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서예 용어 사전 (ㄱ-ㅎ), 한문사전, 한자사전

【가로쓰기】 서제를 가로로 배열하여 쓰는 방법으로 글자의 윗 부분을 맞추어씀. 【가리개=곡병(曲屛)】 두 쪽짜리의 병풍으로 물건을 가리건 구석 장식용 등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쓰임. 【간가(間架)】 점과 획의 간격을 조형적으로 알맞게 하는 것. 【간찰(簡札)】 간지에 쓴 편지글. 【갈필(渴筆)】 먹이 진하거나, 속도를 빨리 하여, 종이에 먹이 묻지 않는 흰 부분이 생기게 쓰는 필획. 【강약(强弱)】 필획의 표현이 강하고 약한 정도. 【강호(强豪)】 털의 성질이 강한 붓, 황모(黃毛), 낭호(狼豪), 서수(鼠鬚) 등으로 만들어진 것. 【개형(槪形)】 글자의 외형(外形). 【결구(結構)】 점, 획을 효과적으로 조화 있게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것. 【겸호(兼豪)】 강모(强毛)를 호의 가운데에 넣고 두 종류 ..

한국인의 자호(ㅎ)

(ㅎ). 하경회 河慶會 : 자는 際叔. 하경희 河敬姬 : 자는 周叔. 호는 煙波. 하낙 河洛(?-1592) : 자는 道源. 호는 喚醒齋. 하담 河淡 : 자는 應千. 호는 逍遙堂. 하덕망 河德望 : 자는 瞻卿. 호는 養正齋. 하만리 河萬里(1597-1671) : 자는 子長. 호는 養眞堂. 하맹보 河孟寶 : 자는 大哉. 호는 愚溪. 하성 河惺 : 호는 竹軒. 하수일 河受一 : 자는 大易. 호는 松亭 . 하연 河演(1376-1453) : 자는 淵亮. 호는 敬齋․新稀翁. 하용규 河龍奎 : 자는 在見. 호는 杜谷. 하우명 河友明 : 호는 蓮堂. 하위지 河緯地(1387-1456) : 자는 天章․仲章. 호는 丹溪․延鳳. 하윤 河崙(1347-1456) : 자는 大臨. 호는 浩亭 . 하윤 河潤(1452-1500) : 자..

한국인의 자호(ㅊ-ㅍ)

(ㅊ). 차경 車輬 : 자는 士龍. 호는 沙谷. 차규 車逵 : 자는 士鴻. 차덕유 車德裕 : 자는 德夫. 호는 惜陰窩. 차복운 車復運 : 자는 天與. 호는 含思窩. 차식 車軾(1517-1575) : 자는 敬叔. 호는 頣齋. 차신식 車愼軾 : 자는 公謹. 호는 沙村. 차예량 車禮亮 : 자는 汝明. 호는 風泉․風泉子. 차운로 車雲輅(1559-?) : 자는 萬理. 호는 滄洲. 차원부 車原頫(1320-?) : 자는 思平. 호는 雲巖(雲庵)․雲巖居士. 차원철 車元轍 : 자는 善長. 차전곤 車轉坤 : 자는 用之. 호는 丹丘. 차좌일 車左一(1753-1809) : 자는 叔章. 호는 四名子. 차천로 車天輅(1556-1615) : 자는 復元. 호는 五山․蘭嵎․橘室․淸妙居士. 차충량 車忠亮 : 자는 汝恕. 차헌규 車憲奎 ..

한국인의 자호(ㅈ)

(ㅈ). 자수 子秀(1664-1737) : 자는 孤松. 호는 無竟. 자초 自超(1327-1405) : 호는 無學․溪月軒. 장가순 張可順(149-1550) : 자는 子順. 호는 思齋. 장갑규 張甲奎(1529-1608) : 자는 卓爾. 호는 松林山人. 장경세 張經世(1547-1615) : 자는 兼善. 호는 沙村. 장경우 張慶遇 : 자는 天休. 호는 晩晦堂. 장경주 張敬周(1710-?) : 자는 禮甫. 장경중 張敬重 : 자는 仲肅. 호는 翠翁. 장계문 張季文(1413-1479) : 자는 斐然. 장계선 張繼先(1570-1619) : 자는 孝伯. 장낙현 張洛賢 : 자는 雲擧. 장대철 張大哲 : 자는 明哉. 호는 暎翠堂. 장덕주 張悳冑 : 호는 玉川. 장도문 張道文 : 자는 君郁. 호는 壽谷. 장도순 張道純 : 자..

한국인의 자호(ㅇ)

안건安健 : 자는 汝玉. 안건영安健榮(1845-?) : 자는 孝元. 호는 海士․梅士. 안견安堅 : 자는 可度․得守. 호는 玄洞子․朱耕. 안결安玦 : 자는 可佩. 호는 丹坡. 안겸제安兼濟 : 자는 達夫. 호는 八下. 안경安璥 : 자는 伯溫. 호는 芹田. 안경공安景恭(1347-1421) : 자는 遜甫. 안경달安景達 : 자는 而會. 호는 楓溪. 안경룡安慶龍 : 자는 羲瑞. 호는 磻西. 안경민安敬民 : 자는 聖新. 안경빈安敬彬 : 자는 敬三. 안경수安駉壽 : 자는 聖哉. 안경신安敬身 : 자는 聖修. 안경열安景說(1712-1779) : 자는 殷老. 안경지安敬智 : 호는 松菴. 안경창安慶昌 : 자는 彦聖․仁國. 호는 四耐. 안경태安敬台 : 자는 敬三. 안공신安公信 : 자는 大孚. 호는 梅潭. 안광렴安光濂 : 자는 ..

한국인의 자호 (ㅅ)

(ㅅ). 사성 師誠(1836-1910) : 자는 景來. 호는 克庵. 삼우 三愚(1622-1684) : 호는 醉如. 상득용 尙得容 자는若能. 호는 德翁. 상붕남 尙鵬南(1511-?) : 자는 天翼. 호는 得月子. 상언 尙彦(1707-1791) : 호는 雪坡. 상진 尙震(1493-1564) . 자는 起夫 : 호는 松峴․泛虛齋․嚮日堂. 새봉 璽封(1687-1767) : 자는 混迷. 호는 霜月. 서강 徐岡(?-1461) : 자는 后山. 서거정 徐居正(1420-1488) : 자는 剛中. 호는 四佳亭․亭亭亭. 서견 徐甄 : 호는 麗窩. 서경덕 徐敬德(1489-1546) : 자는 可久. 호는 復齋․花潭. 서경보 徐畊輔(1771-?) : 자는 任世. 호는 卯翁. 서 경우 徐景雨(1573-1645) : 자는 施伯. 호는..

한국인의 자호 (ㅁ-ㅂ)

(ㅁ). 마격 馬格 : 자는 士正. 마계변 馬繼卞 : 자는 子承. 마도겸 馬道謙 : 자는 公綏. 호는 東谷. 마행하 馬孟河 : 자는 君範. 마사종 馬嗣宗 : 호는 樂圃. 마상원 馬尙遠 : 자는 而重. 호는 八垓. 마성린 馬聖麟 : 자는 聖羲. 호는 眉山. 마승 馬勝 : 자는 魯夫. 호는 智谷. 마영 馬榮 : 자는 和淑. 호는 南谷. 마유 馬游 : 자는 穉學. 호는 魯谷. 마응방 馬應房(?-1597) : 자는 靖叔. 호는 龍庵. 마정립 馬挺立 : 자는 達之. 호는 漢南. 마지원 馬志遠 : 자는 仲老. 호는 晩雲. 마지휘 馬之徽 : 자는 伯輪. 마하수 馬河秀(?-1597) : 자는 先天. 호는 舟村. 마희경 馬羲慶(1585-1649) : 자는 仲積. 호는 竹溪處士. 마희상 馬羲祥 : 자는 仲奎. 호는 槐堂...

한국인의 자호 (ㄴ-ㄷ)

(ㄴ). 나걸 羅杰 : 자는 仲興. 나급 羅級(1552-?) : 자는 子升. 호는 後谷. 나남회 羅南會 : 자는 貴尋. 나덕헌 羅德憲(1573-1640) : 자는 憲之. 호는 壯巖. 나만갑 羅萬甲(1592-1642) : 자는 夢賚. 호는 鷗浦. 나무춘 羅茂春(1580-1619) : 자는 大年. 호는 九華. 나문규 羅文奎 : 자는 聚之. 호는 松寓. 나문기 羅文箕 : 자는 聖範. 호는棲雲. 나석좌 羅碩佐(1698-1744) : 자는 仲輔. 나성두 羅星斗(1614-1663) : 자는 于天. 호는 棋洲. 나세찬 羅世纘(1498-1551) : 자는 丕承. 호는 松齋. 나수규 羅壽圭 : 호는 德巖. 나숙 羅淑(?-1546) : 자는 善源. 나식 羅湜(?-1546) : 자는 正源. 호는 長吟亭. 나안세 羅安世 : ..

한국인의 자호 정리 (ㄱ), 한문사전, 한자사전, 인명사전

각민 覺敏(?-1615) : 호는 松坡. 각성 覺性(1575-1660) : 호는 碧巖. 각안 覺岸(1820-1896) : 호는 梵海. 자는 幻如. 각운 覺雲 : 호는 龜谷. . 각훈 覺訓 : 호는 高陽醉髡. 강겸 姜謙(1654-1703) : 자는 士益. 호는 南齋. 강경서 姜景叙(1443-1510) : 자는 子文. 호는 草堂. 강경선 姜景善 : 자는 元景. 호는 克齋. 강경선 姜敬善 : 자는 雲瑞. 강곽 姜漷 : 호는 俟翁. 강귀손 姜龜孫 : 자는 용휴. 강규 姜逵 : 자는 仲鴻. 호는 井田. 강규환 姜奎煥(1697-1731) : 자는 長文. 호는 存齋. 강극성 姜克誠(1526-1576) : 자는 伯實. 호는 保晩堂․醉竹. 강노 姜㳣(1809-1887) : 자는 期仲. 호는 豹雲․貞隱. 강담 姜紞 : 호..

불교용어사전 (하), 한문사전, 한자사전

하(訶) : 【범】 Ha [하](또는 賀ㆍ呵ㆍ欨ㆍ歌). 실담(悉曇) 50자문(字門)의 하나. 일체법인불가득(一切法因不可得)의 뜻, 또는 해번뇌이욕(害煩惱離欲)의 소리라고도 함. 이것은 하(訶)로써 비로소 인(因)의 뜻을 가진 범어 계달박(係怛嚩, Hetavas), 또는 해(害)의 뜻을 가진 범어 하타 Hata에서 해석한 것. 옛부터 이것을 인업(因業)의 하(訶)자라 함. 하(夏) : 4.16~7.15(또는 5.16~8.15)의 여름 90일 동안, 이 시기는 인도의 장마철(雨期). 비가 많이 와서 비구들이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밥을 빌기가 어려우므로, 한 곳에 머물러 있으면서 수행함. 이것을 하안거(夏安居)ㆍ우안거(雨安居)ㆍ하좌(夏坐)ㆍ하행(夏行)ㆍ하롱(夏籠)이라고도 하며, 이 하안거에 들어가는 것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