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60

古文眞 寶(後集), 고문진보 후집 원문, 고문진보 후집 텍스트

古文眞 寶(後集) 屈原 朱文公曰, 原名平, 與楚同姓. 仕於懷王, 爲三閭大夫, 上官大夫, 及靳尙, 妬毁之, 王疏原. 原被讒憂煩, 乃作離騷, 上述唐虞三后之制, 下序桀紂羿澆之敗, 冀君覺悟, 反於正道而還己也. 時秦使張儀, 詐懷王, 誘與會武關, 原諫王勿行, 弗聽而往, 爲所脅歸, 卒以客死, 襄王立, 復用讒, 遷原江南, 原復作九歌, 天問九章遠游卜居漁父等篇, 冀伸己志, 以悟君心, 終不見省, 不忍見宗國將亡, 遂自沈汨羅淵死. 淮南王安曰, 國風好色而不淫, 小雅怨誹而不亂, 若離騷者, 可謂兼之矣. 蟬蛻於濁穢之中, 以浮游塵埃之外, 推此志也, 雖與日月爭光, 可也. 宋景文公曰, 離騷爲詞賦之祖, 後人爲之, 如至方, 不能加矩, 至圓不能過規矣. 帝高陽之苗裔兮, 朕皇考曰伯庸. 攝提貞于孟陬兮, 惟庚寅吾以降. 皇覽揆余于初度兮, 肇錫予以嘉名. ..

고문관지古文觀止, 고문관지 원문, 고문관지 텍스트, 고문관지 txt

古文觀止 (史記) 太史公曰, “學者多稱五帝尙矣, 然尙書獨載堯以來, 而百家言黃帝, 其文不雅馴, 薦紳先生難言之. 孔子所傳宰予問五帝德及帝繫姓, 儒者或不傳. 余嘗西至空桐, 北過涿鹿, 東漸於海, 南浮江淮矣, 至長老皆各往往稱黃帝堯舜之處, 風敎固殊焉, 總之, 不離古文者近是. 予觀春秋․國語, 其發明五帝德․帝繫姓, 章矣. 顧第弗深考, 其所表見皆不虛. 書缺有間矣, 其軼乃時時見於他說. 非好學深思, 心知其意, 固難爲淺見寡聞道也. 余幷論次, 擇其言尤雅者, 故著爲本紀書首.” (史記) 太史公曰, “五聞之周生曰, ‘舜目蓋重瞳子.’ 又聞項羽亦重瞳子, 羽豈其苗裔邪. 何興之暴也. 夫秦失其政, 陳涉首難, 豪傑蜂起, 相與並爭, 不可勝數, 然羽非有尺寸, 乘勢起隴畝之中, 三年, 遂將五諸侯滅秦, 分裂天下, 而封王侯, 政由羽出, 號爲霸王. 位雖不終..

카테고리 없음 2023.06.21

동양철학자, 중국철학자, 중국철학자 이름

가공언 [賈公彦 ?~?] 갈홍 [葛洪 283~343?] 강번 [江藩 1761~1831] 강성 [江聲 1721~1799] 경방 [京房 BC 77~BC 37] 경상자 [庚桑子 ?~?] 고동고 [顧棟高 ?~?] 고염무 [顧炎武 1613~1682] 고자 [告子 ?~?] 고헌성 [顧憲成 1550~1612] 공광 [孔光 BC 65~AD 5] 공광삼 [孔廣森 1752~1786] 공손룡 [公孫龍 BC 320 ?~BC 250 ?] 공손홍 [公孫弘BC 200~BC 121] 공양고 [公羊高 ?~?] 공영달 [孔穎達 574~648] 공융 [孔融 153~208] 공자 [孔子 BC 552~BC 479] 곽상 [郭象 252 ?~312] 곽태 [郭泰(太) 128~169] 구양현 [歐陽玄 1273~1357] 구준 [邱濬 1420~14..

카테고리 없음 2023.06.21

중국철학 개념, 동양철학 개념어, 철학 개념어 사전

가거처 [可居處] 위치 ·풍토 ·인심 ·산물 등의 생활조건이 살기에 알맞은 장소. 풍수지리설에 의한 복거사상(卜居思想)으로, 전란·사화(士禍) ·기근 등으로 삶에 지친 백성이 바라던 낙토(樂土)를 말한다. 조선 21대 영조 때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擇里志)》와 23대 순조 때 서유구(徐有而)의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에 그런 기록이 보인다. 가례 [家禮] 가정의 관혼상제(冠婚喪祭)에 대한 예법. 고대 중국에서는 예악(禮樂)으로써 나라를 통치한다고 할 만큼 예(禮)를 중요시하였다. 모든 제도가 어느 정도 정비된 주(周)나라 때에 주공(周公)이 국가 통치의 방편으로서 예법을 제정하였는데, 그 후 역대의 왕조가 이것을 보강하였다. 그러나 이 예법은 ‘치국(治國)’에 필요한 것일 뿐, 국가 성립의 기본이..

퇴계집, 퇴계문집, 퇴계집 원문, 텍스트

退溪集 一卷 ◉ 過吉先生閭 癸巳 朝行過洛水. 洛水何漫漫. 午憩望鰲山. 鰲山鬱盤盤. 淸流徹厚坤. 峭壁凌高寒. 有村名鳳溪. 乃在山水間. 先生晦其中. 表閭 朝命頒. 大義不可撓. 豈曰辭塵寰. 千載釣臺風. 再使激東韓. 扶持已無及. 植立永堅完. 丈夫貴大節. 平生知者難. 嗟爾世上人. 愼勿愛高官. ◉ 月影臺 老樹奇巖碧海堧. 孤雲遊跡總成烟. 只今唯有高臺月. 留得精神向我傳. ◉ 矗石樓 落魄江湖知幾日. 行吟時復上高樓. 橫空飛雨一時變. 入眼長江萬古流. 往事蒼茫巢鶴老. 羇懷搖蕩野雲浮. 繁華不屬詩人料. 一笑無言俯碧洲. ◉ 與驪州牧李公純,訓導李畬遊神勒寺. 乙未 京洛風塵一夢悠. 從公聊作靜中遊. 江山曉作雙眸晝. 樓閣晴生六月秋. 問數可能探理窟. 談仙直欲謝時流. 歸來穩放輕舟下. 自喜猶能近白鷗. 公嘗註皇極內篇。積功二十餘年而始就。是日。論內篇..

율곡 이이의 자경문 원문과 번역문, 李栗谷, 李珥, 自警文,

自警文 李栗谷 先須大其志,以聖人爲準則,一毫不及聖人,則吾事未了。心定者言寡,定心自寡言始;時然後言,則言不得不簡。久放之心,一朝收之,得力豈可容易?心是活物,定力未成,則搖動難安。若思慮紛擾時,作意厭惡欲絶之,則愈覺紛擾。倏起忽滅,似不由我,假使斷絶,只此斷絶之念橫在胸中,此亦妄念也。當於紛擾時,收斂精神,輕輕照管,勿與之俱往,用功之久,必有凝定之時。執事專一,此亦定心功夫。常以戒懼謹獨意思存諸胸中,念念不怠,則一切邪念自然不起。萬惡皆從不謹獨生,謹獨然後,可知浴沂詠歸之意味。曉起思朝之所爲之事,食後思晝之所爲之事,就寢時思明日所爲之事,無事則放下,有事則必思。得處置合宜之道,然後讀書。讀書者,求辨是非,施之行事也。若不省事,兀然讀書,則爲無用之學。財利榮利,雖得掃除其念,若處事時,有一毫擇便宜之念,則此亦利心也,尤可省察。凡遇事至,若可爲之事,則盡誠爲之,不可有厭倦之心;不可爲之..

성학십도聖學十圖, 퇴계이황, 성학십도 원문, 성학십도 텍스트

聖學十圖 太極圖說 無極而太極, 太極動而生陽, 動極而靜, 靜而生陰, 靜極復動, 一動一靜互爲其根, 分陰分陽兩儀立焉, 陽變陰合而生水化木金土, 五氣順布四時行焉, 五行一陰陽也, 陰陽一太極也, 太極本無極也, 五行之生也, 各一其性, 無極之眞二五之精, 妙合而凝, 乾道成男坤道成女, 二氣交感化生萬物, 萬物生生而變化無窮焉, 惟人也得其秀而最靈, 形旣生矣神發知矣, 五性感動而善惡分, 萬事出矣, 聖人定之以中正仁義, 而主靜立人極焉, 故聖人與天地合其德, 日月合其明, 四時合其序, 鬼神合其吉凶, 君子修之吉, 小人索之凶, 故曰立天地道曰陰與陽, 立之道曰柔與剛, 立人之道曰仁與義, 又曰原始反終故知死生之說, 大哉易也斯其至矣. 朱子曰圖說, 首言陰陽變化之原, 其後卽以人所禀受明之自, 惟人也得其秀而最靈純粹 至善之性也, 是所謂太極也, 形生神發則陽動陰靜之爲..

태극도설 번역문, 성학십도 번역, 퇴계이황, 성학십도, 聖學十圖

◎ 제1 태극도설(第一 太極圖說) [가] 태극도(太極圖)에 대한 주돈이(周敦頤)의 도설 우주 만유(萬有)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으며 그 근원에는 말로 표현 할 수 있는 아무 것도 없으니(無極) 이름하여 태극(太極)이라 한다. 태극이 움직이면 양(陽)이 생긴다. 움직임이 극한에 이르면 정지하고 정지하면 음(陰)이 생긴다. 정지가 극한에 이르면 다시 움직인다. 한 번 움직이고 한 번 정지함이 서로 근거가 되어 음과 양으로 갈라지는 두 모습이 성립하게 된다. 양이 변화하고 음이 이에 응하여 물(水), 불(火), 나무(木), 쇠(金), 흙(土)의 다섯 가지 기운이 생겨나며, 우주에는 다섯 가지 자연의 기운이 조화롭게 배열되고 네 계절이 돌고 돈다. 다섯 가지 자연의 기운은 음양이 하는 짓이요, 음양은 태극이 하..

흠흠신서 원문, 흠흠신서 텍스트

序 惟天生人而又死之 人名繫乎天 迺司牧 又以其間 安其善良而生之 執有罪者而死之 是顯見天權耳 人代操天權 罔知兢畏 不剖毫析1)芒 迺漫2)迺昏 或生而致死之 亦死而致生之 尙恬焉安焉 厥或黷貨媚婦人 聽號噭3)慘痛之聲 而莫之知恤 斯深孼哉 人命之獄 郡縣所恒起 牧臣恒値之 迺審覈恒疏 決擬恒舛 昔在我健陵之世 藩臣牧臣 恒以是遭貶 稍亦警戒以底愼 比年仍復不理 獄用多寃 余旣輯牧民之說 至於人命 則曰是宜有專門之治 遂別纂爲是書 冕之以經訓 用昭精義 次之以史跡 用著故常 所謂經史之要三卷 次之以批判詳駁之詞 用察時式 所謂批詳之雋五卷 次之以淸人擬斷之例 用別差等 所謂擬律之差四卷 次之以先朝郡縣之公案 其詞理鄙俚者 因其意而潤色之 曹議御判 錄之唯謹 而間附己意 以發明之 所謂祥刑之議十有五卷 前在西邑 承命理獄 入佐秋官 又掌玆事 流落以來 時聞獄情 亦戱爲擬議 其蕪拙之..

이두 번역, 이두 해석, 이두문자 해석, 이두 사전, 이두 번역어 사전

敎是乎旀 이옵시며, 하옵시며 同 위의, 같이, 같은 旀 며 並以 아울러 並只 모두, 같이, 아울러 分叱 뿐 分叱不喩 뿐 아닌지 分叱除良 뿐더러 是去等 이거든 是去乙 이거늘 是遣 이고 是乃 이나 是良置 이라도 是旀 이며 是白加(可)尼 이옵더니 是白加喩 이옵든지 是白去等 이옵거든, 이옵는데 是白去乙 이옵거늘 是白遣 이옵고 是白良置 이옵셔도 是白如可 이옵다가 是白如乎 이옵다는, 이옵다고 하므로, 이옵더니 是白爲白乎所 이라 하옵는바 是白喩 이옵지, 이올지 是白在果 이옵거니와 是白在如中 이옵건대, 이옵는 때에 是白齊 입니다, 이어라 是白置 이옵니다, 이옵기도 是白乎 이온, 이온바 是白乎乃 이사오나 是白乎等以 이온들로 是白乎旀 이며, 이오며 是白乎所 이옵는바 是白乎喩 이온지 是白乎乙喩 이올지 是白乎矣 이되, 이오되..

카테고리 없음 2023.06.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