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 사전, 서체 사전 25

한자사전, 한문사전, "사슴 록鹿"자를 설명하다, 한자 서체, 한자검색

오늘은 "사슴 록鹿"에 대해서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鹿'자는 뿔이 긴 숫사슴의 옆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사슴은 네발 달린 짐승 중에서는 유일하게 십장생(十長生)에 포함될 정도로 장수를 상징하며, 역사적으로 상서로운 동물 중 하나로 꼽혀왔습니다. 중국을 상징하는 용의 뿔도 사슴의 뿔로 표현하고 있을 만큼 사슴은 신비로운 짐승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사슴을 간단히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은 모습이고, 이것을 고대에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는 그 아래와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전서체에 이르러서, 현재 모습의 한자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고, 예서체로 변화되게 됩니다. 위에 전서체 한자를 보면, 과거 그림에 가까운 갑골문의 상형문자와 현재 사용하는 한자의 중간 단계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

한자 사전, 코끼리 상象자를 설명하다. 갑골문, 금문, 전서로 설명하다.

한자 사전, 코끼리 상象자가 왜 지금과 같은 모양이 되었는지, 알아봅시다. 원시인들이 코끼리를 처음 보았을 때 그 충격과 공포와 경외감은 이루 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코끼리를 보고서, 이것을 보지 못한 부족민들에게 설명을 하였을 것인데, 말과 그림으로 표현했을 것입니다. 그중에서 그림으로 표현한 것들이 아래와 같습니다. 이러한 그림들은 개인의 그림 실력에 따라 천차만별로 표현이 되었을 것인데, 시간이 지나며, 정형화되고 간단해지기 시작했을 것입니다. 이제 그림에서 문자화되는 과정이 펼쳐질 것인데, 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그림문자는, 즉 상형문자는 동물의 뼈나 청동기 그릇에 새겨졌습니다. 그러면서 더욱 정형화되고 단순화 되어, 다음과 같은 문자의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위 서체를 전..

한자의 기원과 한자의 역사 그리고 변화

▲ 한자의 탄생 ​ 한자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하여 생겼는가는 현단계로서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 전설에 의하면 한자는 黃帝라는 아득한 옛날 帝王時代에 기록을 맡았던 창힐(蒼吉頁, 倉吉頁이라고도 쓴다)이 새나 짐승의 발자국에서 암시를 얻어 발명했다고 한다. 물론 글자라는 것은 민족 지혜의 결정이며, 긴 역사 속에서 발전하여 차츰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는 것은 현대에서는 상식이라 해도 좋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한자를 발명했다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로는 생각할 수 없으며, 창힐이 글자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수많이 전해지는 聖人創造傳說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아직 문명이 발달되지 않은 사회에서는, 무엇이든 문화적인 조건을 개발하거나 개량하여 후세 민족의 전체로부터 숭배되는 인간 또는 ..

한자의 기원과 변화 과정 서체 변화

한자(漢字)의 기원 1. 한자(漢字) 기원의 전설 수천년 전 복희(伏羲)라는 임금이 천지 자연을 상징화시켜 팔괘(八卦)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신농씨(神農氏)는 노끈을 매듭지어 결승(結繩) 문자와 비슷한 부호를 사용했다는 전설도 있다. 그 후 황제(黃帝)라는 임금 때 창힐(蒼頡)이라는 사람이 새와 짐승의 발자국을 본떠서 한자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2. 은(殷) 나라의 갑골문자(甲骨文字) 지금부터 약 3,300년 전 은(殷) 나라는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귀갑(龜甲)이나 짐승의 뼈로 점을 쳤는데 그 결과를 거북의 등딱지(龜甲)나 짐승의 뼈(骨)에 새기어 두었다고 하는데 그 문자(文字)가 약 3000자 전해지고 있으나 해득 할 수 있는 수는 약 1,500자라고 한다. 3. 주(周)나라의 금문(..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회 한자급수 시험자료, 잘못 읽기 쉬운 한자, 헷갈리기 쉬운 글자 모음 두 글자가 비슷한 한자 沓*踏 堂*當 旦*但 單*簞 端*瑞 壇*檀 達*撻 談*淡 童*瞳 豆*頭 登*燈 騰*謄 浪*朗 量*糧 弱*溺 답*답 당*당 단*단 단*단 단*서 단*단 달*달 담*담 동*동 두*두 등*등 등*등 낭*낭 양*양 약*익 尼*泥 劇*戱 厥*闕 卷*券 屈*堀 刮*括 貫*慣 溪*鷄 更*便 建*健 唐*糖 到*倒 度*渡 道*導 巨*臣 이*이 극*희 궐*궐 권*권 굴*굴 괄*괄 관*관 계*계 경*편 건*건 당*당 도*도 도*도 도*도 거*신 醵*據 渴*喝 幹*斡 叫*糾 卜*赴 朋*崩 斧*釜 榮*塋 散*撒 粹*碎 傷*觴 祥*詳 象*像 敍*徐 善*鐥 갹*거 갈*갈 간*알 규*규 복*부 붕*붕 부*부 영*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