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불교용어사전 (마)

마(麽) : 【범】 ba (또는 婆ㆍ末ㆍ拔).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박불가득(一切法縛不可得)의 뜻, 결박을 해탈하는 소리라 한다. 이것은 결박의 뜻을 가진 범어 bandhana라는 말에서 해석한 것. 마(摩) : 【범】 ma (또는 莽ㆍ麽ㆍ磨).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오아불가득(一切法吾我不可得)의 뜻. mamatā(自我)에서 해석한 것. 또는 식교만(息憍慢)의 소리. mada-māna(憍慢)라는 말에서 해석한 것. 마(魔) : 마라(魔羅, māra)의 준말. 장애자(障礙者)ㆍ살자(殺者)ㆍ악자(惡者)라 번역. 몸과 마음을 요란케 하여 선법(善法)을 방해하고, 좋은 일을 깨뜨려 수도에 장애가 되는 것을 말한다. 구역(舊譯)의 경론에서는 마(磨)라 하였으나, 양(梁)나라 무제 때부터 마(魔)로 ..

불교용어사전 (라)

라(邏) : 【범】 la (또는 砢ㆍ羅ㆍ欏ㆍ拉).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상불가득(一切法相不可得)의 뜻, 또는 단애지(斷愛支)의 소리라 한다. 이것은 상(相)의 뜻을 가진 범어 lakṣaṇa, 혹은 애지(愛支)의 뜻을 가진 범어 laṅghana에서 해석한 것. 라(羅) : 【범】 ra (또는 囉ㆍ喇).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리제진염(一切法離諸塵染)의 뜻, 또는 낙불락승의(樂不樂勝義)의 소리라 한다. 이것은 진염(塵染)의 뜻을 가진 범어 rajas, 혹은 낙(樂)의 뜻을 가진 범어 rati에서 해석한 것. 라마교(喇嘛敎) : 티베트에서 성행하는 불교. 몽고ㆍ만주ㆍ서금(西金)ㆍ부탄ㆍ네팔 등지에도 퍼져있다. 북인도의 명승 연화상좌사(蓮華上座師, Guru Padma-sambhava)를 교조로 삼는다..

불교용어사전 (다)

다(多) : 【범】 t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哆ㆍ怛ㆍ橠) 일체법여여불가득(一切法如如不可得)의 뜻, 진여무간단(眞如無間斷)의 소리라 한다. 이는 진여의 뜻을 가진 범어 tathatā에서 해석한 것. 다(茶) : 【범】 ḍha (1)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搽ㆍ袒) 일체법집지불가득(一切法執持不可得)의 뜻, 일체경계부정(一切境界不淨)의 소리라 한다. 집지(執持)는 범어 dhaṅka에서 해석한 것. 다(茶) : (2) 『반야경(般若經)』에 말한 42자문의 맨 끝 범자(梵字). 이 글자를 자모(字母)의 구경(究竟)이라 하여 이 글자를 지나서는 다시 글자가 없다고 함. 그러므로 남악 혜사(南嶽慧思)는 42자를 빌려서, 대승의 42위(位)를 표할 적에 아(阿)자로써 초주(初住)를 표하고, 다(茶)자..

불교용어사전 (나)

나(拏) : (1) 【범】 ḍ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茶ㆍ陀ㆍ痆). 일체법원대불가득(一切法怨對不可得)의 뜻, 혹은 섭복마쟁(攝伏魔諍)의 소리라 함. 이는 마장(魔障)의 뜻을 가진 범어 ḍamara에서 해석한 것. 나(拏) : (2) 【범】 ṇa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쟁불가득(一切法諍不可得)의 뜻, 제제번뇌(除諸煩惱)의 소리라 함. 나(娜) : 【범】 da 실담 50자문의 하나. (또는 佗ㆍ捺). 일체법시불가득(一切法施不可得)의 뜻, 조복율의적정안온(調伏律儀寂靜安穩)의 소리라 함. 이는 시(施)의 뜻인 범어 dāna, 또는 조복(調伏)의 뜻인 dama에서 해석한 것. 나(那) : 【범】 na (또는 娜ㆍ拏ㆍ曩). 실담 50자문의 하나. 일체법명불가득(一切法名不可得)의 뜻. 혹은 변지명색(徧..

불교 용어 사전 (가)

가(伽) : 【범】 gha(또는 恒ㆍ▼ㆍ鍵ㆍ搋). 실담(悉曇) 50자문(字門)의 하나. 42자문의 하나. 일체법일합불가득(一切法一合不可得)의 뜻, 최주밀무명암명(摧稠密無明闇冥)의 소리라 한다. 이것은 가(伽)로써 비로소 밀합(密合)의 뜻을 가진, 범어 가나(伽那, ghana)에서 해석한 것. 그전부터 이를 일합(一合)의 가(伽)자라 함. 가(迦) : 【범】 ka(또는 葛ㆍ羯ㆍ吃ㆍ柯ㆍ箇). 실담(悉曇) 50자문(字門)의 하나. 42자문의 하나. 일체법리작업무소득(一切法離作業無所得)의 뜻, 혹은 제법작자불가득(諸法作者不可得)의 뜻, 또는 업과(業果)에 들어가는 소리라고 함. 이것은 가(迦)로써 비로소 작업(作業)한다는 뜻을 가진, 범어 가리야(迦哩耶, kārya) 또는 작자(作者)의 뜻을 가진 범어 가라가(..

7차 교육과정 10종 교과서 내용, 교학사, 중앙교육, 금성출판사, 대학서림, 대한교고과서, 두산, 지학사, 천재교육, 청색

7차 교육과정 10종 교과서 내용 󰍽 교학사 Ⅰ. 한문의 기초 ․한문을 배우는 이유→언어생활의 편리, 사회 경제적 필요, 전통문화의 계승 ․한자의 기원과 발전과정 ․한자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한자 찾기와 쓰기 ․한자어의 짜임, 문장구조 Ⅱ. 한문의 첫걸음 1. 紅一點: 助長, 杞憂, 矛盾, 蛇足, 墨守, 紅一點, 登龍門, 似而非, 胡蝶夢 1. 이 한자어의 짜임을 밝히시오. 2. 이 한자어의 뜻을 밝히시오. 3. 이 한자어의 유래를 밝히시오. 2. 靑出於藍: 大器晩成, 自强不息, 靑出於藍, 附和雷同, 螢雪之功, 曲學阿世, 臥薪嘗膽, 日就月將, 武陵桃源, 靑出於藍而靑於藍 이 글을 지도할 때 유의사항을 쓰시오 Ⅲ. 삶의 슬기 ※ 다음 단원을 지도할 때 지도내용 및 유의사항을 쓰시오. 3. 不如近隣: 遠族不如..

2023학년도대학수학능력시험QA자료집1부

한문의 출제 기본 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에 활용하는 능력, 한자 어휘를 익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및 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출제됩니다. 한문의 출제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의거하여 출제됩니다. • 한자는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사용하되 이 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한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주석을 답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는 2000년 12월 30일 교육인적자원부가 공표한 것을 가리킵니다. • ‘한문의 이해’ 영역은 ‘한자와 어휘(한자의 모양ㆍ음ㆍ뜻, 한자의 부수, 한자의 필순..

고교 한문 교과서 별 정리

중앙교육, 교학사, 금성출판사, 대학서림, 대한교고과서, 두산, 지학사, 천재교육, 청색 ✿ 중앙교육 ✿교학사 Ⅰ. 한문학습의 이해 1. 한자의 짜임 - 天地人 天. 地. 人. 天文 地理 人事 太極旗. 韓半島. 無窮花. 日月星辰. 山川草木. 詩書禮樂 2. 한자어의 짜임 - 智仁勇 智. 仁. 勇. 好學 寬容 廉恥 道問學. 尊德性. 日日新. 溫故知新. 知行一致. 克己復禮 Ⅱ. 지혜의 샘 3. 성어와 속뜻 - 成語의 理解 梅蘭菊竹. 切磋琢磨. 月明星稀. 松茂栢悅. 緣木求魚. 矯角殺牛. 刻骨銘心. 轉禍爲福. 滄海一粟. 群鷄一鶴. 錦上添花. 雪上加霜 4. 성어와 옛 이야기 - 故事成語 免死狗烹. 脣亡齒寒. 畵蛇添足. 結草報恩. 指鹿爲馬. 貧者一燈. 韋編三絶. 大器晩成. 螢窓雪案. 鷄鳴狗盜. 三人成虎. 咸興差使 5..

카테고리 없음 2023.03.02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 한시 구절 모음

祖孫問答 蔡壽와 蔡無逸 犬走梅花落, 鷄行竹葉成. 孫子夜夜讀書不, 祖父朝朝藥酒猛. 《於于野談》 一犬吠 李慶全 一犬吠, 二犬吠, 三犬亦隨吠. 人乎虎乎風聲乎, 童言山月正如燭, 半庭惟有鳴寒梧. 何如歌 李芳遠 如此亦如何 如彼亦如何 城隍堂後垣 頹圮亦何如 吾輩若此爲 不死亦何如 丹心歌 鄭夢周 此身 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白骨爲塵土 魂魄 有也無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 山夕詠井中月 李奎報 山僧貪月色 幷汲一甁中 到寺方應覺 甁傾月亦空 山中答俗人 李白 問余何事棲碧山 笑而不答心自閑 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 閨情 玉峯李氏 有約來何晩 庭梅欲謝時 忽聞枝上鵲 虛畵鏡中眉 述懷 竹西朴氏 不欲憶君自憶君 問君何事每相分 莫言靈鵲能傳喜 幾度虛驚到夕曛 春夜喜雨 杜甫 好雨知時節 當春乃發生 隨風潛入夜 潤物細無聲 野徑雲俱黑 江船火獨明 曉看紅濕處 花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