 있는 이가 출근하여 일을 보는 시각
좌막(佐幕) : 裨將
좌목(座目) : 자리의 차례를 적은 목록.
좌부령(左副令) : 좌부승지
좌부좌단자(坐不坐單子) : 좌기를 열 때 당상관이나 官長이 좌기에 참석하였는지의 여부를 기록한 문서
좌아(坐衙) : 관아(官衙)의 수관(首官) 또는 당상관(堂上官) 이상의 출근 집무(出勤執務)를 이르는 말. 회의에 참석하는 것에 대한 호칭(號稱)이 지위에 따라 달라 장관(長官) 또는 당상관 이상은 좌기(坐起), 낭관(郎官)은 사진(仕進)이라 함.
좌이(佐貳) : 행정 6조(六曹)의 참판(參判)과 참의(參議), 기타 각 관사(官司)의 차석의 일컫음.
좌척(左隻) : 병부(兵簿)의 왼쪽 짝
주객(主客) : 주민과 유배된 죄인)
주광(紸纊) : 면류관
주급(周急) : 급박한 일을 구하여 줌
주뢰(周牢) : 주리를 트는 형벌. 죄인의 두 발목을 한데 묶고 다리 사이에 두 개의 주릿대를 끼워 엇비슷이 비트는 형벌.
주리(做吏) : 물품을 만드는 이속
주무상토(綢繆桑土) : 미리미리 대비한다는 뜻. 주무는 얽는다는 말 상두는 뽕나무 뿌리로서 음우가 내리기 전에 미리 뽕안무 뿌리를 벗겨다가 둥지의 틈을 막는 다는 시경의 한 구절에서 나온 말
주문(主文) : 대제학의 별칭
주문지신(主文之臣) : 대제학
주변(籌邊) : 국경의 방비대책
주병(主兵) : 병조
주병관(主兵官) : 병조
주사(籌司) : 비변사
주사(舟師) : 수군
주사(晝仕) : 출근
주쉬(主倅) : 그곳 수령
주아부(周亞夫) : 漢 文帝 때의 장군 이름
주연(冑筵) : 왕세자가 글을 읽거나 강론하는 자리
주원(廚院) : 사옹원
주의(注擬) : 관원을 임명할 때, 후보자 세 사람을 정해 임금에게 올리는 것.
주인(主人) : 船主人
주장(主將) : 一軍의 總將
주전(廚傳) : 주는 음식(飮食), 전은 거마(車馬)의 뜻. 지방에 나가는 관원에게 경유(經由)하는 역참(驛站)에서 음식과 거마를 제공하는 것.
주착(做錯) : 잘못을 알면서 저지른 허물
주초(朱草) : 시관이 응시자의 시험지에 성적을 붉은 글씨로 매김.
주포(紬布) : 세목(細木)
주필(硃筆) : 붉은 글씨
주필(駐蹕) : 임금이 나들이하는 도중에 거가(車駕)를 잠시 멈추고 머무르거나 묶는 일
주회인(走回人) : 적으로부터 돌아온 사람
주획(籌劃) : 대책을 수립함
죽사(竹篩) : 대체
준가(准可) : 임금의 승인).
준겸(浚謙) : 한준겸
준봉(准封) : 국왕으로 승인함
준삭(準朔) : 일정한 달수가차는 것
준원전(濬源殿) :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에 있는 조선(朝鮮)의 발상을 기념한 전각.
준직(准職) : ① 품계(品階)가 서로 알맞은 관직(官職)의 일컬음. ② 당하관(堂下官)으로서 가장 높은 당하(堂下). 정3품 벼슬
준청(準請) : 청을 비준함
준허(準許) : 청원에 의하여 임금이나 관청에서 허가하는 것. 의시(依施).
중강후시(中江後市) 의주(義州)의 중강(中江)에서의 사무역(私貿易).
중곤(中壼) : 황후의 내전이란 뜻
중구(重究) : 범죄사실을 엄중하게 究覈함
중권(中權) : 중군(中軍)과 같다. 군병(軍兵)을 중군(中軍) 좌군(左軍) 우군(右軍)으로 나누어 중군에서 발호시령(發號施令)을 주관하였음.
중기(重記) : 사무를 인계할 때에 전하는 문서
중기문서(重記文書) : 인수 인계 문서
중도부처(中途付處) : 가는 중간지점에 머물러 있게 하는 처분.
중동(中冬) : 겨울의 한창때인 음력 11월
중률(重律) : 중벌
중목(中木) : 중질의 무명
중문(重門) : 2중문
중병(重兵) : 大兵
중부등(中不等) : 중간 크기의 재목(材木
중비(中批) : 전형을 거치지 않고 왕의 특지(特旨)로 관원을 임명하는 일.
중사(中使) : 구중에서 왕의 명령을 전하는 내시(內侍)
중서(中書) : 척사 밑에 있는 관원
중서(中暑) : 더위로 인하여 두통(頭痛)․체온 상승(上昇)․맥박 미약 등의 증세가 나고, 심하면 까무라쳐 인사 불성에 빠지는 병.
중순(中旬) : 무과의별칭
중순시(中旬試) : 무과(武科)의 하나
중시(重試) : 문과(文科) 당하관(堂下官)을 위하여 둔 과거. 10년에 한번씩 실시하였으며, 이 시험에 합격한 사람은 당상(堂上) 정3품으로 올려 주었음.
중옥(重獄) : 중대사건
중원(中原) : 중국
중일(中日) : ① 日辰에 子․午․卯․酉가 든 날. ② 중일시 (中日試)
중일수첩(中日受帖) : 중일시사(中日試射)에 합격하여 職帖을 받음. 중일은 일진에 子․午․卯․酉가 든 날을 말함.
중일시재(中日試才) : 子․卯․午․酉일에 보이는 무재 시험
중일제(中日製) : 일진(日辰)에 자(子)․오(午)․묘(卯)․유(酉)가 든 날 즉 중일(中日)에 행하는 사격술 시험, 중일시사.
중조(中朝) : 명나라를 지칭함
중포(中脯) : 제사에 쓰는 어육(魚肉)의 포
즉묵(卽墨) : 즉묵은 전국시대 齊나라 고을인데, 田單이 이곳에서 燕나라 군사를 크게 물리치고 지키는데 공을 세웠다 하여 즉묵이란 성을 하사하였다.<史記> 田敬仲世家에 威王이 卽墨大夫)를 불러 萬家를 봉해 주었다 하였다.
증경감사(曾經監司) : 일찍이 감사직을 경유한 자
증광무과(增廣武科) : 경사가 있을 때 보는 무과
증미(拯米) : 물에 빠졌다가 건져낸 쌀. 조운선(漕運船)의 난파(難破)로 인한 증미는 지방관(地方官)이 이것을 지방민에게 나누어 주고 그 대신 새 쌀을 받도록 되어 있음
증열미(拯劣米) : 물에서 건져낸 쌀
증작삼보(增作三保) : 첨가하여 삼보로 만듬
지가(知家) : 고관이 지나가는 앞을 가로 질러 먼저 지나간 사람을 붙잡아 얼마동안 길가의 집에 맡겨 두어 행동을 제한하는 일.
지공(支供 접대(接待), 공궤(供饋)
지관사(知館事) : 지성균관사의 약칭
지난(持難) : 일을 과단성 있게 처리하지 못하고 미루기만 하는 것.
지남침(指南鍼) : 나침반).
지대(支待) : 지방에 출장한 고급 관원의 음식물ㆍ일용품을 지방의 관아에서 공급하는 것.접대
지대(支待) : 공사(公事)로 인하여 시골로 나가는 높은 벼슬아치의 먹을 것과 쓸 물건을 그 시골 관아에서 제공하는 것.
지릉(智陵) : 翼祖의 능
지만취복(遲晩取服) : 죄인이 죄를 자복(自服)함. 지만은 죄인이 너무 오래 속여서 미안하다는 뜻.
지목(地木) : 품질이 중간인 베
지배(地排) : 자리 밑에 까는 풀섶
지부(地部) : 호조
지사(知事) : 知經筵事를 줄여서 쓴 말
지사(枝査) : 지동관(枝同官)과 사동관(査同官). 지동관은 과거시험 답안지를 시(詩) ․ 부(賦) ․ 표(表) ․ 책(策)으로 분류하여 정리하는 관원이며, 사동관은 응시자의 시험지와 역서(易書)하다가 잘못 쓰여진 것을 조사하는 관원임.
지삼(枝三) : 썬 담배
지삼남초(枝三南草) : 가늘게 썰은 담배
지서(支庶) : 서자와 분가한 혈족
지성측달(至誠惻) : 지성으로 불쌍하게 여김
지속(紙束) : 종이묶음
지수(祗受) : 임금의 명을 받음
지신(知申) : 도승지의 별칭
지언(知言) : 사리를 아는 말
지위(知委) : 명령을 내려 알려 줌.알림
지위(知委) : 통지나 고시 따위의 형식으로 명령을 내려 알려줌.
지응수령(知鷹守令) : 매에 관한 일을 맡은 수령
지의(紙衣) : 솜 대신 종이를 두어 서 만든 겨울 옷. 防寒 장비로 병사가 입었음
지장(誌謚) : 墓誌와 行狀
지정(支定) : 작정의 뜻
지지(紙地) : 종이
지차(之次) : 차위(次位). 버금
지칙고(支勅庫) : 칙사 접대용으로 비축하는 창고
지토선(地土船) : 그 지방 토민(土民)이 가지고 있는 배
지패(紙牌) : ① 일반인의 신분증. 호패제도(戶牌制度)를 시행하기 전에 있었던 제도. 남자 16세 이상이면 다 지패를 차야했음. ②종이로 만든 금란패(禁亂牌). 금제 사항을 단속하기 위하여 금리(禁吏)를 내보낼 때에는 나무로 된 금란패를 차게 하였음. ③ 옛날 중국의 놀잇감의 한 가지. 종이 조각에 인물ㆍ새ㆍ짐승ㆍ벌레ㆍ물고기ㆍ글자 등을 그리고 숫자를 붙인 것으로 을종의 도박기구
지회(知會) : 서로 알림. 통지함. 조회(照會)함
지희자옥(只希自玉) : 자중자애하길바랄 뿐
직(稷) : 곡신(穀神)
직관(直關) : 직접 공문을 발송함
직방(直房) : 조신(朝臣)들이 조회(朝會)의 시각(時刻)을 기다리는 곳. 궁문(宮門)의 옆에 있음조신들의 대기실. 조방(朝房
직부(直赴) : ① 전강(殿講)․절일제(節日製)․황감제(黃柑製)․응제(應製)․통독(通讀)․외방 별과(外方別科) 등에 입격한 사람이 문과의 복시(覆試) 혹은 전시(殿試)에 응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일. ② 승보(陞補)․사학 합제(四學合製)․공도회(公都會) 등에 합격한 사람이 생원․진사시의 복시에 응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일. ③ 권무과(勸武科)․외방 별과(外方別科)에 합격한 사람이 무과의 전시에 나아갈 수 있는 자격을 얻는 일. ④ 과거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을 하지 못한 사람을 일컫는 말.
직수(直囚) : 直囚衙門 곧 병조․형조․한성부․사헌부․승정원․장례원․종부시․관찰사․수령 및 비변사․포도청 등 죄인을 직접 가둘 권한이 있는 아문에서 가둔 죄인을 일컬음
직정(直定) : 상사(上司)를 거치지 않고 아래에서 임원(任員)을 곧바로 지정(指定)하는 것.
진(秦)의 요구전국시대에 진은 강제로 남의 땅을 요구하여 합병하였다.
진결(陳結) : 陳田에 대한 결세
진경(秦鏡) : 秦의 始皇帝가 사람의 善惡과 邪正을 비추었다는 거울
진고(進告) : 신고
진공(進貢) : 공물을 바침
진기(陳起) : 묵은 전답을 다시 경작한 것. 陳田과 起耕田. 진은 전전 즉 廢耕田 즉 개간하여 경작하기 시작한 전지를 말함
진념(軫念) : 존귀한 사람이 아랫사람의 사정을 걱정하여 생각함. 흔히 임금이 백성을 생각 하는 뜻으로 사용함.
진대(賑貸) : 재난이나 흉년이 든 해에 나라의 곡식을 풀어서 어려운 백성에게 꾸어주는 일.
진독(進督) : 나아가 督察함
진래(進來) : 관아의 예속을 체포할 때 그 까닭을 미리 해당 관아에 통지하는 일.
진몰(陣歿) : 전사
진무영(鎭撫營) : 강화도(江華島)에 설치한 해방군무(海防軍務)를 관장하는 군영(軍營).
진물(鎭物) : 백성을 안정시킴
진미(賑米) : 구호용 쌀
진배(進拜) : 물품을 진상함
진보(鎭堡) : 각처의 군영(軍營)을 일컫는 말. 함경도․평안도의 변경에 있는 각 진(鎭)을 일컫는 말.
진부전(進不進) : 참석여부
진부진 단자(進不進單子) : 회의에 참진(參進)하는 자와 참진하지 않는 자의 명단(名單)을 적은 문서.
진부진(進不進) 단자(單子) : 참진(參進)한 자와 참진하지 않은 자의 명단(名單)을 적은 문서. 출석여부를 적은 별지.
진서(眞畵) : 한문
진선(津船) : 나룻배).
진선(進善) :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소속한 벼슬.
진성(陣省) : ① 백성들이 관가(官家)에 낸 청원(請願)이나 진정서(陳情書)의 일컬음. ② 지방 관아(官衙)가 상부 관사(官司)에 보내는 물품 명세서(明細書)
진소(陳疏) : 상소
진소어(眞蘇魚) : 참 밴댕이
진소어세(眞蘇魚稅) : 眞魚․蘇魚의 稅. 蘇魚는 밴댕이를 말함
진시(陳試) : 초시(初試)에 급제한 사람이 사정이 있을 때 예조에 고하고 다음 기회의 회시(會試)에 응시하는 것.
진신조열(縉紳朝列) : 조정대신
진양(晉陽) : 중국 요임금이 처음에 수도로 삼았던 곳. 후에 당나라 고조가 진양에서 의병을 일으켜서 천하를 평정했음. 이러한 중국의 고사에 연유하여 방위의 요새지의 뜻으로 쓰였으며 주로 강화․남한산성․북한산성을 진양이라 칭하였다.
진위(振威) : 진위장군
진자(賑資) : 진휼에 필요한 물자
진재(陳災) : 묵은 땅
진전(陳田) : 묵은 전지(田地)
진전(眞殿) : 선원전(璿源殿)의 다른 이름
진제(賑濟) : 구제사업
진지관(進止官) : 머무르고 나아감을 지휘하는 관원
진참(進參) : 나와서 참석함
진척(秦瘠) : 아무 관계없는 일로 보는 것의 비유
진퇴(進退) : 과거에 급제하면 경사인 만큼 급제한 자가 선배들에게 술과 음식을 제공하는데 선배들이 술을 마시면서 장난기로 급제가 얼굴에 먹을 칠하기도 하고 뜰에서 오리걸음을 걸어라 까치 걸음을 걸어라는 등의 회통을 가하는데 이를 진퇴라고 함
진향사(進香使) : 중국에 국상(國喪)이 났을 때 진향(進香)하러 보내는 사신.
진황(陳荒) : 田地를 묵힘
집구(縶駒) : 떠나려는 사람을 말리기 위하여 타고 갈 망아지를 붙들어 둔다는 뜻으로, 賢者가 떠나지 않도록 정성을 다함을 일컬음
집물(什物) : 살림에 쓰는 기구. 집기
집복(執卜) : 농작물(農作物)의 잘 되고 못된 것을 실지 답사(實地踏査)하여 당의 구실을 매기는 일
징갱(懲羹) : 끓는 국에 데인 사람은 냉국을 보고도 조심함
징구(徵求) : 재물을 강요함
징속(徵贖) : 贖錢을 징수함
징일여백(懲一勵百) : 한 사람을 징계하여 여려 사람을 격려함.
징채(徵債) : 채금(債金)을 징수함. 빚준 돈을 받아들임
징태(澄汰) : 도태시킴
차강인의(差强人意) : 약간 든든하게 하여줌
차견(差遣) : 임명하여 보냄
차관(差官) : 경차관(敬差官). 조선조 때 지방에 임시로 보내는 벼슬. 주로 전곡(田穀)의 손실을 조사하고 민정을 살피는 일을 맡음.
차구(借寇) 지방관의 유임을 간절히 바란다는 뜻. 후한의 구순 寇恂이 광무제를 따라 영천의 도둑을 평정하고 돌아가려 할 때 그곳 백성들이 광무제의 길을 막고 1년간 구순을 이곳에 유임하기를 호소한 고사에서 나온 말 <구한서> 寇恂傳
차대(次對) 매월 여섯 차례 정부당상(政府堂上)ㆍ대간(臺諫)ㆍ옥당(玉堂)들이 입시(入侍)하여 중요한 정무(政務)를 상주(上奏)하는 일. 빈대(賓對)
차률(次律) : 일정한 형률에서한등 낮은 형벌
차목(次木) : 중등품의 무명 베
차비역관(差備譯官) : 임시로 파견하는 역관
차송(差送) : 어떤 임무를 맡겨서 보냄. 차견(差遣)이라고도 함
차역(差役) : 역으로 차출함
차왜(差倭) : 일본 관백(關白)의 명령을 받아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우리나라에 보내는 사자(使者). 그 임무의 내용에 따라 대차왜(大差倭)ㆍ별차왜(別差倭)ㆍ재판차왜(裁判差倭)ㆍ호행차왜(護行差倭) 등의 구별이 있음
차운(次韻) : 남의 시운(時韻)을 써서 시를 지음
차인(差人) : ① 각 궁방(宮房)에서 파견하는 사람. ② 장사하는 일에 시중드는 고용인(雇傭人
차자(箚子) : 소장(疏章)의 하나. 일정한 격식을 갖추지 아니하고 간단히 사실만을 기록하여 올리는 상소(上疏) 주차(奏箚)ㆍ차문(箚文)이라고도 함
차제(差除) : 관원의 임명에 관한 일
차지(次知) : ① 각 궁방(宮房)의 일을 맡아보는 사람, 또는 주인을 대신하여 형벌을 받는 하인. ② 어떤 물건을 점유(占有)하는 것을 이르기도 함
차지하리(次知下吏) : 실무를 맡은 하급 관리
차첩(差貼) : 하급 관리의 임명 사령서(辭令書
차하(差下) : 벼슬을 시킴. 관직에 임명(任命)함
차호(差胡) : 청나라의 차사(差使)
착(捉) : 노의 단위
착락(着落) : 결말
착서(着署) : 서명
찬선(贊善) : 임금의 선행을 돕게함
참론(參論) : 참석 시켜 물어 봄
참방(參榜) : 합격자 명단에 끼임
참상(參上) : 6품 이상 당하 3품관
참상(參上)․참하(下) : 참상은 문무관 당하(堂下) 정 3품에서 6품에 이르기까지의 관원, 참하는 7품 이하의 관원.
참상관(參上官) : 文武官 堂下 정 3품에서 6품에 이르기까지 붙이는 호칭, 參內
참서(參恕) : 참작하여 용서함
참하(參下) : 문무7품 이하의 관원에게 붙이는 호칭(號稱). 참외(參外)
창릉(昌陵) : 예종과 그 비의 능
창삭(昌朔) : 창성, 삭주
창양(槍攘) : 호란을 가리킴
창의(昌義) : 창성과 의주
창저(倉儲) : 창곡(倉穀
채색(菜色) : 부황기(浮黃氣
책립(責立) : 책임 지고 들여 세움
책문(柵門) : ① 울타리의 문. ② 만주(滿洲) 봉황성의 변문(邊門)
책문무역(柵門貿易) : 만주(滿洲) 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사이의 책문(柵門)에서의 무역.
책문후시(柵門後市) : 책문에서의 私貿易
책비(冊裨) : 책방(冊房)과 비장(裨將) 막료의 통칭
책사(冊使) : 冊封한다는 조 詔書를 받든 사신
책징(責徵) : 징구(徵求). 즉 금전ㆍ곡물 등을 강요하는 행위
책호(柵胡) : 만주(滿洲) 책문(柵門)에 거주하는 오랑캐.
척념(惕念) : 마음을 가다듬음
척동(尺童) : 10세 전후의 어린이
척매(斥賣) : 헐가로 마구팔다
척적(尺籍) : 군령(軍令)을 기록한 문서.
천계(薦啓) : 추천하여 아룀
천계(天啓) : 명(明)나라 희종(熹宗)의 연호.
천망(薦望) : 그 지위(地位) 또는 그 직무에 적당한 후보자의 추천.
천반(川反) : 홍수로 개울이 된 땅
천반포락(川反浦落) : 시냇물이 전답을 덮쳐 떨어져 나간 전답.
천봉(遷奉) : 이장(移葬)
천부(天府) : 「주례(周禮)」에 춘관(春官)에 속한 벼슬 이름으로, 조묘(祖廟)의 수장(守藏)과 금령(禁令)을 관장하던 부서임.
천붕(天崩) : 임금이 죽음을 말함).
천승(千乘) : 승(乘)은 수레 즉 전거(戰車)를 나타낸 말. 주대(周代)에 제도상으로 천자(天子)는 만승(萬乘)을, 제후(諸侯)는 천승(千乘)을 넘지 못하도록 하였으므로 제후국을 가리켜 천승지국(千乘之國)이라 하였다. 수레 1천 채를 생산할 수 있는 국력의 나라라는 뜻.
천신(薦新) : 새로 나는 물건을 먼저 신위(神位)에 올리는 일
천아(天鶩) : 고니. 종묘의 제사에 쓰임
천은(天銀) : 품질이 좋은 은. 성분이 1백% 들어 있는 은으로 십성은(十成銀)이라고도 함.
천전(遷轉) : 승천과 같은 뜻
천지자(天地字) : 天字庫와 地字庫의 약칭, 모든 창고의 일련번호를 千字文의 자순에 의하여 붙일 것임
천참(天塹) : 천연요새
천촉(喘促) : 숨이 가쁘고 기침을 함
천파총(千把摠 천총과 파총
천행(遷幸) : 파천(播遷)
철(鐵) : 쇠(釗)와 같은 뜻으로 천인을 비칭(卑稱)한 말
철류(綴旒) : 꿰어 늘어뜨린 구슬이 이리 흔들리고 저리 흔들리듯 임금이 主見 없이 이 신하, 저 신하의 말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흔들림의 비유
첨만호(僉萬戶) : 첨사와 만호
첨방(添防) : 방비를 강화함
첨정(簽丁) : 병정을뽑음
첩(貼) : 1첩은 10조
첩(帖) : 상관(上官)이 7품 이하의 관원에게 내는 공문서
첩가미(帖價米) : 진휼 때 금품을 납부하고 첩지(帖紙)를 받을 수 있는데 그 첩지의 대가인 쌀.
첩구(堞口) : 성의 일정한 거리에 출입구를 냄
첩급(帖給) : 공문을 작성해서 지급하게 함
첩역(疊役) : 중복된 역
첩정(牒呈) : 상급관청에 올리는 공문서
첩징(疊徵) : 2중 징수
청(廳) : 분청(分廳)
청금록(靑衿錄) : 유생(儒生)명부
청남(淸南) : 평안도의 청천강(淸川江) 이남(以南)의 일컬음
청대(請臺) : 각 관아(官衙)에서 섣달 그믐께 사무를 종료하고 창고를 봉해 두기 위하여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의 검사를 청하는 일
청대(請對) : 긴밀 또는 긴급한 사유가 있을 때에 임금께 뵙기를 청함.
청룡(靑龍) : 자리학에 흔히 쓰이는 말로서 어떤 기지(基地)의 좌향(坐向)에서 좌측(左側)의 산맥(山脈)을 가르켜 청룡맥(靑龍脈) 또는 청룡등(靑龍燈)이라고 함
청마(淸馬) : 청나라의 말
청목(靑木) : 푸른빛의 베
청묘법(靑苗法) : 송(宋)나라 왕 안석(王安石)이 시행한 신법(新法). 봄에 苗가 푸를 때 농민에게 돈을 빌려 주고 수확기가 되면 백문(白文)에 20문(文)을 이자로 받아들이는 일.
청북(淸北) : 청천강(淸川江) 북쪽이라는 뜻으로서, 청천강 이북 지방을 가리키는 말
청서(淸書) : 청국의 문서
청서피(靑黍皮) : 날다람쥐 가죽
청아(菁莪) : 인재의 화육(化育)을 노래한 시
청야(淸野)의 병법) : 전쟁 때에 적의 이용에 편리를 주지 않기 위해 백성과 재물 곡식 등을 모두 감추어 적들이 노략질할 것이 없게 하는 것.
청야지계(淸野之計) : 식량, 마초, 사람 등을 말끔히 치워 적이 발을 못 붙이게 하는 전략.
청연재신(請宴宰臣) :잔치에 초청된 재신
청좌(請坐) : 吏隸를 보내 제일 높은 관원에게 회의에 나오기를 청하는 일
청차(淸差) : 청에서 차출해 보낸 사람
청채(淸債) : 청인의 빚
청피(靑皮) : 靑橘의 껍질
청한(淸漢) : 명(明) 청(淸)
체념(賤念) : 깊이 생각함)」
체문(帖文) : ① 각 지방 수령이 향교유생(鄕校儒生)에게 유시(諭示)하는 서면. ② 군공(軍功)ㆍ납속(納贖) 자에게 발급하는 관직 사령서
체방(遞防) : 교대 방비함
체부(體府) : 체찰부(體察府)의 준말로, 체찰사(體察使)가 군무(軍務)를 보던 곳
체수(滯囚) : 죄를 범한 사람을 판결(判決)하지 않고 오래도록 옥에 가두는 것, 또는 그 죄수를 말함
체아(遞兒) : 체아직(遞兒職)
체아군직(遞兒軍職) : 현직을 떠난 文武官을 예우하여 계속 녹봉을 지급하기 위해 軍職에 소속시키는 것
체아직(遞兒職) : 정해진 녹봉이 없이 계절마다 근무 성적을 평가하여 녹봉을 지급하는 관직으로 직전은 지급되지 않았으며 대부분 거관(去官) 이후 체천(遞遷)될 자리가 없는 경우 체아직에 임명되었음.
체찰(體察) : ①몸소 자세히 살펴봄. ②체찰사(體察使)의 준말
체탐인(體探人) : 정탐인(偵探人
체하(帖下) 아랫 사람에게 돈이나 곡물을 지급할 때에 그 지령서(指令書)에 체(帖)자의 도장을 찍어 내려 주면 이에 의하여 현물을 지급하는 일. 체급(帖給).
체행(體行) : 체득하여 실행함
초(哨) : 초(哨) : 옛날 군대 編制의 하나이니, 약 1백명으로 한 초를 이루었는데 여기서는 50명을 한 초관(哨官)이 거느렸음
초가(草價) : 짚이나 풀의 값. 경작인(耕作人)이 곡초(穀草)인 짚을 전부 차지하는 대신에 전주(田主)에게 주는 대가(代價)
초가목(草價木) : 말에 먹일 짚값으로 주는 무명.
초가미(草價米) : 軍馬를 사육하기 위해 받아야 할 穀草 대신 받는 돈
초계(抄啓) : 초록(抄錄)하여 상주(上奏)함. 곧 인재를 가려 뽑아서 아뢰는 것
초교(草轎) : 삿갓가마
초기(草記) : 중앙 각 관아(官衙)에서 정무상 그리 중요하지 아니한 사항을 간단하게 요지만을 기록하여 상주하는 문서.
초도(鞘刀) : 칼집이 있는 칼
초둔(草芚) : 띠나부돌로엮은돗자리
초란(草薍) : 갈대)
초료(草料) : 공무로 출장하는 관원(官員)에게 연도의 각 역참(驛站)에서 역마ㆍ식료 등을 공급하도록 명령하는 문서. 초료장(草料狀)의 준말
초면관(初面官) : 도(道) 경계선의 첫머리에 있는 고을을 말함.
초방(草榜) : 합격자 명단을 기초(起草)한 것
초병(抄兵) : 선발된 병사
초복(初覆) : 살인 사건(殺人事件)에 대한 초검(初檢)과 복검(覆檢)의 합칭. 초ㆍ복검(初ㆍ覆檢)이라 하고, 초복은 초ㆍ복검의 준말
초사(哨司) : 경비를 맡은 부서
초사(招辭) : 법관의 신문에 따라 죄인이 진술하는 말.
초선(抄選) : 의정대신(議政大臣)과 이조(吏曹)의 당상관(堂上官)이 회합(會合)하여 경연관(經筵官)으로 적합한 사람을 선발함
초시(初試) : 모든 과거의 맨 처음 시험. 보통 서울․지방에서 식년(式年)의 전 해 가을에 보임.
초왕(楚王) : 漢代 제후의 하나
초입사(初入仕) : 처음으로 벼슬하는 사람
초책(草冊) : 초고본
초탐(哨探) : 諜者
촌록(寸祿) : 얼마 안 되는 녹봉
총신(寵信) : 신임
총융(摠戎) : 원수
총융청(摠戎廳) : 조선조 인조 2년(1624)에 설치하여 광주(廣州)ㆍ양주(揚州)ㆍ수원(水原) 등 경기 일대의 진(縝)의 군무를 맡아 서울의 외곽을 경비한 군영. 영조 23년(1747)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수비를 맡았으며 헌종 12년(1846) 총위영(摠衛營)으로 고쳐 일컫기도 함
총융청(摠戎廳)의 3영(營) : 남양․수원․장단
최효일(崔孝一) : 임경업과 함께 청에게 저항하여 싸웠던 사람
추감(推勘) : 推問으로서 勘斷함
추고(推考) : 죄과(罪過) 있는 관원을 신문하여 그 죄상을 고찰함. 관원에 대한 징계(懲戒)로도 사용됨.
추고속목(推考贖木) : 벌금으로 내는 무명
추관(推官) : 죄인을 신문하는 관원
추관(秋官) : 형조
추노(推奴) : 도망간 노비(奴婢)를 수색하여 데려오는 일.
추도지말(錐刀之末) : 얼마간의 이익
추동등(秋冬等) : 하반기(下半期
추두(鄒豆) : 말먹이
추목(麤木) : 올이 성긴 무명
추방(秋防) : 추수기의 방위 대책, 북방의 호족들은 식량의 약탈을 위하여 거의 추수기에 南侵을 하였으므로 그 가을 방위책을 일컬음
추봉(秋捧) : 가을에받는행위
추생(抽栍) : 심지를 뽑음
추생읍(抽栍邑) : 추첨하여 뽑힌 고을
추쇄(推刷) : ① 부역(賦役) 또는 병역(兵役)을 기피(忌避)한 자나 상전(上典)에게 의무를 다하지 아니하고 다른 지방으로 도망한 노비(奴婢)를 모두 찾아 내어 본고장으로 돌려 보내는 것. ② 빚을 모두 받아 들임
추안(推案) : 죄인을 신문한 조서
추조(秋曹) : 형조
추함(推緘) : 죄를 조사한 문서
추핵(推覈) : 죄인을 신문하여 범죄의 실상(實相)을 캐어내는 것.
추환(推還) : 찾아서 되돌려 보냄
축거(杻炬) : 싸리로 만든 홰
축노(舳艣) : 뱃머리와 꼬리
축목(杻木) : 싸리나무
축방(丑方正北으로부터 동으로 30도 방위
축설(築設) : 보루(堡壘)를 쌓고 관문(關門)을 설치함.
축시(丑時 새벽 13시
춘등(春等) : ① 등급을 춘ㆍ추(春秋)의 둘. 또는 춘ㆍ하ㆍ추ㆍ동의 넷으로 나눈 것의 그 첫째. ② 봄ㆍ가을 두번에 나누어 내게 된 세금 제도에서 봄에 내는 세금
춘방(春坊) : 세자시강원의 별칭
춘시(春市) : 淸人이나 倭人을 대상으로 하는 봄철의 開市이니, 中江․柵門․會寧․慶源․倭館 등에 있었음
춘신(春汛) : 봄 淸明 절후에 물이 녹아 강물이 붙으니 이는 春이라 하고 立秋 절후의 물을 伏이라 하며 霜降 절후의 물을 秋이라 하는데 이 三이 防禦의 가장 중요한 때임
춘조(春操) : 봄철 조련
춘추양등(春秋兩等) : 등은 분기의 뜻
춘․하 양등(兩等) : 시취(試取) 시기를 춘․하․추․동 등 사계절로 나눈 단위 중에 춘등과 하등 두 등을 말함.
출금(出禁) : 사헌부(司憲府)나 한성부(漢城府)의 하리(下吏)를 내보내 범법(犯法) 행위를 단속하는 일.
출대(出代) : 결원(缺員)이 있을 때에 그를 대신 보충함.
출륙(出六) : 7품직에 있던 관원이 그 임기가 만료되고 성적이 좋은 경우에 6품으로 승급(陞級)하여 다른 직에 전임(轉任함.
출방(出榜) : 합격자의 명단. 게시합격자의 명단 게시
출번마(出番馬) : 비번마(非番馬)
출사(出謝) : ① 서직(叙職)ㆍ가계(加階) 기타 임금의 은혜을 입은 사람이 일정한 기간 안에 궁궐에 들어가서 사은 숙배(謝恩肅拜)하는 일
출사(出使) : 임금의 명령을 받아 지방으로 출장하는 관원. 사신(使臣)
출사(出仕) : 출근과 같은 말
출신(出身) : ① 문ㆍ무과(文武科) 또는 잡과(雜科)에 급제하고 아직 출사(出仕)하지 못한 사람. ②처음으로 벼슬길에 나섬
출신(出身) : 문무과(文武科)․잡과(雜科)에 급제하고 아직 벼슬에 나가지 못한 사람.
출육(出六) : 6품의 품계에 오름
출참(出站) : 사신(使臣)ㆍ감사(監司)를 맞이하고, 모든 전곡(錢穀)ㆍ역마(驛馬)를 지공(支供)하기 위하여 그가 숙박하는 곳의 가까운 역에서 사람을 내보내는 일
출척(黜陟) : 못된 사람을 내쫓고 착한 사람을 올리어 씀
출향(黜享) : 配享에서 제외시킴
충군(充軍 군역에 보충함
충원(忠原) : 충주
충정(充定) : 보충
취결(取決) : 선택하여 결정함
취련(吹鍊) : 제련
취마(揣摩) : 어떤 진상을 미루어 생각하고 연구함
취식(取息) : 이자로 경비에 보충케 하는 제도
취재(取才) : 재예를 시험하여 인재를 뽑는 것
취철(吹鐵) 광석을 녹여 쇠를 뽑아냄. 취련(吹練).
취철소(吹鐵所) : 체철소
취타(吹打) : 나팔을 불거나 북을 침
취품(取稟) : 임금에게 아뢰어 그 하명을 기다리는 것
치대(置對) : 상대하여신문함
치문(致問) : 문안함
치사(致詞) :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왕의 공덕을 칭송하여 올리는 글
치유(馳諭) : 유시를 속히 보냄
치중(輜重) : 운송 군수품
칙수(勅需) : 중국에서 오는 칙사(勅使)의 영접(迎接)ㆍ접대(接對)ㆍ전송(餞送)에 수용(需用)되는 물자(物資
칙행(勅行) : 칙사(勅使)의 행차
친경(親耕) : 백성들에게 농사 장려에 솔선 시범하는 의미로 임금의 친경전(親耕田)인 적전(籍田)에 나가 친히 갈고 심는 것.
친공신(親功臣) : 자신(自身)이 세운 공훈(功勳)으로 공신위호(功臣位號)를 받은 공신(功臣
친기위 도시(親騎衛都試) : 친기위(親騎衛)는 함경도 출신으로 궁재(弓才)․마재(馬才)․힘이 센 자를 뽑아서 병영(兵營)과 감영(監營)에 둔 군대를 말하며, 도시(都試)는 무사(武士)를 선발하는 시험임.
친독(親督) : 임금이 몸서 督勵함
친림(親臨) : 직접 참석함
친림시사(親臨試射) : 왕이 친히 보는 자리에서 활쏘기를 시험하는 일.
친림위유(親臨慰諭) : 왕이 직접 나가 위유함
친병(親兵) : 임금을 호위하는 군병
친심(親審) : 직접 살펴 봄
친열(親閱) : 임금이 직접 사열함
친정(親政) : 임금이 몸소 인사를 행함
칠반천역(七般賤役) : 천한 계급이 종사하는 일곱 가지 천역(賤役). 곧 관아의 조례(皁隷)ㆍ의금부(義禁府)의 나장(羅將)ㆍ지방청(地方廳)의 일수(日守)ㆍ조운창(漕運倉)의 조군(漕軍)ㆍ각 수영(水營)의 수군(水軍)ㆍ봉화(烽火) 올리는 봉군(烽軍)ㆍ역참(驛站)의 역졸(驛卒) 등의 일컬음
칠사(七事) : 수령이 집행할 7가지 기본사무. 곧 農桑盛․戶口增․學敎興․軍政修․賦稅均․詞訟簡․奸猾息임. 수령 칠사
칠색군(七色軍) 각 군문에 소속된 경군 아닌 병대의 종류. 대장․장관에 딸려서 호위 수행하거나 경계 근무를 함.
칠실(漆室) : 魯나라의 한 미천한 여자가 캄캄한 방에서 나라의 일을 걱정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분수에 넘치는 일을 근심함을 일컬음
침독(侵督) : 침범하여 독촉함
침봉(針封) : 바느질하여 봉함
침봉(侵捧) : 불법 징수
침어(侵漁) : 침탈
침요(侵擾) : 침입하여 소요를 일으킴
침조산와(沈竈産蛙) 춘추시대 晉의 지백이 조양자의 성을 수공하였을 때에 침수로 말미암아 성중의 인가가 여러 날 물 속에 잠겨 아궁이에서 개구리가 나왔다는 고사에서 나온말 민심을 얻어야 백성이 고통을 견디며 등을 돌리지 않는 다는 뜻이 함축되어 있음
침채(沈菜) : 김치
침책(侵責) : 침범하여 책임을 지움. 간접으로 관계되는 사람에게 책임을 추궁함.
침학(侵虐) : 침범하고 포악함
칭굴(稱屈) : 칭원
칭념(稱念) : 무엇을 초들어서 잊지 말고 잘 생각하여 달라고 부탁함.
칭대(稱貸) : 이식을 주기로 하고 빌어씀
칭병(稱兵 군사를 일으킴
칭탈(稱頉) : 일이 어그러졌다고 핑계를 댐
타각(打角) : 중국에 가는 사신 일행의 모든 기구를 감수하는 사람
타량(打量) : 측량(測量)
타발(打發) : 발송
탁견(坼見) : 열어 봄
탁지(度支) : 호조(戶曹)
탄환 해도(彈丸海島) : 바다 한가운데에 고립(孤立)되어 있는 섬.
탈감(頉減) : 삭제해 버리다
탈갑(脫甲) : 패전(敗戰)
탈계(頉啓) : 사고 때문에 시행할 수 없는 것을 상주하는 일
탈고신(奪告身) : 죄를 지은 관리의 직첩을 빼앗아 들임
탈보(頉報) :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보고하고 책임의 면제를 청함
탈봉례(奪俸例) : 봉급을 철회하는 예
탈정(奪情) : 기복(起復
탈품(頉稟) 탈면(頉免뜻밖에 일어난 탈로 인하여 의무나 책임을 면제 하여줌)하여 주기를 청함.
탈하(頉下) : 사고로 처리함
탐장(貪贓) : 관원이 부정한 방법으로 국가재산을 횡령하거나 사유재산을 탈취한 행위
탑전(榻前) : 임금의 자리 앞을 이르는 말.
탕척(蕩滌) : 탕감
탕평(蕩平) :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음
태(泰) : 태괘(泰卦). 곤괘(坤卦)와 건괘(乾卦)가 거듭된 것으로 천지(天地) : 음양)가 서로 사귐을 상징하며, 정월에 해당하는 괘임.
태감(汰減) : 필요하지 않은 관원을 없애서 줄임.
태거(汰去) : 죄과(罪過) 있는 하급 관리(官吏)나 아전(衙前)을 파면함.
태극달자(太極 㺚子) : 호족의 일종
태복(太僕) : 사복시
태작목(太作木) : 콩 대신 내는 무명
태정(汰定) : 여럿 가운데서 골라 뽑아 정함. 도태(淘汰)시켜 다른 역(役)에 충정(充定)하는 것
태창(太倉) : 광흥창(廣興倉)의 별칭
태학(太學) : 성균관
택의(擇擬) : 가려서 擬望함
택천(擇薦) : 선발 추천
토강여유(吐剛茹柔) : 억센 것은 뱉고 부드러운 것은 삼킨다는 뜻으로 강자는 두려워하고 약자는 얕본다는 말
토목(吐木) : 토막나무
토민(土民) : 본토박이
토의(土宜) : 토산품의예물
토졸(土卒) : 지방 출신 군졸
토주(土主) : 그 지방의 장관
토포사(討捕使) : 각 진영의 도둑을 잡는일을 맡은 벼슬
통개(筒箇) : 살통
통관(通官) : 역관
통신(統臣) : 통제사
통신사(通信使) : 조선조 때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보내던 사신(使臣). 고종 13년(1876)에 수신사(修信使)로 고침.
통아(筒兒) : 화살통
통적(通籍) : ①문적(門籍)이나 명패(名牌)에 성명, 연령 등을 적어 궁문(宮門)의 출입을 허가해주던 일. ②관적(官籍)에 오름
통정(通政) : 통정대부. 정 3품 당상관의 품계명
통정첩(通政帖) : 통정대부의 직첩
통청(通淸) : 홍문관의 관원은 모두 문명(文名)과 덕행(德行)이 있는 자를 임명하였으므로 청관(淸官)이라 했는데 그 후보자를 추천하거나 비준하는 일
퇴봉(退捧) : 납기를 연장함
퇴징공(退徵貢) : 뒤늦게 받은 공목
투식(偸食) : 공곡을 도둑질하는 것
투자(投刺) 뵙기 위하여 미리 명함을 드리는 일.
투작(偸斫) : 도벌
투진(投進) : 올림
특교(特敎) : 특지 (特旨)
특보(特補) : 무엇을 두고 한 말인지 미상임
파(把) : 1파는 5자 평형
파기(疤記) : 그 사람의 용모와 특징을 기록함
파루(罷漏) : 통행금지의 해제
파발(擺撥) : 파발꾼(擺撥軍). 조선조 때 공문(公文), 특히 변경(邊境)의 군사정보(軍事情報)를 지방과 서울에 급히 보내기 위하여, 각 역참(驛站)에 딸려 공문을 가지고 역참 사이를 나르는 사람.
파산(罷散官) : 퇴직한 관리
파장(罷場) : 시험장의 일이 끝남
파정(罷定) : 이미 정한 것을 취소함
파촉(巴蜀) : 지금의 중국 사천성(泗川省)의 옛 이름
판(板) : 張과 같음
판결사(判決事) : 掌隸院의 으뜸 벼슬. 위계는 정3품
판부(判付) : 상주(上奏)한 형사 사건에 대한 임금의 재가 사항. 판하(判下)
판부사(判府事) : 고려 후기 개성부의 차위(次位) 벼슬로 종2품
판상(板商) : 널판을 파는 상인
판윤(判尹) : 한성판윤
판이(判移) : 이첩(移牒
판적사(判籍司) : 호조의 한 부서. 호구․토지․조세 등을 맡음
판조(版曹) : 호조(戶曹)
판하(判下) : 주안(奏案)을 임금이 윤가(允可)함
팔결(八結) : 전세나 부역을 부과하는 단위로 8결(結)을 1부(夫)로 삼았다.
팔방(八方) : 八道
팔분재(八分災) : 재해입은 토지에 대해 8할의 세를 면제시킴.
팔성은(八成銀) : 순도 80%의 은
팔신(八臣) : 봉림대군을 호송하였던 8명의 신하
팔포(八包) : 조선조 세종(世宗) 때부터 명(明)나라, 또는 청(淸)나라로 보내는 사신에게 노자(路資)와 무역(貿易)자금으로서 휴대(携帶)를 허용한, 한 사람 앞에 인삼 10근 짜리 8꾸러미. 숙종(肅宗) 8년(1682)에 은(銀) 2천 냥으로 대충(代充)됨. 중국에 가는 사신을 따라가 무역(貿易)하는 상인(商人)이 갖고 가는 화물(貨物)의 단위. 홍삼(紅蔘) 80근을 1포(包)라고 함. 팔포 대상(八包大商).
팔포(包)의 법(法) : 중국에 가서 교역할 인삼이나 은을 8포로 제한하는 법. 사신을 수행하여 중국에 가서 인삼이나 은의 매매를 특허받은 의주의 상인을 팔포대상(八包大商)이라고 하였으며 이들 1인당 인삼이나 은은 8포의 분량만을 가지고 가서 교역할 수 있었다. 원래는 인삼을 교역하였는데 20량을 1포, 10근을 8포로 하였다. 17세기 중엽부터는 인삼 대신 은으로 교역하도록 했는데 은 25량을 1포, 2000량을 8포로 하였다.
팔포대상(八包大商) : 사신을 따라가서 홍삼을 판매하도록 허가받은 상인.
패두(牌頭) : ①인부 10명의 우두머리. ②장용위 소속 군사의 인솔자. ③중앙 행정관청의 사령 가운데 하나
패륵(貝勒) : 청나라 때 만주인 종실과 모고의 외번(外蕃)들에게 봉해진 작위(爵號) 가운데 하나를 이르는 용어
패문(牌文) : 중국에서 조선에 칙사(勅使)를 파견할 때 사전에 보내던 통지문
패선(敗船) : 배의 침몰 사고
패수(浿水) : 대동강을 가리킴
패일(敗日) : 5․14․23의 여행을 꺼리는 날
패자(牌子) : ①패지(牌旨). 관공서의 직인 따위가 찍혀 있는 문서류. ②조선 전기 관청에서 발행하던 신분 증명서. ③종이로 만든 신주(神主) ④군령(軍令)을 전하는 문서류).
패초(牌招) : 조선시대 임금이 비상사태나 야간에 급히 만나야 할 신하가 있을 경우, 승정원에 명하여 패를 써서 입궐하게 하던 제도. 명(命)자를 새긴 주색(朱色) 패의 한 면에 부름을 받은 신하의 성명을 기입하여 승정원에 하예(下隸)를 시켜 송달함.
팽아(烹阿) : 전국시대 제의 위왕이, 맡은 바 선정은 하지 않고 왕의 측근에게 뇌물을 바쳐 칭찬을 구한阿大夫와 칭찬한 측근에게 烹刑을 가한 故事에서 나온 말로 맡은 바 소임은 다하지 않고, 윗사람에게 아부만 하려는 자의 처단을 비유하여 일컬음
편배(編配) : 유배(流配)
편배자(編配者) : 유배 죄인으로 배치된 자. 곧 귀양 갈 사람으로 도류안(徒流案)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 자.
편비(偏裨) : 각 영문(營門)의 부장(副將)․편장(褊將
편오(編伍) : 대오(隊伍)를 편성하는 것, 또는 편성한 대오
편전(片箭) : 짧고 작은 화살
편추(鞭芻)무술의 한 가지로서 말을 달리며 짚으로 만든 인형[芻人]을 철편(鐵鞭)으로 내리치는 기술.
평재(平才) : 평범한무예
평차(平差) : 평가(平哥)의 차왜(差倭)라는 뜻)가
폐각(廢閣 흐지부지
폐막(弊) : 폐단
폐사군(廢四郡) : 평안도(平安道)의 여연(閭延)․무창(茂昌)․우예(虞芮)․자성(慈城)으로 야인(野人)의 침략을 견딜 수 가 없어 세조(世祖) 원년에 네 고을의 백성을 철수시키고 그 땅을 비워두었음.
폐조(廢朝) : 光海君때를 말함
포계(襃啓) : 각 도의 관찰사나 또는 어사가 수령의 선정(善政)을 포창(襃彰)하도록 상주하는 것. 여기서는 변장(邊將)의 공로를 포장하도록 상주하는 것을 말함.
포계(襃啓) : 관찰사 또는 어사가 수령의 선정(善政)을 포창(襃彰)하도록 상주(上奏)하는 것.
포기(砲技) : 대포 쏘는 기술
포도수(逋逃藪) 제도권에서 일탈하는 보금자리
포마(鋪馬) : 역마
포마조(布馬槽) :나무로 만든 말의 죽통
포보(砲保) :포병의 보인
포보가포(砲保價布砲軍 保人이 바치는 베
포살수(砲殺手) 포수와 살수
포쇄(曝曬) : 사고(史庫) 등에 보관된 서적 등을 바람과 햇빛을 쏘임
포쇄중관(曝曬中官) : 실록을 햇볕에 쪼이려고 내려간 內侍
포자감관(鋪子監官) : 포자를 감독 하는 관리
포작인(鮑作人) : 생선포를 만드는 사람
포증(包拯) 송(宋) 인종(仁宗)때의 관리. 법을 다스림이 엄격하여 이민(吏民)이 감히 속이는 자가 없었다 함.
포진(鋪陳) : 방석․담요․돗자리 등의 총칭
포태(泡太) : 두부콩
포폄(褒貶) : 근무평정
포풍착영(捕風捉影) : 바람을 붙잡고 그림자를 잡음. 허망한 말과 실제 없는 행동에 비유하는 말
포한(鮑漢) : 잠수하여 전복을 따는 자
포흠(逋欠) : 관가(官家)의 물건을 빌려서 없이하거나 숨기고서 돌려주지 않는 것
포흠탕척례(逋欠蕩滌例) : 포는 조세의 포탈, 흠은 관물을 사사롭게 소비하여 이로 인해 부족을 가져온 행위. 즉 포와 흠을 탕감하여 줌을 규정한 예
폭객(暴客) : 폭도
폭원(幅員) 너비는 폭(幅)이 되고 주위(周圍)는 원(員)이 됨.
표리(表裡) : 옷감의 겉과 속
표상(俵賞) : 분상(分賞)
표역(表譯) : 역관
표하군(標下軍) : 대장(大將)이나 각 장관(長官)의 수하 친위 부대
표하군(標下軍) : 대장이나 각 장관(將官)에게 전속된 수하병(手下兵). 표하병(標下兵).
품관(品官) : 품계를 가진 벼슬아치
품마(品馬) : 품계에 따라 지급하는 말의 필수
품목(稟目) : 상관에게 아뢰는 글
품은(品銀) : 큰 일이 있을때에 관직의 품계에 따라 차등을 두어 징수하는 은
품재(稟裁) 임금에게 여쭙고 재가를 받음. 또는 그 재가.
품정(稟定) 임금이나 상관에게 여쭈어 의논하여 결정함.
품지(稟旨) 임금에게 여쭙고 명령을 받음. 또는 그 명령.
품처(稟處) 임금에게 아뢰고 처리함.
품탈(稟奪) : 아뢰어 정탈함
품패(品牌) : 품계에 따른 호패
풍낙송(風落松) : 바람에 쓰러진 나무를 말함
풍정(豊呈) : 대궐 안 잔치의 한가지, 進宴보다 의식이 정중하고 규모가 컸음. 進豊呈
풍정도감(豊呈都監) : 궁중잔치를 맡는 도감
풍패(豊沛) : 한나라 祖가 처음 군사를 일으킨 곳, 帝王의 고향을 말하는 것으로써 곧 조선 태조의 발상지 咸興을 일컬음
풍패지향(豊沛之鄕) : 발상지).
풍향예대(豊享豫大) : 지극히 풍성함을 스스로 자랑함
풍환(馮驩) 전국(戰國)시대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으로 설(薛) 땅에 맹상군의 빚을 받으러 갔다가 받지 못할 극빈자(極貧者) 빚문서를 모조리 불태우고 빚을 탕감하여 주었다.
피곡(皮穀) : 겉곡식
피인(彼人) : 중국사람
피폐견마(皮幣犬馬)의 조치) : 치욕을 무릅쓰고 淸國에 조공을 하는 일. 옛 周의 太王이 에 있을 매 오랑캐가 침범하여 폐백과 犬馬로 섬겼다 함
피혐(避嫌) : 상피(相避)
필첩식(筆貼式) : 만주(滿洲)의 직책으로 우리 나라 寫字官에 해당함.
하고(下考) : 고과의 하등급
하관(下款) : 하책(下策)
하번(下番) : 순번이 아래인 사람
하비(下批) : 인사 임용에 관한 임금의 재가
하삭(河朔) : 황하이북
하삼도(下三道) : 충청 ․전라 ․경상의 3도
하승(下乘) : 좋지 않은 말
하유(下諭) : 지방 관원(官員)에게 타이르는 왕의 분부. 상경(上京)을 명하는 왕명.
하절(賀節) : 축하사절
하지목(下地木) : 하등의 무명
하지사(賀至使) : 進賀使와 冬至使를 겸한 사신
하직(下直) : 서울을 떠나는 관원이 임금이나 소속 장관을 찾아서 작별을 아뢰는 일
하호(下戶) : 가난한 백성
학궁(學宮) : 성균관의 별칭
한 명제(漢明帝) : 후한의 제 2대 황제
학철(涸轍) :말라버린 수레바퀴의 자국
한(汗) : 청나라 태종을 뜻함
한고조(漢高祖) : 전한(前漢)의 시조 유방(劉邦)
한관(閑官) : 한가한 관직
한기(漢紀) : 순열(荀悅)이 《사기(史記)》와 《한서(漢書)》를 간추려 편년체(編年體)로 만든 책.
한남(漢南) : 한강 이남의 땅
한량(閒良) : 武班의 家門에 태어나 아직 武科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
한림(翰林) : 예문관 검열의 별칭
한림풍월(翰林風月) : 황해도 해주에서 생산되는 먹
한북(漢北) : 한강이북의땅
한산(閑散) : 품계만을 가지고 직무 없이 한가하게 지내는 관직. 산직(散職)
한소열(漢昭烈) : 촉한(蜀漢)의 유비(劉備)
한적(韓賊) : 한명련
한정(閑丁) : 나이 15세부터 60세 사이의 장정으로 국역(國譯)에 나가지 않는 사람
한천사(漢天使) : 명사(明使
한황(韓滉唐) : 德宗 때 사람. 門下平章事를 지냄
함답(緘答) : 추문(推問)에 대하여 서면(書面)으로 회답하는 것.
함사(緘辭) : 공무상 중대한 과오를 범한 관원이 그 사실을 서면으로 서술하여 올리는 封書
함토(醎土) : 염분이 섞인 흙
합망(合望) : 합하여 의망함
합문(閤門) : 고려 및 조선 초기 조회, 의례 등 국가 의식을 맡아보던 관서. 각문(閣門)이라고도 씀. 통례문으로 개칭.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편전(便殿)의 앞문.
합조(合操) ) : 각 영문(營門)의 군사를 한데 모아 조련(操鍊)함. 합동 조련.
합좌(合坐) : 두 명 이상의 당상관(堂上官)이 함께 모여 중요한 일에 대하여 논의하는 일.
항례(抗禮) : 대등한예우
항번(降幡) : 항복을 표하는 기
항왜(降倭) : 항복한 왜인
해리(海利) : 바다를 통한 온갖 수익
해백(海伯) : 황해감사
해번(海藩) : 해백(海伯)
해유(解由) : 관원이 교체될 때에 후임자에게 사무를 인계하고, 그 재임기간에 출납․보관한 재곡(財穀) 등의 회계에 이상이 없음을 호조에 보고하여 그 책임을 해제 받는 일.
해유첩(解由牒) : 호조에서 발급한 인수인계 완료서
해자(垓字) : 능의 경계
해착(海錯) : 해산물
해척(海尺) : 어부
행공(行公) : 공무 집행
행대(行臺) : ①임금의 명령을 받고 지방에 파견되어 불법한 일을 규찰하는 사헌부의 관리. 행대감찰. ②조선 시대 삼사신(三使臣) 가운데 서장관(書狀官)을 달리 이르는 말
행리(行李) : 여행자가 휴대하는 행장
행문(行文) : ①글을 지음. ②문서를 보냄
행보석(行步席) : 야외의 자리
행영(行營) : 임시병영
행용목(行用木) : 경상비의 무명
행이(行移) : 공문을 보냄
행자(行資) : 使行에 드는 비용
행장(行狀) : 여행증명서. 통행증명서
행장판(行狀板) : 여행권(旅行券)
행재소(行在所) : 임금이 거동하여 임시 머물러 있는 곳. 行在所
행하(行下) : ①정식급여 외에 특별히 더 주는 것. ②분부나 명령을 내림
행회(行會) : 정부의 지시나 명령을 각 관사의 장이 그 부하에게 전달하고 실행 방법을 논정(論定)하기 위한 모임
향둔(餉屯) : 군량 마련을 위한 둔전
향망(鄕望) : 향리에서 인망이 있음
향사(鄕絲) : 명주실
향삼로(鄕三老) : 한(漢)나라 때 고을의 교화를 맡았던 사람
향소(鄕所) : 유향소
향신(餉臣) : 군량을 담당하는 감사나 관향사
향은(餉銀) : 군량용의 은
향천(鄕薦) : 고을의 인재를 추천함
향탄산(香炭山) :능․원․묘(凌園墓)에 쓸 향나무와 숯을 구울 참나무를 기르기 위하여 능․원․묘 부근에 지정해 놓은 산.
향화(向化) : 귀화(歸化)
향화인(向化人) : 귀화인
허결(虛結) : 실제 없는 전결
허록(虛錄) : 허위로 장부에만 있는 것처럼 기록되어 있는 것
허류(虛留) : 창고에 실제 곡식은 없고 장부나 문서상으로 거짓 기록만 남아 있는 것.
허부(許赴) : 과거에 응할 것을 허락함
허시(許施) : 실시하도록 윤허함
허위(虛位) : 각종 사고로 인하여 비어있는 군액(軍額)
허장(虛葬) : 假葬의 뜻인 듯
허접(許接) : 붙여살이
허접인(許接人) : 자기 집에 붙어 있도록 허락한 사람
허체(許遞) : 특지(特旨)를 내려 관직을 교체해 주는 것.
허탈(許頉) : 면제해 줌
허통(許通) : 서얼에게 벼슬길을 열어 줌
허통첩(許通帖) : 허통증서
헌가(軒架) : 궁중 음악의 하나로 대례(大禮)․대제(大祭) 등에 사용하여 종(鍾)․경(磬)․북(鼓)을 시렁에 달고 사죽(絲竹)과 함께 연주함.
헌가악(軒架樂) : 종고(鍾鼓)를 시렁에 걸어놓고 풍악(風樂)에 맞추어 치는 것
헌신(憲臣) : 사헌부의 신료(臣僚)
헌장(憲長) : 대사헌
혁직(革職) : 면직
현경(懸磬) : 텅 비어 있음
현고(現告) : 국가의 행정 지시 사항이나 일반 범죄 사실 등을 해당 관청이나 관원에게 신고하거나 고발함
현관(賢關) : 성균관
현관례(見官禮) : 관리들이 모여 칙사에게 인사함
현궁(玄宮) : 광중(壙中)
현능장경(賢能章京) 현능은 지명이고 장경은 직명.
현량과(賢良科) : 한(漢)나라에서 실시하던 과거 제도의 하나인 현량 방정과(賢良方正科)를 말하며, 경학(經學)에 밝고 덕행(德行)이 높은 사람을 천거하게 하여 대책(對策) 만으로 시험하여 뽑았음.
현량방정(賢良方正) : 漢․唐 이후 관리 임용시험의 과목명. 현량하고 방정한 인사를 선발하였음
현록(懸錄) : 장부에 기록함
현륙(顯戮) : 죄인을 죽여 그 시체를 공중에게 보이는 형벌
현목(玄木) : 북덕 베. 바래지 않아 빛깔이 거무스름한 무명
현방(懸房) : 푸줏간
현병(懸兵) : 후속 원병의 지원이 없이 단독으로 깊이 적지로 침입하는 군병
현보(懸保) : 보증함
현신(現身) : ①옥송(獄訟)에 관계된 원고와 피고가 법정 기일 안에 관가에 출두함. ②도망했던 노비(奴婢)나 죄수가 관가에 자수함. ③지체가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게 처음으로 뵘.
현심(弦心) : 봉투를 봉하여 붙인 아래위의 에인 곳에서의 중심부분.
현옹(縣癰) : 항문과 음부 사이에 나는 종기
현탈(懸頉) : 사고로 처리하여 기록함
현훈(玄) : 혼례의 납폐 예물로 보내는 검은 색과 붉은 색의 비단.
혈구(絜矩)의 도리) : (자기 자신을 살펴 보고, 남을 헤아려서 피차간에 각각 分願가을 얻게 하는 것. 大學에 君子는 혈구의 도리가 있으니, 웃사람이 싫어하는 것으로써 아랫사람을 부리지 않고, 아랫사람이 싫어하는 것으로써 웃사람을 섬기지 않으며, 앞에서 싫어하는 것으로써 뒤에 앞서지 않고 뒤에서 싫어하는 것으로써 앞을 따르지 않으며, 오른쪽이 싫어하는 것으로써 왼쪽과 사귀지 않고 왼쪽이 싫어하는 것으로써 오른 쪽과 사귀지 않는 것이 혈구의 도리이다하였다
혈농(穴農) : 고장에 따라 풍흉(豊凶)이 같지 않은 농사. 구메농사라고도 함.
혈처(穴處) : 시신을 안치하는 곳
협농(峽農) : 두메에서 짖는 농사
협마(挾馬) : 補助馬를 말함
협상(挾商) : 끼어든 장사꾼
협선(挾船) : 큰 전선(戰船)이나 삼선(杉船)에 딸려 있는 작은 배.
협수(狹袖) : 군복(軍服)
협제(脅制) : 위협을 가하여 제재함
협종(脅從) : 강압에 못 이겨 따르는 일
형문(刑問) : 형장으로 정강이를 때리며 캐어 신문하는 일
형부(刑部) : 청국 관청
형신(刑訊) : 고문하여 조사함
형지(形止) : 상황
형지안(形止案) 역노비(驛奴婢)를 자세히 조사하여 작성한 원적부(原籍簿).
형추(刑推) : 죄인에게 刑杖을 가하며 신문하는 일
혜당(惠堂) : 선혜 당상(宣惠堂上)의 준말. 일반적으로 재정(財政) 담당 제조(提調)를 예겸(例兼)하는 호조판서(戶曹判書)의 일컬음.
혜전(蹊田) : 혜전탈우(蹊田奪牛). 소를 끌고 남의 밭에 들어가면 전주(田主)가 벌로 그 소를 빼앗는 다는 고사(故事).
호궤(犒饋) : 군사에게 음식을 접대함
호목(戶木) : 민호마다 내는 무명
호백(湖伯) : 전라감사
호보(戶保) : 군호(軍戶)에 지급하는 보인(保人). 그 보인이 쌀이나 베를 군호에 바침.
호불자(呼不者) : 사관에게 불등급을 받은 자
호상(犒賞) : 음식을 베풀어 상을 내려 주는 것
호서(湖西) : 충청도
호성(扈聖) : 임진왜란 때에 문신에게 베푼 공신호
호수(戶首) : ①민호(民戶)의 대표자. 군역이나 공부(貢賦) 납부의 책임을 짐. ②포병(비변사등록 숙종 13년 10월 16일. 도감의 포보(砲保)에 대한 규례 내용
호씨(胡氏) : 宋의 학자 胡致堂寅을 지칭함인 듯
호우(湖右) : 호서(湖西). 전라우도(全羅右道)
호유(戶喩) : 일일이 찾아 다니니며 이해시킴
호임(戶任) : 동네의 어른
호전(戶典) : 육전(六典)의 하나로 호조(戶曹)에 관한 법전)
호좌(湖左) : 전라도의 별칭
호지(好紙) : 질 좋은 종이
호차(胡差) : 오랑캐의 使者
호포(戶布) : 국가에서 집집마다 구실을 물리어 받는 베. 대개 봄․가을 두차례 징수함.
혼조(昏朝) : 광해군 시기
홍관(虹貫) : 정성이 하늘을 감동시킨 象
홍록주(紅綠紬) : 비단
홍문록(弘文錄) :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 수찬(修撰)을 선임(選任)하기 위해 후보자의 성명을 적은 기록.
홍안․미록(鴻雁麋鹿) : 홍안(鴻雁)은 큰기러기와 작은 기러기이며, 미록(麋鹿)은 고라니와 사슴임.
홍양(弘羊) : 한(漢)나라 낙양사람. 무제 때에 치속도위가 되고 辛에 모반하다 죽음을 당하였다.
홍제원(弘濟院) : 중국사신이 입성(入城)할 때 묵던 공관
홍조(洪造) : 제왕의 덕화
홍치 신해(弘治辛亥) : 성종 22년 1491
홍치(弘治) : 명(明) 효종(孝宗) 연호, 1488~1505.
홍치년간(弘治年間) :1490년에서 1505년사이).
화경(火耕) : 밭가운데 야초를 불로 태워살진 땅을 만드는 것
화매(和賣) : 파는 이와 사는 이가 군말없이 팔고 삼
화명(化名) : 호적부에 등록된 인명
화병(火兵) : 포병(砲兵
화소(火巢) : 능․원․묘 등 해자(垓子)밖에 있는 풀과 나무를 불살라 버린 곳. 산불을 방 지하기 위한 것임. 불의 연소를 막기 위하여 초목을 제거한 곳.
화속전(火贖錢) : 양안(量案)에 올라 있지 않은 토지에 부과하는 세(稅).
화수(和水) : 부피를 늘리기 위해서 곡식에 물을 타는 것
화심(禍心) : 해치려는 마음
화압(花押) : 문서 등에 본인임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붓으로 쓰는 서명(署名)
화외(化外) : 왕의 교화(敎化)
화저(火底) : 앞의 봉화를 보고 뒤로 전달하는 곳
화조(和糴) : 값을 협의하여 팜
화피(樺皮) : 벗나무 껍질로 활의 재료
환도(環刀) : 일본도(日本刀)
환롱질(幻弄-) : 못된 꾀로 속여서 물건을 바꿔치는 짓.
환모(還耗) : 환곡(還穀)을 수납할 때 원곡(元穀) 외에 쥐․새 등에 의한 손실을 채우는 뜻으로 한 섬에 한 말씩 더 받는 것.
환수(還授) : 회수한 직첩 등을 다시 주는 것
환실(還實) : 재해로 처리했던 것을 도로 전결(全結)로 처리하는 것.
환실(還實) : 재해로 처리했던 것을 도로 전결(全結)로 처리하는 것.
환위(環衛) : 주위를 둘러싸서 호위함
환자[還上]) : 각 고을의 사창(社倉)에서 백성들에게 꾸어주고 가을에 이자를 붙여 받아들이는 것. 정부 대여곡.
환정(換定) : 바꾸어서 충정함
환퇴(還退) : 반품
환한(渙汗) : 임금의 명령
환황(旱蝗) : 한재와 병충해의 피해
황구첨정(黃口簽丁) ; 다섯 살 미만의 어린아이를 군적(軍籍)에 올려 군역(軍役)을 부과하는 일. 황구충정(黃口充丁).
황군(黃軍) : 황해도 출신 군병
황단(皇壇) :임진왜란 때 도와준 명나라 신종(神宗)의 은혜를 생각하여 세운 제단.
황당선(荒唐船) : 우리 나라 연해에 출몰하던 소속 불명의 외국 선박
황당인(荒唐人) : 수상한 사람
황력(黃歷) : 중국 황제(皇帝)가 보내 준 달력.
황력재자관(皇曆咨官) : 중국 달력을 가지러가는 임시 관원
황리(橫罹) : 뜻하지 아니한재화에 질림
황육(黃肉) : 쇠고기
황장(黃膓) : 소나무의 속고갱이
황장목(黃腸木) : 연륜이 오래 된 소나무로 목직이 양호하여 관곽(棺槨)을 만드는 데 적합한 목재
황정(荒政) : 기민(飢民)을 구제하는 정사
황지(潢池) : 좁은 토지
황패(黃覇) : 前漢 사람. 良吏로 유명함
회감(會減) : 받을 것과 줄 것을 마주 셈하여 많은 수효에서 적은 수효를 상쇄(相殺)하여 회계 처리하는 것
회갑(盔甲) : 투구와 갑옷
회강(會講) : 왕세자가 매월 두 차례 사부(師傅) 이하 여러 관원을 모아 놓고 경서(經書)를 강론하는 것.
회계(回啓) : 임금의 하문(下問)에 대하여 회답하여 아룀.
회공(回公) : 의정부(議政府)에 도착한 공문(公文)을 의정 이하 모든 관원에게 회람(回覽)시키는 일
회권(會圈) : 의정부에 모여서 적임자의 성명 밑에 권점을 찍는 일
회내(會內) : 미계제분(未計除分)
회란(回鑾) : 환궁(還宮)
회록(會錄) : 국가의 물품을 모아서 임시로 관리하는 일. 또는 세곡(稅穀)이나 공물(貢物)을 징수할 때 축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 1할을 더 받아들이고, 그 1할 내의 1할을 별도로 계상하여 보관하는 일
회록안(會錄案) : 1석(石15두)의 모곡(耗穀) 1두 5승 중에서 10분의 1인 1승 5흡을 호조(戶曹)의 장부에 기입(記入)하여 호조에서 사용하는 것.
회모(會耗) : 회록(會錄)된 모곡
회․민․휘․흠(懷愍徽欽) : 진(晋)의 회제(懷帝)와 민제(愍帝), 송(宋)의 휘종(徽宗)과 흠종(欽宗).
회부(會付) : 금전이나 곡물을 회계장부에 회록(會錄)하고 해당 관아에 넘겨 주는 일
회부곡(會付穀) : 각군에서 초조에 납부하는 還穀 각군의 환곡 1석에 모곡이 1말 5되인데 이가운데에서 10분의 1에 해당하는 1되 5홉은 호조에 납부하고 8되 5홉은 常賑廳에 납부하며 5되를 該郡에서 썼다
회부미(會府米) : 각 고을에서 매년 수봉(收捧)하는 환곡(還穀) 1석(1石은 15斗)에 대하여 모곡(耗穀)이 1두 5승인데, 그 중에서 1/10에 해당하는 1승 5홉을 호조(戶曹)의 장부에 기록하여 호조에서 사용하는 쌀.
회시(會試) : 복시(覆試
회안(會案) : 성안(成案)하는 일. 여기서는 진휼청의 곡물로 성안하여 두고 실제 곡물은 각 고을에 머물러 둠.
회외(會外) : 계제분(計除分)
회유(回諭) : 타이름
회자(回咨) : 중국과 왕복하던 공문서를 자문(咨文)이라 하고 이 자문에 대한 회답 공문을 회자라 함.
회자(回刺) : 처음으로 관직에 제수된 사람이 밤에 귀복(鬼服)을 입고 선임들을 찾아다니며 사 진(仕進)의 허락을 받는 일
회좌(會坐) : 전체 모임
회천(回薦) : 시․원임 한림들이 모여 권점(圈點)을 행하고 이를 대신들에게 문의하여 가부를 결정하는 일.
회추(會推) : 범죄인에 대한 추문(推問)을 명령받은 관리들이 한 자리에 모여 함께 심문하는 일
회하(回下) : 임금이 신하가 올린 안건에 대하여 다시 살펴서 답변을 내리는 일
획(劃) : 양보할 수 없는 線
획급(劃給) : 돈이나 곡식 가운데 일정한 몫으로 떼어 줌. 劃下
횡리(橫罹) : 횡액에 걸림
횡침(橫侵) : 불법으로 징수하는 행위
효렴(孝廉) : 관리 임용시험의 과목명. 효행이 있고 정직 결백한 인사를 선발하였음. 지방관이 중앙정부에 추천하여 임용하였음
효수(梟首) : 목을 베어 장대에 매어 다는 형벌의 하나
효수(梟帥) : 사납고 날랜 장수
효시(鳧示) : 목 베어 장대에 매닮
효주(爻周) : 응당 받을 물건을 수봉(收捧)한 후 그 장부에 실린 성명(姓名)을 효(爻)자 모양으로 그어 지워버리는 것.
후릉(厚陵) : 정종과 그 비의 능
후망(候望) : 경계근무
후반(候班) : 임금이 편치 않을 때 問候하는 반열.
후시(後市) : 밀무역
후시(後時) : 시기에 뒤짐
후우(後憂) : 후면의 적
후원(喉院) : 승정원
후일정(後日政) : 다음 번 정사 때를 말함
후춘(厚春) : 만주(滿洲)에 있는 지명
후춘(後春) : 지금의 琿春을 말함인 듯함
후칙유(候勅諭) : 칙유를 기다림
후풍(候風) : 배가 떠날 때에 순풍(順風)을 기다림.
후효(後效) : 뒤에 세울 功效
훈국(訓局) : 훈련도감
훈어군(訓御軍) : 훈련도감과 어영청 소속의 군병
훈열(勳列) : 녹훈(錄勳)이 됨
휘람(徽覽) : 왕세자의 열람
휘지(徵旨) : 왕세자의 명령
휴양(休養)의 은혜(休養之恩) : 租稅를 경감하여 백성의 財力을 넉넉하게 함
휴치(休致) : 관원이 노쇄하여 소임을 감당하지 못하고 그 직을 사임하는 일. 휴관치사(休官致仕).
휼전(恤典) : 구휼하는 恩典
흉구마(凶咎馬) : 병이 들어 전쟁에 쓰지 못하는 말
흑각(黑角) : 검은 물소의 뿔. 서각(犀角)
흑초(黑草초잡아 놓은 원고).
흔단(釁端) : 분쟁의 불씨
흠안(欠安) : 편찮음
흠천감(欽天監) : 명․청 때의 천문대
흠축(欠縮) : 일정한 수량에서 부족함. 흠결(欠缺
흠휼지전(欽恤之典) : 형벌을 신중히 하고 죄수를 불쌍히 여기는 뜻의 恩典
흥사(興師) : 군사를 출동시킴
흥판(興販) : 장사
희령(熙寧) : 북송(北宋) 신종(神宗)의 연호
희양(犧羊) : 제사지낼 때 獻物로 바치는 양)
'한문 사전, 번역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ㅅ) - (ㅎ) (2) | 2023.04.09 |
---|---|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ㄱ) - (ㅂ) (1) | 2023.04.09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ㄱ) - (ㅅ) (2) | 2023.04.09 |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ㅊ) - (ㅎ) (1) | 2023.04.09 |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ㅅ) - (ㅈ) (1) | 2023.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