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60

시경, 詩經, 시경 번역, 모시 번역문, 시전 원문, 사서삼경, 삼경 (4)

詩傳大全卷之十六 大雅三 說見小雅 文王之什三之一 3-1-1 文王文王受命作周也 文王在上하사 文王께서 위에 계시어 於昭于天하시니 아아 하늘에서 밝으시니(빛나시니) 周雖舊邦이나 周나라가 비록 옛 나라이지마는 其命維新이로다 그 天命이 새로워 졌도다 有周不顯가 周나라가 나타나지 아니한가 帝命不時(인가)아 하느님의 명령이 제때에 맞지 아니한가 文王陟降이 文王께서 오르내리심이 在帝左右시니라 上帝의 左右에 계시도다 賦也라 於歎辭昭明也命天命也不顯猶言豈不顯也帝上帝也不時猶言不時也左右旁側也 ○周公이 追述文王之德하야 明周家所以受命而代商者皆由於此하야 以戒成王하시니라 此章은 言文王旣沒에 而其神在上하야 昭明于天이라 是以周邦이 雖自后稷始封으로 千有餘年이로대 而其受天命은 則自今始也라 夫文王在上하야 而昭于天하니 則其德顯矣오 周雖舊邦이나 而..

시경, 詩經, 시경 번역, 모시 번역문, 시전 원문, 사서삼경, 삼경 (3)

詩傳大全卷之十一 祈父之什二之四 2-4-1 祈父刺宣王也 祈父아 祈父야 予王之爪牙어늘 나는 왕의 발톱과 어금니인데 胡轉予于恤하야 어째서 나를 걱정스러운 곳에 轉轉시켜(굴러 뜨려서) 靡所止居오 정지하여(멈추어) 거주하는 곳이 없게 하였는가 賦也라 祈父는 司馬也니 職掌封圻之兵甲이라 故以爲號하니 酒誥曰圻父薄違가 是也라 予는 六軍之士也니 或曰司右虎賁之屬也라하니라 爪牙는 鳥獸所用以爲威者也라 恤은 憂也라 ○軍士怨於久役이라 故呼祈父而告之曰予乃王之爪牙어늘 汝何轉我於憂恤之地하야 使我無所止居乎아 祈父는 司馬(병조판서)인데 직책이 京畿의 무기와 갑옷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로써 칭호를 삼았는데 [酒誥]에 말하기를 圻父가 야박하게 하여 왕명을 어겼다는 것이 그것이다. 予는 六軍의 군사인데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司右와 虎賁 등속..

시경, 詩經, 시경 번역, 모시 번역문, 시전 원문, 사서삼경, 삼경 (2)

詩傳大全卷之六 唐風一之十 唐은 國名이니 本帝堯舊都니 在禹貢冀州之域의 大行恒山之西大原大岳之野하니 周成王이 以封弟叔虞하야 爲唐侯러니 南有晉水라 至子爕하야 乃改國號曰晉이라하더니 後徙曲沃하고 又徙居絳하니라 其地가 土瘠民貧하야 勤儉質朴하며 憂深思遠하야 有堯之遺風焉하니라 其詩를 不謂之晉而謂之唐은 蓋仍其始封之舊號耳니라 唐叔所都는 在今大原府하고 曲沃及絳은 皆在今絳州하다 唐은 나라 이름인데 본시 堯임금의 옛날 수도 서울인데 [禹貢] 冀州 지역의 大行山과 恒山 서쪽의 大原과 大岳의 들에 있다. 周나라 成王이 그 땅으로써 아우 叔虞를 봉하여 唐나라 제후로 삼았었는데 그 나라 남쪽에 晉水가 있었기에 아들 爕에게 이르러서는 이에 나라 이름을 고쳐서 晉이라고 하였는데 뒤에 曲沃으로 수도를 옮기었고 또 옮겨서 絳땅에 거주하게 되었..

시경, 詩經, 시경 번역, 모시 번역문, 시전 원문, 사서삼경, 삼경 (1)

詩經 詩經序 或이 有問於予曰詩는 何爲而作也오 予應之曰人生而靜은 天之性也오 感於物而動은 性之欲也니 夫旣有欲矣면 則不能無思오 旣有思矣면 則不能無言이오 旣有言矣면 則言之所不能盡하야 而發於咨嗟咏歎之餘者必有自然之音響節族而不能已焉하니 此詩之所以作也니라 曰然則其所以敎者는 何也오 曰詩者는 人心之感物而形於言之餘也니 心之所感이 有邪正이라 故言之所形이 有是非하니 惟聖人이 在上이면 則其所感者無不正하야 而其言皆足以爲敎오 其或感之之雜하야 而所發不能無可擇者는 則上之人이 必思所以自反하야 而因有以勸懲之하니 是亦所以爲敎也니라 昔周盛時에 上自郊廟朝廷으로 而下達於鄕黨閭巷이 其言粹然無不出於正者는 聖人이 固已協之聲律하야 而用之鄕人하며 用之邦國하야 以化天下하시고 至於列國之詩하얀 則天子巡守하야 亦必陳而觀之하야 以行黜陟之典이러시니 降自昭穆而後로 寖..

사명대사와 서산대사의 도술 시합. 유정, 휴정, 사명당, 청허, 송운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서산대사와 그의 제자 사명대사의 만남과 도술 시합에 대한 전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아래의 이야기는 과장된 전설일 뿐이니, 재미로 읽어주길 바랍니다. 1575년 사명대사는 지금의 조계사의 주지 자리를 마다하고, 묘향산으로 들어가서 주저없이 서산대사에게 행했다. 축지법을 써서 평안도 황해도 경기도를 지나 강원도 금강산 장안사로 향하여 서산대사와 도술을 겨루기 위해 가고 있었다. 서산보다 스물 세 살이나 아래인 사명은 자신이 서산대사보다 도술이 낮다는 풍문이 꼬리를 물고 퍼지자 돌연 실력을 겨뤄 보기로 결심한 것이었다. "신출귀몰한 서산대사의 실력을 모르는 터는 아니나 나의 묘기로 서산을 궁지에 몰아넣어 세상을 놀라게 해야지." 사명의 마음은 다급했다. 서산대사가 있는 금강산 장안사..

荀子, 순자, 맹자, 동양철학, 동양고전, 중국철학

荀子 第一 勸學篇 S010101 君子曰 學不可以已.靑取之於藍,而靑於藍.氷水爲之,而寒於水. S010102 木直中繩,輮以爲輪,其曲中規,雖有槁暴,不復挺者,輮使之然也. S010103 故木受繩則直,金就礪則利,君子博學而日參省乎己,則知明而行無過矣. S010201 故不登高山,不知天之高也,不臨深谿,不知地之厚也, S010202 不聞先王之遺言,不知學問之大也. S010203 干,越,夷,貉之子,生而同聲,長而異俗,敎使之然也. S010204 詩曰,嗟爾君子,無恒安息.靖共爾位,好是正直.神之聽之,介爾景福. S010205 神莫大於化道,福莫長於無禍. S010301 吾嘗終日而思矣,不如須臾之所學也, 吾嘗跂望矣,不如登高之博見也. S010302 登高而招,臂非加長也,而見者遠,順風而呼,聲非加疾也,而聞者彰. S010303 假輿馬者,非利足也,而致千里,假..

宋詩, 중국한시, 중국 송나라 때 한시, 중국문학, 한시,

柳開(946-999) 《塞上》 鳴[骨交]直上一千尺,天靜無風聲更干∘ 碧眼胡兒三百騎,盡提金勒向云看∘ 王禹稱(繁體󰡒稱󰡓,換󰡒□󰡓旁)(954-1001) 《寒食》 今年寒食在商山,山里風光亦可憐: 稚子就花拈蛺蝶,人家依樹系秋千∘ 郊原曉綠初經雨,巷陌春陰乍禁煙∘ 副使官閑莫惆悵,酒錢猶有撰碑錢∘ 《村行》 馬穿山徑菊初黃,信馬悠悠野興長∘ 萬壑有聲含晩籟,數峰無語立斜陽∘ 棠梨葉落胭脂色,蕎麥花開白雪香∘ 何事吟余忽惆悵,村橋原樹似吾鄕∘ 《春居雜興》二首 其一 兩株桃杏映籬斜,妝點商山副使家, 何事春風容不得,和鶯吹折數枝花∘ 其二 春云如獸復如禽,日照風吹淺又深∘ 誰道無心便容與,亦同翻覆小人心∘ 《前賦〈春居雜興〉詩二首,間半歲,不復省視,因 長男嘉[□右]讀杜工部集,見語意頗有相類者,咨 于予,且意予竊之也∘予喜而作詩,聊以自賀》 命屈由來道日新,詩家權柄敵陶鈞∘ 任..

孫子兵法, 손자병법, 손자, 병법, 삼십육계, 손자병법 원문,

손자병법孫子兵法 計篇第一 孫子曰: 兵者, 國之大事. 死生之地, 存亡之道, 不可不察也. 故經之以五校之計, 而索其情: 一曰道, 二曰天, 三曰地, 四曰將, 五曰法. 道者, 令民與上同意也, 故可與之死, 可與之生, 而民不畏危. 天者, 陰陽·寒暑·時制也. 地者, 遠近·險易·廣狹·死生也. 將者, 智·信·仁·勇·嚴也. 法者, 曲制·官道·主用也. 凡此五者, 將莫不聞, 知之者勝, 不知者不勝. 故校之以計, 而索其情. 曰: 主孰有道? 將孰有能? 天地孰得? 法令孰行? 兵衆孰强? 士卒孰鍊? 賞罰孰明? 吾以此知勝負矣. 將聽吾計, 用之必勝, 留之; 將不聽吾計, 用之必敗, 去之. 計利以聽, 乃爲之勢, 以佐其外. 勢者, 因利而制權也. 兵者, 詭道也. 故能而示之不能, 用而示之不用, 近而視之遠, 遠而示之近. 利而誘之, 亂而取之, 實而備之,..

小學, 소학, 동양고전, 동양철학, 중국고전, 중국문학, 서당교재, 전통한문, 한문교재

≪ 小學 ≫ -立敎,000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立敎,001 列女傳曰, 古者, 婦人妊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 不食邪味. 割不正不食. 席不正不坐. 目不視邪色. 耳不聽淫聲. 夜則令瞽誦詩. 道正事. 如此則生子, 形容端正. 才過人矣. -立敎,002 內則曰, 凡生子, 擇於諸母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愼而寡言者, 使爲子師. 子能食食敎以右手. 能言男唯女兪. 男鞶革, 女鞶絲. 六年敎之數與方名. 七年男女不同席, 不共食. 八年出入門戶及卽席飮食, 必後長者, 始敎之讓. 九年敎之數日. 十年出就外傅, 居宿於外, 學書計, 衣不帛襦袴, 禮帥初, 朝夕學幼儀, 請肄簡諒. 十有三年學樂誦詩, 舞勺, 成童舞象, 學射御. 二十而冠, 始學禮,..

劉義慶, 世說新語, 세설신어, 유의경, 도양ㅇ고전, 주욱문학, 동양철학, 세설신어원문

중국 육조시대 때 송(宋)나라 유의경(劉義慶)이 지은 책(冊). 후한(後漢)부터 동진(東晉)에 이르는 귀족(貴族)ㆍ학자(學者)ㆍ문인(文人)ㆍ승려(僧侶)들의 덕행(德行)ㆍ언어(言語)ㆍ문학(文學) 등(等)에 관(關)한 일화(逸話)를 38문으로 나누어 수록(收錄)했음. 5세기(世紀) 전반(前半)에 이루어짐. 현존(現存)하는 것은 3권. 世說新語 德行第一 1-1/1 陳仲擧言爲士則, 行爲世範, 登車攬轡, 有澄淸天下之志. 1-1/2 爲豫章太守, 至, 便問徐孺子所在, 欲先看之. 1-1/3 主簿白:「群情欲府君先入廨.」 1-1/4 陳曰:「武王式商容之閭, 席不暇**[火+耎]. 吾之禮賢, 有何不可!」 1-2/1 周子居常云:「吾時月不見黃叔度, 則鄙吝之心已復生矣.」 1-3/1 郭林宗至汝南造袁奉高, 車不停軌, 鸞不輟軛;詣黃叔度,..

카테고리 없음 2023.06.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