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혜춘慧春 스님 영첩

머리말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에서는 2017년9월 한국연구재단의 토대연구사업을 지원받아 문화융복합의 과제를 수행해 오고 있습니다. 본 사업은 한국불교의 역사와 문화, 사상과 종교를 투영하고 있는 사진을 수집 및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테이터베이스(DB)화 하여, 다양한 키워드를 통해 검색 가능한 아카이브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전자불전연구소 토대팀은 한국의 근대불교문화를 엿볼 수 있는 사진을 수집 및 분석하여 10대 분야로 분류하고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해인사 보현암 혜춘스님의 발자취를 담은 책 ⟪혜춘스님 영첩, 이 수행길에서 이루지 못한다면⟫ 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전자불전연구소 토대연구팀은 해인사 보현암(普賢庵) 도감인 선애스님..

천수경 발칙하게 읽기

책소개 저자 및 편찬 : 불식편집부 불교 속에 내재된 신화적인 요소와 종교적인 요소들이 꽃피기 시작한 것은 7세기 즈음에서이다. 서력기원전 5세기에 불교가 시작되었으니 '불교'가 '종교'화 된 것은 천년이 훌쩍 지나서라 '종교적인 불교'를 우리가 얼마나 '불교스럽다'고 할지는 불교를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고 싶은지 각자의 판단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게 종교가 된 불교에서 의례나 의식 등 종교적인 요소가 제대로 갖추어지기 시작한 것이 밀교라는 시대에서 이루어지는데, 천수경은 그런 밀교의 바탕에서 개인의 종교적 수행(참회, 기원, 기도, 찬탄 등)의 내용들을 담고 있기에 종교의례에서 자주 읽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목적에 비해서는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천수경이다. 참회게와 같은 부분은 불교가..

地藏菩薩本願經, 지장보살본원경, 지장보살경 원문과 번역

地藏菩薩本願經 지장보살본원경 第一品 忉利天宮神通品 제 일 품 도 리 천 궁 신 통 품 도리천궁에서 신통을 나타내시다 一. 如是我聞하사오니 一時에 佛이 在忉利天하사 爲母說法이러신니 여시아문 일시 불 재도리천 위모설법 爾時에 十方無量世界의 不可說不可說一切諸佛과 及大 이시 시방무량세계 불가설불가설일체제불 급대 菩薩摩訶薩이 皆來集會하사 讚歎하시되 釋迦牟尼佛이 能 보살마하살 개래집회 찬탄 석가모니불 능 於五濁惡世에 現不可思議大智慧神通之力하사 調伏剛强 어오탁악세 현불가사의대지혜신통지력 조복강강 衆生하야 知苦樂法이라하시고 各遣侍者하사 問訊世尊하니라 중생 지고락법 각견시자 문신세존 1.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한 때에 부처님께서 도리천에 계시면서, 어머님을 위하여 설법을 하시었는데, 그때 시방의 한량없는 세계에..

皇淸職貢圖, 황청직공도, 직공도, 조선시대 세계인의 패션은? 옛 사람들의 의복과 풍속, 직공도 원문

[000-2a] 累洽重熙四海春 皇淸職貢萬方均書文車 軌誰能外方趾圓顱莫不 親那許防風仍後至早聞 干吕已咸賓塗山玉帛千 秋述商室共球百祿臻詎 是索疆恢此日亦惟 謨烈賴 前人唐家右相堪依例畫院名流命寫眞西鰈東鶼覲 王會南蠻北狄秉元辰丹靑非爲誇聲敎保泰承庥慎 拊循 乾隆辛巳秋日 [000-1a] 乾隆十六年六月初一日大學士忠勇公臣/傅恒 奉 上諭我朝統一區宇内外苗夷輸誠向化其衣冠狀貌 各有不同著沿邉各督撫於所屬苗猺黎獞以及外 夷畨衆仿其服飾繪圖送軍機處彚齊呈覽以昭王 會之盛各該督撫於接壤處俟公務徃來乗便圖冩 不必特派専員可於奏事之便傳諭知之欽此 [000-3a] 恭和詩 臣/劉統勲恭和 梯航環望 帝京春翊戴遙歡 聖澤均端爲 王猷昭赫濯盡敎海宇識 尊親充庭玉帛三重陛殊製冠裳九列賓揚 烈覲 [000-3b] 光功徳溥遠來近悦後先臻竒厖共訝新增部安樂渾 忘異地人名未耳聞身已到形因目睹繪偏眞 江..

조맹부 해서체 대학, 趙孟頫 楷書體 大學, 서예, 명필

이 책은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화가 조맹부(趙孟頫)가 대학(大學)의 정문을 해서체로 쓴 서책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대학은 덕이 높고 그릇이 큰 사람이 되기 위한 학문인 대인지학(大人之學)의 줄인 말로,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과 함께 사서(四書)라 불린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예기(禮記) 42편에 실려 있던 것을 송나라 때 주자(朱子)가 해설과 편집을 통해 한 권의 책으로 독립시켰다. 대학은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동양사상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필독서이자 입문서로, 자신의 내면을 닦고 나아가 사회를 바로잡..

고서와 그림 2023.07.02

조맹부서첩, 서예, 천관산제영(天冠山題詠), 송설도인, 송설재법서묵각, 명필

이는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서첩으로, 그가 지은 이란 시를 해서·행서·초서로 써서 비석에 새긴 것을 탁본하여 엮은 것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이 서첩은 조맹부가 천관산(天冠山)을 둘러보고 감흥이 일어서 지은 시와 발문이 있고, 맨 뒤에 명나라 중기의 문인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후서가 붙어 있다. 24수의 시가 있는데, 중국 천관산의 기암괴석과 명승지를 하나하나 시로 노래한 것이고, 발문과 후서에서는 시를 짓게 된 계기와 책을 엮은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이 책은 조맹부가 쓴 의 서첩을 복원한 것으로, 서명..

고서와 그림 2023.07.02

명심보감(明心寶鑑), 명심보감 원문과 번역문 한자와 한글 해설

《명심보감(明心寶鑑)》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마음을 밝혀주는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뜻이다. 아동의 학습을 위하여 고전(古典)에 나온 좋은 말과 글귀를 편집해 만든 책으로, 고려말과 조선시대 서당과 민간에서 아동들의 기본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저자는 고려 충렬왕 때의 추적(秋適, 1246~1317)이라는 설과 중국 명(明)나라 학자 범립본(范立本)이 1393년에 저술했다는 두 가지의 설이 있는데, 명확하지 않다. 명심보감은 여러 판본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편수와 내용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19편으로 이루어진 판본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에 있어서는 유가(儒家) 및 도가(道家)의 교훈적 이야기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자연의 이치와 국가 통치 이념부터 자신을 반성하고 양심을 지키는 방법 등 인격..

명심보감(明心寶鑑), 명심보감 원문 이미지

《명심보감(明心寶鑑)》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마음을 밝혀주는 보배로운 거울”이라는 뜻이다. 아동의 학습을 위하여 고전(古典)에 나온 좋은 말과 글귀를 편집해 만든 책으로, 고려말과 조선시대 서당과 민간에서 아동들의 기본 교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저자는 고려 충렬왕 때의 추적(秋適, 1246~1317)이라는 설과 중국 명(明)나라 학자 범립본(范立本)이 1393년에 저술했다는 두 가지의 설이 있는데, 명확하지 않다. 명심보감은 여러 판본이 존재하고 그에 따라 편수와 내용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19편으로 이루어진 판본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에 있어서는 유가(儒家) 및 도가(道家)의 교훈적 이야기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데, 자연의 이치와 국가 통치 이념부터 자신을 반성하고 양심을 지키는 방법 등 인격..

카테고리 없음 2023.07.02

역대군신도歷代君臣圖, 군신도 하권, 중국 영웅, 전설,

역대군신도歷代君臣圖 이 책은 조선시대 중종(中宗)이 이행(李荇)에게 명하여 중국의 역대 군신(君臣)의 도상(圖像)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출간한 상하 2권의 서책이다. 2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권은 중국의 역대 임금을, 제2권은 신하를 정리해 놓았다. 상권인 군권(君卷)에는 40명, 하권인 신권(臣卷)에는 68명, 총 108명이 수록되어 있다. 서두에는 역대군신도상서(歷代君臣圖像序), 제성현상(題聖賢像), 속간성현도서(續刊聖賢圖序)의 순으로 세 서문이 있고, 간략한 목차가 있다. 본문에는 각 인물마다 목판 형식의 초상화가 있으며, 그림 옆에 인물의 행적과 공적을 기록해 놓았고 시찬(詩贊)을 지어 붙였다. 중종(1488~1544)은 신하와 백성의 정신 교육을 위해 이행(李荇, 1478~1534)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