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한문 번역어 사전, 한문 단어 용어 해설 한문사전

◎ 가감삼향산(加減蔘香散) : 가감심신탕(加減心腎湯)와 같은 뜻. ◎ 가경전(加耕田) : 양안(量案)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새로 경작한 전답. ◎ 가관(假官) : 특별한 임무나 사정이 있을 때 임시로 임명하는 관원의 통칭. ◎ 가급(加給) : 더 지급하다. ◎ 가납(嘉納) : 간하는 말이나 권하는 말을 옳게 여겨 받아들임. ◎ 가노(家奴) : 가노비(家奴婢). ◎ 가도(呵導) : 대각(臺閣), 승지(承旨), 내각(內閣)의 직제학, 직각, 대교가 궐내(闕內)에서 다닐 때 인배(引陪)가 앞에서 소리치며 전도(前導)하던 일. ◎ 가동(家僮) : 사가(私家) 노복(奴僕)의 총칭. ◎ 가망(加望) : 망통(望筒)을 올린 데 대해, 삼망(三望)에 든 사람이 왕의 마음에 들지 않거나, 달리 첨가할 만한 사람이 있거나..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ㅅ) - (ㅎ)

◎ 사(些) : 적을 사. ◎ 사(俟) : 기다릴 사. ◎ 사(射) : 실흘 역. ◎ 사(祠) : 사당. ◎ 사(紗) : 깁 사. ◎ 사(肆) : 가가 사. ◎ 사(飼) : 먹일 사. ◎ 사(駟) : 빠른말 사. ◎ 사(榭) : 사뎡 사. ◎ 사(儩) : 다할 사. ◎ 사(涘) : 물가 사. ◎ 사경구갈(四經裘葛) : 사년된 말. ◎ 사고(四顧) : 사면으로 도라보는 뜻. ◎ 사구(四求) : 사면으로 구하는 뜻. ◎ 사난(乍暖) : 적이 땃땃한 뜻. ◎ 사니(似泥) : 과이취한모양. ◎ 사령운(謝靈運) : 人名畢婚斷家事. ◎ 사리(仕履) : 벼슬하는 사람의 안부 ◎ 사림(士林) : 각쳐 선배. ◎ 사매(舍妹) : 누의. ◎ 사면수화(似免水火) : 수렴과 화렴은 면할 듯. ◎ 사문(私門) : 겸사니 내 집..

간찰 용어 사전, 옛 편지 어휘 사전 (ㄱ) - (ㅂ)

◎ 가(假) : 거짓 가. ◎ 가(呵) : 꾸지즐 가. ◎ 가(暇) : 겨를 가. ◎ 가가(可呵) : '스스로 생각해도 우습다'는 뜻으로, 흔히 편지(便紙) : 에 쓰이는 말. ◎ 가경취숙(駕輕就熟) : 韓文에如駕輕車就熟路. ◎ 가관(加冠) : 冠禮하다는 뜻. ◎ 가군(家君) : 부친. ◎ 가기(可旣) : 다하는 뜻. ◎ 가내(家內) : 왼집안. ◎ 가동(呵凍) : 온손록임이라. ◎ 가례(家隸) : 집하인. ◎ 가루(家累) : 집안일. ◎ 가리(珂里) : 他人鄕里之稱. ◎ 가면(加勉) : 더힘씀이라. ◎ 가무(家務) : 집안일. ◎ 가배(嘉排) : 八月十五日. ◎ 가부(葭莩) : 姻親. ◎ 가사(葭思) : 詩云蒹葭蒼蒼이어날白露爲霜 ◎ 가산(家山) : 고향. ◎ 가산(家產) : 가산. ◎ 가상(可尙) : ..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ㅇ) - (ㅎ)

아공(衙供) : 관아의 지공 아권(衙眷) : 현지에서 데리고 있는 가족 아다개(阿多介) : 털요 아대부(阿大夫) 전국시대 제(齊)나라 즉묵(卽墨지명)의 대부(大夫지방관 명칭)는 날마다 정사를 잘못한다는 말만 왕의 귀에 들려오고 아(阿지명)의 대부는 잘한다는 말만 들려오므로 위왕(威王)이 비밀리에 조사해 보니 즉묵대부는 어진 사람으로 정사를 잘하였고, 아대부는 폭정만 일삼으면서도 왕의 좌우에 뇌물을 뿌려 일부러 왕에게 들리게 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위왕은 노하여 전국에 포고하고 아대부를 기름 가마에 삶아 죽이니 전국의 관기(官紀)가 일신(一新)하였다. 아대부(阿大夫)전국시대 제(齊)의 위왕(威王)이 들으니 즉묵(卽墨고을 이름)의 대부(大夫행정관)는 정사를 잘못한다는 소문이 날마다 들리고 아(阿고을 이..

조선시대 역사서 용어 사전 (ㄱ) - (ㅅ)

가가(假家) : 임시 필요에 의하여 건축한 가건물. 가경전(加耕田) : 토지의 측량을 마치면 토지대장을 정리하여 호조에 두고, 이를 원장부(元帳簿)라 하며 이 원장부에 기록된 토지를 원전(元田)이라 함. 그후 그 인접지를 개간하여 경작하고 있으나 아직 토지대장에 등록이 되지 않은 토지를 말함. 가도(椵島) : 모문룡(毛文龍)이 주둔했던 섬 가렴 주구(苛斂誅求) : 가혹하게 세금을 징수하며, 무리하게 재물을 빼앗음. 가립(加立) : 정해진 날 수 외로 더 서는 것 가망(加望) : 조선시대 관리 인사 방법의 하나. 일반적으로 관리 후보자 명단인 망단자(望單子)를 올리는 의망(擬望)을 했을 때 적합한 사람이 없거나 임금의 의중에 있던 사람이 올라 있지 않을 경우 추가 후보자 명단을 올리도록 하는 것. 또는 삼..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ㅊ) - (ㅎ)

차(遮) : 「這」와 같다. 󰡔大慧書答󰡕曾侍郞, 「如上○一絡索、只在當人末後一念眞實而已。」 차(差) : ①스치듯 지나가다, 닳다.「蹉」와 통용하는 경우가 많다. 󰡔祖堂集󰡕5권 龍潭崇信章, 「見卽直下便見、擬思則便○。」 ②병이 낫는 것을 말한다. 「瘥」라고도 쓴다.「差可」라고도 한다. 󰡔悟性論󰡕, 「若作此會者、一切諸相、不離自解、一切諸病、不治自○、此皆大禪定力。」 ③남에게 일을 부탁함. 󰡔祖堂集󰡕5권 石室善道章, 「在後木口出世、數年後遷化。主事○兩人往洞山、達哀書。」 차(且) : 어기(語氣)를 약간 완화하는 말. 자, 어쨌든. 우선. 문어(文語)의「또한」과 다르다. 󰡔臨濟錄󰡕行錄12, 「○坐喫茶。」 차간(此間) : 여기. 옛날에는「此中」이라 했다. 󰡔祖堂集󰡕7권 夾山善會章, 「師問雲蓋、近離什麽處。對云、近離郞州。師○○..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ㅅ) - (ㅈ)

사(似) : ①「如」와 같다. 󰡔祖堂集󰡕13권 報慈光雲章, 「平生被人請益、口○ 扁檐。」 ②「示」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傳心法要󰡕13, 「撒手○君無一物、徒勞謾說數千般。」 사(死) : 타락의 극을 형용한 접두어.「사랑당(死郞當)」,「사흘달(死忔怛)」따위. 또는 반대로 적극적인 철저함을 형용하는 강세어.「사급(死急)」「사공부(死工夫)」「사대두(死對頭)」등. 사(嗄) : 쉿! 하는 소리. 또는 그 목소리를 내는 것. 대개 판단정지를 강요할 경우에 쓰인다. 󰡔祖堂集󰡕6권 投子大同章, 「問、便請和尙直指。師○。僧曰、卽這个、別更有也無。師曰、莫閑言語。」 사(賖) : 「奢」와 통용. 사치, 지나치게 충분한 정도. 󰡔古尊宿語錄󰡕5 興化存奬章, 「大覺爲我太○。󰡔同󰡕25 大愚守芝章, 「棒喝齊施早已○。」 사가(乍..

불교 문헌 낱말 사전 (ㄱ) - (ㅂ)

가(可) : 병이 낫는 것. 「痊可」라고도 한다. 󰡔한산시󰡕에, 「人生不滿百、常懷千載憂。自身病始○。又爲子孫愁。」 또는「差」라고도 한다. 가가(可可) : 다소, 어느 정도. 또는 제법, 상당히, 라는 뜻의 속어. →「可可地」󰡔傳燈錄󰡕28권 南泉普願語, 「如未出家時、曾作什麽來。且說著、共儞商量。曰、恁麽時某甲不知。師曰、旣不知、卽今認得○○是也。」 󰡔한산시󰡕에, 「昔時○○貧、今朝最貧凍。」 가가(呵呵) : 웃는 소리의 의성어. 󰡔傳燈錄󰡕30권 獲珠吟, 「歌復歌、盤陀石上笑○○。」 󰡔碧巖錄󰡕66칙 本則, 「巖頭○○大笑。」 가가관세음,처처미타불(家家觀世音、處處彌陀佛) : 집집마다 관음보살, 가는 곳마다 아미타불. 󰡔續古尊宿語要󰡕3권 白雲端, 「揚眉瞬目、拈鎚豎拂、彈指謦欬、盡是抓鈎搭索。海會金日還免過也無。○○○○○、○○○○○。..

고려대장경 해제 팔만대장경 간략 해제 (ㅅ) - (ㅎ)

사가매경(私呵昧經) 1권. K-358, T-532. 오(吳)나라 때 지겸(支謙)이 223년에서 253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도수경󰡕․󰡔도수삼매경󰡕․󰡔보살도수경󰡕․󰡔사가삼매경󰡕․󰡔사말경󰡕․󰡔사아말경󰡕․󰡔사아매경󰡕이라고도 한다. 보살도의 수행과 일체지(一切智)를 얻은 여래의 공덕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 장자 서심(誓心)의 아들인 사가매(私呵昧)에게 부처님께 의지하여 머무르고, 큰 원(願)을 지니며, 지혜를 싫어함이 없는 것 등 6가지의 행을 설하시고, 보살이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기 위해서는 몸이 있다고 헤아리지 않아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또한 부처님의 10력(力)과 4무소외(無所畏), 위없는 바르고 참된 도에 대해서도 설하신다. 사갈비구공덕경(佛說沙曷比丘功德經) 1권. K-851, ..

고려대장경 해제 팔만대장경 간략 해제 (ㄱ) - (ㅂ)

(불설)관불삼매해경(佛說觀佛三昧海經) 10권. K-401, T-643. 유송(劉宋)시대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Buddhabhadra) 번역. 부처님께서 가비라국 니구루타 숲에서 부왕과 이모를 위하여 관불삼매에 들어 해탈을 얻을 것을 가르치신 것. (불설)니구타범지경(佛說尼拘陀梵志經) 2권. K-1463, T-11. 북송(北宋)시대 시호(施護, Dānapāla) 번역. 동일한 내용이 팔리어 장부 경전의 제25경에 들어 있다. 이역본으로 󰡔잡아함경󰡕 제8 「산타나경(散陀那經)」․󰡔중아함경󰡕의 제104 「우담바라경(優曇婆羅經)」이 있다. (불설)대공작주왕경(佛說大孔雀呪王經) 【범어】 Mahāmāyūrī(vidyārājñī)(stra). 3권. K-303, T-985. 당나라 때 의정(義淨) 번역. 독사를 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