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불교 어휘 사전 (ㅊ) - (ㅎ)

◎ 차계(遮戒) : 遮卽遮止,謂飮酒多有過失,能犯諸戒,是故佛特遮止,令不毁犯,乃能守護餘之律儀,是名遮戒。 ◎ 차나가나국(遮羅迦羅國) : 遮羅迦羅國諸釋子,得一分舍利,歸國起塔供養。 ◎ 차방무부번(此方無不翻) : 謂如梵語閻浮提,華言勝金洲。西域有樹名閻浮樹,下有河,河有金沙,故名勝金。今不言勝金者,以此方無此樹,故諸經中但存梵語,是爲此方無,故不翻也。 ◎ 차별가립심사(差別假立尋思) : 謂於諸法能詮之中,推求差別,惟是假立名言,皆悉不實,是爲差別假立尋思。 ◎ 차별구부득(差別求不得) : 謂於名於物,各有差別之相,一一分別推求,悉歸於空,皆不可得。故論云:推名差別及物差別,知俱空,故悉不可得,故云差別求不得。 ◎ 차별망상(差別妄想) : 謂妄計色等有可見可對之色,有不可見可對之色,有不可見無對之色,是名差別妄想。(可見可對色者,卽靑黃等色,眼可見,亦可對也;不可見..

불교 어휘 사전 (ㅇ) - (ㅈ)

◎ 아(兒) : 兒者,卽母之女,於己爲姊妹也。 ◎ 아(兒) : 兒者,卽父之子,於己爲兄弟也。 ◎ 아(我) : 謂於五陰等法中,無明不了,妄計有我、我所之實,故名爲我。 ◎ 아견(我見) : 謂不知此身五蘊所成,虛假不實,妄計爲身,强立主宰,恒執爲我,是爲我見。(五蘊者,色蘊、受蘊、想蘊、行蘊、識蘊,爲五也。). ◎ 아견(我見) : 謂衆生於五陰法中,妄計有我、我所,執之爲實,强立主宰,是名我見。(五陰者,色陰、受陰、想陰、行陰、識陰也。我、我所者,我卽衆生假名,我所卽五陰之身也。). ◎ 아견공고(我見貢高) : 謂人妄執我見,心懷貢高,瞋恚一切衆生,是以離於菩薩行也。 ◎ 아견망상(我見妄想) : 謂於色受想行識五蘊法中,妄計有我,是名我見妄想。 ◎ 아견신박(我見身縛) : 我見,卽見取也。謂於非涅槃法中,妄自分別,以爲涅槃,生心取著,名爲見取。由此我見,增長惑業,束縛於..

불교 어휘 사전 (ㅂ) - (ㅅ)

◎ 박문무진(博聞無盡) : 謂菩薩聞如是法,卽當奉行,思欲化他,必須博學一切經典,與夫世間藝術無不諳練,求聞稟聽,心不疲厭,是名博聞無盡。 ◎ 박부박망상(縛不縛妄想) : 謂於一切法,以情生著,故則成繫縛;若離妄想,則無繫縛。凡夫不了,於此無縛解中,而生計著,是名縛不縛妄想。 ◎ 박죽(薄粥) : 薄粥者,或用米,或用粟,煮爲稀粥也。 ◎ 박지(薄地) : 謂三乘之人,斷欲界六品思惑,欲惑稍輕,得眞諦理,故名薄地。(六品者,謂欲界思惑分爲九品,此卽前之六品也。思惑者,謂眼等五根對色等五塵而起貪愛也。). ◎ 박천부수사교(薄賤不隨師敎) : 謂法將滅時,善行寡少,爲此道者,悉皆輕薄。汚賤之徒,不修威儀,進止不順師長敎誨,耽習下流,無所聞見,是爲法沒時之穢行也。 ◎ 박추하(縛芻河) : 梵語縛芻,華言靑河。此河從阿耨達池西面琉璃馬口流出,繞池一匝,入西北海。(梵語琉璃,華言靑色寶。..

불교 어휘 사전 (ㄷ) - (ㅁ)

◎ 다동확지옥(多銅鑊地獄) : 謂獄卒捉罪人,倒投鑊中,擧身爛壞,以鐵鉤取置餘鑊中,苦毒無量,久受苦已,方出此獄,復到石磨地獄。 ◎ 다망(多忘) : 謂比丘於諸法義,不能强記,心多忘失,則自於戒檢必有所遺,故不可爲師而授人戒也。 ◎ 다문비구(多聞比丘) : 樂誦經典,旁搜廣記,謂之多聞。比丘多聞,固爲可稱,然學雖有餘,其心不誠,而行不逮,亦不足貴;此天神之所以不贊護也。 ◎ 다문충지(多蚊蟲地) : 謂有蚊蚋聚集之處,忌於結界建壇,誦咒作法,以其能喧鬧,又能[#F]人,不得寂靜,作法難成也。 ◎ 다병(多病) : 多病者,謂因前世惱害衆生,令其不得自在,故感今生自身亦多疾病也。 ◎ 다산중생삭식관(多散衆生數息觀) : 謂心多散亂之人,當用數息觀治之。數息者,以鼻中出入之息,或數出息,或數入息,端心正念,從一至十,不多不少,周而復始,令心不散亂。故云多散衆生數息觀。 ◎ 다욕(多..

불교 어휘 사전 (ㄱ) - (ㄴ)

가가(家家) : 家家者,受生處不一也。謂此人於欲界九品思惑中,若斷三四品,或於天中三二家受生,或於人中三二家受生,方得證第二斯陀含果也。 ◎ 가간(家慳) : 謂有衆生,心作是念:獨我出入此家,不容餘人;設有餘人,我當於中爲勝,是名家慳。 ◎ 가견유대색(可見有對色) : 可見有對色者,卽一切色塵也。謂世間之色,眼則可見,有對於眼故也。 ◎ 가관(假觀) : 假者,無法不備之謂也。謂觀一念之心具足一切諸法,名之爲假。由觀一念假故,一假一切假,無空無中而不假,以三觀皆能立法故也。蓋空立眞諦之法,假立俗諦之法,中立中諦之法;三法皆立,卽爲妙假,是名假觀。 ◎ 가구료번뇌현항(可救療煩惱現行) : 謂人勤修道行,斷生死惑業,如救療衆病,但知生死之病而可救療,不知樂著涅槃之心相續不捨,故名可救療煩惱現行。(梵語涅槃,華言滅度。). ◎ 가나구타가전연(迦羅鳩馱迦旃延) : 梵語迦羅鳩馱,華言..

한문 번역 의뢰, 한자 입력비, 한문 번역 단가와 출판

한문 번역을 하려면 우선, 의뢰자께서 해당 이미지나 텍스트를 보내주세요. 빠른 시간 안에 검토하고 분석하여, 작업과정과 작업비를 설명해 드립니다. 많은 연락 바랍니다. 일반적인 작업과정과 작업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1. 번역 작업 과정 1) 이미지 작업 : 원본 이미지를 우선 작업하기 용이하게 네이밍하여 작업합니다. 2) 원문 입력 : 행초서나 해행서로 이루어진 원본을 한자로 입력하거나 탈초합니다. 3) 원문 교정 : 입력한 파일을 재검토하며 교정을 하고, 때에 따라서는 표점 작업을 진행합니다. 4) 초벌 번역 : 입력을 통해 획득된 한자를 한글로 번역합니다. 5) 교정 및 편집 : 초벌 번역한 내용을 검토하며 교정하고, 주석을 첨가하며, 문장의 스타일을 넣어 가독성을 높입니다. 6)..

이십오사二十四史 인명록, 25사史 인명록 (ㅈ) - (ㅎ)

자가빙처직액(者架聘妻直額) 자공(子孔) 자당(自當) 자도(子都) 자란(子蘭) 자미(子亹) 자비(子比) 자사(子駟) 자산(子産) 자상(子常) 자서(子西) 자석(子晳) 자여도(訾汝道) 자연불화(者燕不花) 자옥(子玉) 자유(藉孺) 자지(子之) 작배(綽拜) 작이제(綽爾濟) 작화낙(綽和諾) 잔잠(棧潛) 잠거윤(昝居潤) 잠문본(岑文本) 잠문소(岑文昭) 잠선방(岑善方) 잠용빈(岑用賓) 잠육보(岑毓寶) 잠육영(岑毓英) 잠장채(岑長債) 잠지경(岑之敬) 잠지리(岑之利) 잠지상(岑之象) 잠질(岑晊) 잠추(岑陬) 잠팽(岑彭) 잠희(岑熙) 잠희(岑羲) 잡라태(雜羅台) 잡리불화(雜里不花) 잡아적(雜兒赤) 잡아지(雜兒祗) 잡이직반(雜爾直班) 장(려+조)(張(旅+鳥)) 장■(張■) 장■(張■) 장■(庄■) 장■(張■) 장■(張■) ..

이십오사二十四史 인명록, 25사史 인명록 (ㅇ)

아계(阿桂) 아관(兒寬) 아극돈(阿克敦) 아극선(阿克善) 아기(阿寄) 아나괴(阿那瓌) 아남달(阿南達) 아납해(阿納海) 아노도(阿魯圖) 아노와정(阿老瓦丁) 아노혼살리(阿魯渾薩理) 아노휘첩목아(阿魯輝帖木兒) 아늑근몰도노(阿勒根沒都魯) 아늑근문경(阿勒根文卿) 아늑근언충(阿勒根彦忠) 아니가(阿尼哥) 아니사호(阿尼沙瑚) 아단우(兒單于) 아달예(阿達禮) 아답적(阿答赤) 아라납(阿喇納) 아란주(阿蘭珠) 아란태(阿蘭泰) 아롱연숭처녹씨(阿隴聯嵩妻祿氏) 아뢰(阿賴) 아뢰(雅賚) 아뢰(雅賴) 아리가실리(阿里嘉室利) 아리걸실첩목아(阿里乞失帖木兒) 아리곤(阿里袞) 아리골(阿里骨) 아리한(阿里罕) 아리해아(阿里海牙) 아린첩목아(阿鄰帖木兒) 아만태(阿滿泰) 아만태(雅滿泰) 아매(阿每) 아목양(阿木穰) 아민(阿敏) 아민도(阿敏道) ..

이십오사二十四史 인명록, 25사史 인명록 (ㅁ) - (ㅅ)

마■기(馬■祺) 마가운(馬嘉運) 마강중(馬剛中) 마건(馬乾) 마건충(馬建忠) 마견백(馬見伯) 마견용(馬肩龍) 마경(馬京) 마경덕(馬敬德) 마경륜(馬經綸) 마경상(馬慶祥) 마계(馬繼) 마계량(馬季良) 마고(瑪枯) 마공(馬公) 마공영(馬孔英) 마과(馬科) 마광(馬光) 마광(馬爌) 마광원(馬光遠) 마광조(馬光祖) 마광휘(馬光輝) 마구주(麻九疇) 마국주(馬國柱) 마궁(馬宮) 마귀(麻貴) 마귀중(馬貴中) 마균(馬鈞) 마근(馬謹) 마금(麻錦) 마기(馬琪) 마기(馬墍) 마기(瑪奇) 마납(瑪拉) 마늑길(麻勒吉) 마당(馬堂) 마득공(馬得功) 마득신(馬得臣) 마라(馬喇) 마라희(馬喇希) 마량(馬良) 마량(馬亮) 마량주(馬良柱) 마령모(馬令謨) 마령종(馬令琮) 마록(馬錄) 마료(馬廖) 마륭(馬隆) 마릉(馬棱) 마리(馬理) ..

이십오사二十四史 인명록, 25사史 인명록 (ㄱ) - (ㄹ)

이십사사(二十四史)는 중국에서 정사(正史)로 인정받는 역사서 24종의 통칭이다. 다음 왕조에서 정사로 인정받은 것만을 모은 것으로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순서 제목 제작국가 저자 제작 시기 권수 1 사기(史記) 전한(前漢) 사마천(司馬遷) 기원전 2 총 130권 2 한서(漢書) 후한(後漢) 반표(班彪)등 50년대 ~ 100년대 총 120권(100편) 3 후한서(後漢書) 유송(劉宋) 범엽(范曄) 432년 ~ 450년대 총 130권 4 삼국지(三國誌) 서진(西晉) 진수(陳壽) 280년대 ~ 290년대 총65권 5 진서(晉書) 당(唐) 방현령(房玄齡) 외 620년대 ~ 636년 130권 6 송서(宋書) 남량(南梁) 심약(沈約) 500년대 ~ 510년대 총 100권 7 남제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