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급수와 한자 시험

1999년 4회 성균관대학교 한자경시대회 문제

일이삼선생 2023. 4. 22. 22:51
반응형

 

[1~10] 다음 한자어의 讀音을 쓰시오

󰊱 緩衝( ) 󰊲 拳鬪( )

󰊳 脈絡( ) 󰊴 捕捉( )

󰊵 夭折( ) 󰊶 爛熟( )

󰊷 桂冠( ) 󰊸 銳敏( )

󰊹 賃借( ) 燃燒( )

 

[11~20] 다음 단어를 漢字로 쓰시오.

투철( ) 압도( )

첨단( ) 신뢰( )

여유( ) 판로확대( )

국정쇄신( ) 발분망식( )

상전벽해( ) 사상누각( )

󰡔[

[21~27] 다음의 풀이에 알맞은 4자로 된 한자성어(고사

성어)를 쓰시오.

바삐 서둘러 대강대강 보고 지나침을 이르는 말.

( )

스스로 힘쓰며 쉬지 않음.

( )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온다는 뜻으로 일에 실패한 뒤에 다시 힘을 가다듬어 시작함을 이르는 말.

( )

천년에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얻기 어려운 좋은 기회.

( )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도둑을 이르는 말.

( )

염파와 인상여의 고사에서 나온 말로 생사를 함께 할 만한 절친한 벗을 이르는 말.

( )

자기보다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 )

 

 

 

 

 

誰斲崑崙玉 裁成織女梳
牽牛一去後 愁擲碧空虛
白日依山盡 黃河入海流
欲窮千里目 更上一層樓
林亭秋已晩 騷客意無窮
遠水連天碧 霜楓向日紅
( ) ( )
( ) ( )
昨過永明寺 暫登浮碧樓
城空月一片 秋老雲千石
麟馬去不返 天孫何處遊
長嘯依風磴 山靑江自流

[28~33] 다음의 한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을 漢字로 쓰시오.

( )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다음 보기의 내용은 ( )에 각기 들어갈 시구이다. 오언율시에 알맞게 차례대로 배열해 보시오.

( - - - )

 

塞鴻何處去 山吐孤輪月
江含萬里風 聲斷暮雲中

밑줄 친 騷客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

시가 오언 율시인 것을 염두에 두고 의 시구를 바르게 배열해 보시오. ( )

밑줄 친 이 가리키는 인물은 누구인가? ( )

 

[34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음 중 밑줄 친 한자의 讀音이 같은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 )

極 敗

伐 相 引 搜

 

 

 

 

 

다음 중 유사한 成語끼리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은? ( )

炎涼世態 - 矛盾 群鷄一鶴 - 白眉

朝變夕改 - 朝令暮改 刻舟求劍 - 守株待免

다음 중 謙受益과 그 의미가 상반되는 것은? ( )

多則惑 滿招損 虛則實 盈則虧

다음 글의 밑줄 친 자의 뜻을 정확하게 표현한 것은?

 

其人 家給
萬物之靈 不患之不己知

사람답다, , 인간,

사람마다, 인간, 인간, 사람

사람대접하다, 사람마다, 인간,

사람으로 여기다, 사람마다, 인간, 사람

다음 중 밑줄 친 글자의 품사가 다른 것은? ( )

兵革吾亦欲

范增數項王 子謂公冶長可

다음 중 밑줄 친 한자어의 구조가 다른 것은? ( )

秦稍蠶食天下雲集而響應

日出而作 日入而息 有狼當道 人立而啼

 

[4047] 다음 우리 속담과 의미가 통하는 成語를 보기에서 골라 그 부호를 쓰시오.

 

結者解之 井底之蛙 日就月將 一石二鳥
類類相從 同價紅裳 欲速不達 他山之石
朝令暮改 吾不關焉

이왕이면 창덕궁 ( )

가재도 게 편이라 ( )

소 닭 보듯 닭 소 보듯 ( )

어린 아이 말도 귀담아 들어라 ( )

高麗 公事 三日 ( )

바늘 구멍으로 하늘 보기 ( )

원님도 보고 還子도 탄다 ( )

급하면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쓸까 ( )

 

[4850]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 孔子應答弟子時人, 及弟子相與言, 而接聞於夫子
之語也. 當時弟子各有所記, 夫子, 門人相與輯而論
. 故謂之󰡔 ㉣ 󰡕.

윗글의 󰡔㉠󰡕󰡔㉣󰡕에 공통으로 들어갈 두 글자를 한자로 쓰시오. ( )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대상을 찾아 쓰시오. ( )

밑줄 친 의 뜻을 쓰시오. ( )

 

[51~5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吳季札, 吳王壽夢季子也. 使, 徐君, 徐君好季札劍, 口不敢言. 季札心知之, 使上國, 未獻. 還至徐, 徐君已死, 其寶劍, 懸徐君墓木而去. 從者曰 徐君已死, 尙誰予乎? 季子曰 不然. 始吾心已許之, 豈以死吾心哉?

밑줄친 ㉠~㉣의 풀이로 적절치 못한 것은? ( )

① ㉠ : 사신가다 ② ㉡ : 들르다

③ ㉢ : 때문에 ④ ㉣ : 가르다

밑줄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밑줄친 과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은? ( )

事半古之人 功必上恤孤而民不

日夜不處 道兼行 日幷行以逐之

윗 글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 )

信義 貪慾 寬容 ④ ㉣ 名譽

 

[55~5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孟子曰 今有無名之指, 屈而不, 非疾痛害事也, 如有能信之者, 則不秦楚之路, 爲指之不若人也. 指不若人, 則知惡之, 心不若人, 則不知惡, 此之謂不知類也.

밑줄 친 반대되는 뜻을 지닌 글자를 찾아 쓰시오.

( )

밑줄 친 의 번역으로 적절한 것은? ( )

아프지 않으나 일에 해롭다.

아프지 않으면 일에 해롭다.

아프거나 일에 해가 되지는 않는다.

아파서 일에 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밑줄 친 과 같은 의미로 쓰인 것은? ( )

千里 道不

君子庖廚也 水不救近火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59~6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曾子弊衣而耕於魯, 魯君聞之而致邑焉. 曾子辭不受, 曰 非子之求, 君自致之, 奚固? 曾子曰 吾聞受人施者, 常畏人, 人者, 常驕人. 君有賜, 不我驕也, 吾豈能勿畏乎? ( )其富而畏人, 不若貧而無屈.

 

 

 

밑줄 친 ~과 같은 뜻으로 쓰인 한자어끼리 묶인 것은? ( )

, , ,

, , ,

, , ,

, , 退,

밑줄 친 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 )

設令 縱橫 縱迹 放縱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문맥으로 보아 ( )안에 알맞은 글자를 쓰시오.

( )

 

[63~6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學者立志, 雖以聖賢自, 未爲過也. 至於, 則每取其而務廣人之量, .

밑줄 친 ㉠~㉣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 )

① ㉠ : 期約 ② ㉡ : 招待 ③ ㉢ : 長點 ④ ㉣ : 包容

밑줄 친 를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밑줄 친 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 )

해도 된다 할 수 있다 옳다 할 만하다

 

[66~6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李文公公遂, 還自燕京, 中途馬困. 至閭山, 無人, 粟積于野. 從者取食之. 公問, 粟一束, 布幾尺? 如其言, 書布兩端, 置粟積中. 從者曰 人必取去, 何益? 公曰 吾固知之, 然必如是而後, 吾心得安.

윗글에 나타난 德目? ( )

愼行 正直 廉潔 愚直

밑줄 친 과 그 음과 뜻이 같은 것은? ( )

不百步耳, 是亦走也. 蓬生麻中, 不扶自.

春宵一刻, 千金. 報怨, 以德報德.

밑줄 친 의 주체는? ( )

李公遂 從者

 

[6972]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齊王, 有求仕( )齊者, 操瑟而往, 立王之門, 三年不得入. 叱曰 吾瑟鼓之, 能使鬼神上下. 瑟合軒轅氏之律呂. 客罵之曰 王好竽, 鼓瑟, 瑟雖, ( )王不好( ). 是所謂工于瑟, 而不工( )求齊也.
* : 피리 軒轅氏 : 中國 上古時代聖王,
·: 꾸짖다

 

밑줄 친 ㉠~㉣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 )

① ㉠ : 좋아하다 ② ㉡ : ③ ㉢ : 자식 ④ ㉣ : 악공

윗글의 ( )( )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글자는? ( )

밑줄 친 를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왕이 좋아하지 않는 것을 어찌 하겠소의 뜻이 되도록 윗글의 ( )( )에 알맞은 글자를 넣으시오.

( : : )

 

[7377]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杞國有人憂天地崩墜, 身亡所, 寢食者, 又有憂彼之所憂者, 因往之曰 天績氣耳, 亡處亡氣, 奈何憂崩墜乎? 其人曰 땅이 꺼지면 어찌 하리오? 曉之者曰 地績塊耳, 四虛, 亡處亡塊, 奈何憂其壞? 其人舍然大喜, 曉之者亦舍然大喜.

밑줄 친 ⓐ~ⓓ의 뜻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 )

① ⓐ : 보내다 ② ⓑ : 그만두다

③ ⓒ : 깨우치다 ④ ⓓ : 막다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밑줄 친 을 한문 문장으로 바르게 바꿔 쓴 것은? ( )

奈地塊何 地塊奈何

奈何地壞 奈地壞何

윗글에서 유래된 성어를 漢字로 쓰시오.

( )

윗글에서 의미상 잘못된 글자를 찾아 바르게 고쳐 쓰시오.

( )

 

[7880]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曹南冥上疏云 朝鮮吏胥亡國, 可爲痛切. 至于今日, 而吏胥之害, 滋甚. 爲官者朝更暮遞, 席不暇暖, 而吏胥輩, 從少至老, 任事自若, 操縱伸縮, 專在其手, 非止竊簿書盜財物而已. 俗謂江流石不轉, 以此.

밑줄 친 과 그 쓰임이 같은 것은? ( )

心傳心 夷制夷 欲傷生 熱治熱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밑줄 친 이 비유하고 있는 바를 20자 내외로 설명하시오.

( )

 

[8184]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范文正公告諸子曰 吾貧時, 與汝母, 養吾親, 汝母躬執爨, 而吾親甘旨, 未嘗( ). 今而得厚祿, 欲以養親 親不在矣, 汝母亦已早世, 吾所最恨者, 忍令若曹享富貴之樂也?
* : 불때다. 밥짓다

윗글의 흐름으로 보아 () 안에 가장 알맞은 한자는? ( )

밑줄 친 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 4자성어를 한자로 쓰시오. ( )

밑줄 친 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 )

젊은 나이에 죽음 나이가 젊다

나이가 많다 세상에 없다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8589]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實翁曰, 夫地者, 水土之質也, 其體正圓, 旋轉不休, 淳浮空界, 萬物得以依附於其面也. 虛子曰, 古人云, 天圓而地方, 夫子言地體正圓, 何也? 實翁曰, 甚矣, 人之難曉也. 萬物之成形, 有圓而無方, 況於地乎? 月掩日而蝕, 於日蝕, 必圓, 月體之圓也. 地掩日而蝕, 於月蝕, 體亦圓, 地體之圓也. 然則月蝕者, 地之鑑也, 見月蝕而不識地圓, 是猶引鑑自照, 而不辨其面目也, ( )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대상은? ( )

孔子 古人 實翁 虛子

밑줄 친 이 의미하는 바를 5자 내외로 쓰시오.

( )

밑줄 친 의 풀이로 적절한 것은? ( )

달 그림자 해 그림자

달의 모습 해의 모습

문맥으로 보아 ( )안에 적절한 것은? ( )

不亦樂乎 不亦愚乎

不亦悅乎 不亦明乎

윗글에서 實翁지구는 둥글다論據로 제시한 것을 두 자로 된 漢字로 쓰시오.

( )

 

[909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古人云 讀書千遍, 其意自, 謂讀得爛熟, 則不待解 說, 自曉其意也.
() 蘇秦, 讀書欲睡, 引錐自刺其股, 血流至足.
() 董遇嘗語, 學者讀書, 當以三餘, 曰冬者, 歲之餘, 夜 者, 日之餘, 陰雨者, 時之餘也.

밑줄 친 의 음과 뜻을 쓰시오.

(: , : )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밑줄 친 三餘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대상을 윗 글에서 찾아 쓰시오.

( )

 

[93~9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司馬溫公曰 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 積書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讀,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以爲子孫之計也.
() 景行錄曰 恩義廣施. 人生何處, 不相逢. 讐怨莫結. 路逢狹處,難回避.
() 莊子曰 於我善者, 我亦善之, 於我惡者, 我亦善之. 我旣於人, 無惡, 人能於我, 無惡哉.

(), (), ()의 공통된 주제에 해당하는 것은? ( )

積善 信義 努力 恩惠

밑줄 친 의 목적어를 윗글에서 찾아 쓰시오. ( )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윗 글에 사용된 다음 語句 중 밑줄 친 과 구조가 같은 것은? ( )

遺子孫 能盡讀 積陰德 難回避

 

中國之有生員, 我邦之有兩班. 亭林憂盡天下而爲生員, 若余憂通一國而爲兩班. 然兩班之弊, 尤有甚焉. 生員實赴科擧而得玆號, 兩班幷非文武而冒虛名. 生員有定額, 兩班都無限制. 生員世有變遷, 兩班一獲而百世不捨. 況生員之弊, 兩班悉兼而有之哉? 雖然, 若余所望則有之, 使通一國而爲兩班, 卽通一國而無兩班矣. 有少斯顯長, 有賤斯顯貴. 苟其皆尊, 卽無所爲尊也. 管子曰 一國之人, 不可以皆貴, 皆貴則不成而國不利也.

[97~10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밑줄 친 의 뜻을 구별하여 쓰시오.

(: : )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

(: : )

밑줄 친 과 같은 뜻으로 쓰인 한자를 윗글에서 찾아 쓰시오. ( )

밑줄 친 을 우리말로 번역하시오.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