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59

대학(大學), 사서삼경, 사서, 대학중용, 주자, 대인지학

대학(大學) 대학(大學)은 덕이 높고 그릇이 큰 사람이 되기 위한 학문인 대인지학(大人之學)의 줄인 말로, 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과 함께 사서(四書)라 불린다. 이 책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예기(禮記) 42편에 실려 있던 것을 송나라 때 주자(朱子)가 해설과 편집을 통해 한 권의 책으로 독립시켰다. 이 책은 유교사상뿐만 아니라 동양사상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필독서이자 입문서로, 자신의 내면을 닦고 나아가 사회를 바로잡는 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는 개인의 수양과 관련된 책인 동시에 정치와 관련된 책이다. 이 책에서는 대학 교육의 목적을 삼강령(三綱領)에 두고, 이것을 달성하는 수양의 순서를 팔조목(八條目)으로 제시하였다. 삼강령은 명명덕(明明..

카테고리 없음 2023.07.01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정조, 김홍도 그림, 무술, 무협, 권법, 검술, 창술, 이덕무

알리는 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란 무예(武藝)를 그림[圖]과 설명[譜]을 함께 담은 종합서[通志]라는 뜻으로, 『무예통지』·『무예도보』·『무예보』라고도 한다. 정조(正祖)가 직접 편찬의 방향을 잡은 후 이덕무(李德懋, 1741~1793), 박제가(朴齊家, 1750~1805), 백동수(白東脩, 1743~1816) 등에게 명령하여 작업하게 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규장각의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 이 두 사람은 뛰어난 문장가였고 장용영(壯勇營)의 초관(硝官)인 백동수는 장용영의 무사들과 함께 1년여 간 각고의 노력을 하여 무예의 기법을 체계화하여 만든 작품이다. 임진왜란 후 군사의 무예훈련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의 『무예제보(武藝諸譜)』가 간..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 정조, 김홍도 그림, 예의, 유교경전, 삼강오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는 다섯 가지 실천덕목인 오륜(五倫)을 실천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책이다. 1797년 정조(正祖)의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와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합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책으로, 총 5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을 보면, 각각의 내용에는 먼저 도상(圖像)이 실려 있고 이에 대한 해설과 찬(贊)이 있으며, 아울러 한글 번역이 실려 있다. 도상에는 이야기의 주요한 장면을 부각하여 보다 간단하고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도판을 먼저 싣고 그 다음에 이야기를 붙임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한 연후에, 설명을 읽도록 편찬하였다. 그림의 인물 표현 및 화법으로 보면, 당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유행한 김홍..

사자소학(四字小學), 기초한문, 서당교육, 소학, 사자소학 한글 번역, 원문

사자소학(四字小學)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옛날에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엮은 기초 한문 학습서이다. 인간의 윤리도덕에 입각하여 소학(小學)과 기타 경전 가운데 어린이들이 알기 쉬운 내용만을 가려 뽑아서 사자일구(四字一句)로 엮었기 때문에 사자소학이라 한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사항들을 쉬운 문장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옛날 서당에서 초학자들에게 기초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모든 구절이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동들이 한문을 익히는 데 필요한 기초 학습서가 됨은 물론, 어린이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교육서로 애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의 서당 교육 과정 중 천자문을 떼고 난 다음, 명심보감을 배우기 전에..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한문 원문, 한글 번역, 불경, 불교경전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 통상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이라고 한다. 부모님의 은혜가 끝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할 것을 가르친 불경이다. 여기에 실린 변상도는 1796년(정조 20년) 용주사(龍珠寺)에서 간행된 것으로, 정조가 부모님의 은혜를 기리는 뜻에서 김홍도(金弘道)에게 직접 그림을 그리도록 명하였고 한다. 아기를 잉태하고 지켜주신 은혜[懷胎守護恩] 여러 겁 지나오며 인연이 깊고 깊어 금생에 이르러서 모태에 자리했네 달 지나 세월 흘러 오장이 생겨나고 일곱 달 지나서는 육정이 열리었네 육신은 무겁기가 산악과 한가지요 거동을 할 때마다 바람도 겁이 나네 비단옷 입을 생각 도무지 하지 못해 화장대 거울에는 먼지만 자욱하네 累劫因緣重 今來託母胎 月逾生五臟 七七六精開 體重如..

카테고리 없음 2023.07.01

啓蒙篇, 계몽편 해제, 계몽편 원문, 계몽편 한글 번역, 서당교육, 한문 기초

계몽편(啟蒙萹) 해제 조선시대 초학 아동을 위한 학습서로, 저자나 간행 연대 미상이다. 조선시대 때 서당이나 향교에서 학동들에게 글을 가르칠 때, 먼저 천자문(千字文)이나 유합(類合)으로 한자(漢字)를 익히게 한 다음, 교훈적인 교재로서 이 ≪계몽편』이나 《동몽선습(童蒙先習)』을 가르쳤다. 구성은 수편(首篇)ㆍ천편(天篇)ㆍ지편(地篇)ㆍ물편(物篇)ㆍ인편(人篇) 등 5편으로 되어 있다. 수편에는 천지만물ㆍ일월성신ㆍ강해산악(江海山岳) 등의 자연현상과 군신ㆍ장유ㆍ부부ㆍ붕우 등 인륜에 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천편에는 우주와 천체에 관한 해설과 10간(十干)ㆍ12지(十二支) 등의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 지편에서는 오악사해(五岳四海)에 관한 소개와 구름ㆍ비ㆍ안개ㆍ눈ㆍ서리 등의 자연현상을 음양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마하반야바라밀경(摩何般若波羅蜜經), 반야경, 般若經, 원문 번역문, 한문, 한글 번역

마하반야바라밀경(摩何般若波羅蜜經) 제1권 후진(後秦) 구자국(龜茲國)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1. 서품(序品) 序品第一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 기사굴산에서 대략의 수효 5천 명[分]으로 이루어진 큰 비구승과 함께 머무셨다. 그들은 모두 아라한으로 모든 누(漏)7)가 이미 다하고8) 다시는 번뇌가 없었다. 마음으로 잘 해탈하였고 지혜로도 잘 해탈하였으며, 마음이 길들여져 유연한 것이 마치 마하나가9) 같았다. 할 일을 이미 다하고 무거운 짐을 버리어 능히 공덕의 짐과 남에게 응하는 짐을 짊어질 수 있으며, 자기의 이득[己利]을 체득하고 모든 유(有)와 결(結)이 다했으며 바른 지혜로 이미 해탈을 얻었다. 오직 아난10)만을 제하니 그는 배움의 경지[學地]11)에서..

불설관무량수불경(佛說觀無量壽佛經), 불경, 불교경전, 무량수불경

불설관무량수불경(佛說觀無量壽佛經) 5세기 중엽 강량야사가 한역한 것으로, 무량수불이 머물고 있는 극락세계로 가는 길을 설명한 경으로, 무량수경ㆍ아미타경과 함께 정토사상을 설한 대표적인 경전이다. 관경, 관무량수경, 무량수관경, 십육관경, 관무량수불경이라고도 한다. 이 경전에서는 부처님께서 위제희 부인에게 고통에서 벗어나서 무량수불이 계시는 극락세계에 태어날 수 있는 방법을 16관법으로 설명하셨다. 16관법이란, 일상관(日想觀)ㆍ수상관(水想觀)ㆍ지상관(地想觀)ㆍ보수관(寶樹觀)ㆍ보지관(寶池觀)ㆍ보루관(寶樓觀)ㆍ화좌관(華座觀)ㆍ상관(像觀)ㆍ진신관(眞身觀)ㆍ관음관(觀音觀)ㆍ세지관(勢至觀)ㆍ보관(寶冠)ㆍ잡상관(雜像觀)ㆍ상배관(上輩觀)ㆍ중배관(中輩觀)ㆍ하배관(下輩觀)이다. 이 경에 따라서 계율을 잘 지키고 공덕을 ..

파 자르는 법, 이제 눈물 흘리지 말고 파 자르세요 ㅎㅎ

파를 자르면 눈물이 주륵주륵 ㅠㅠ 저도 또한 그러한데,,, 시골에서 파를 잔뜩 가져오면 처치 곤란...그런데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을 사용하면 눈물 없이 파를 자를 수 있어요 ㅎㅎ 첫째, 싱데에 파 한 단을 넣고 다듭는다. 다듬는 동안 냄비에 물을 넣고 끓인다. 후드를 중간 이상으로 틀어놓는다. 그리고 그 옆에 도마를 넣는다. 파를 자른다, 물안경이 필요 없다. 후드만 들어놔서는 효과가 떨어져요, 반드시 물을 끓여야 되요. 그럼 파 자르기 완료, 2통은 냉장실에, 나머지는 냉동실에 저장... 이제 한달 동안 파 걱정 끝

취미생활 2023.07.01

서유기, 중국소설, 서유기 해제와 목차, 문학사적 의의

요점 정리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지은이 : 오승은(吳承恩 1500-1582) 중국 명나라의 문학가. 호는 사양산인(射陽山人). 어렸을 때부터 글과 그림을 뛰어났고, 글을 지어 생계를 유지하면서 빈곤 생애를 보냈다. 대표작으로 "서유기(西遊記)" 등이 있다.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갈래 : 장회 소설(章回小說). 도술 소설. 장편 소설. 신마 소설(神魔小說)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성격 : 낭만적. 전기적(傳奇的), 환상적, 희극적·모험적·신마적(神魔的)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사상 : 불교를 바탕으로 도교가 보태어짐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특징 : 신마 소설의 걸작이고, 적층 문학이나 구비 문학으로 정착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인물 : 마력을 지닌 손오공, 둔..

고서와 그림 2023.06.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