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서와 그림 100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6상 기묘(己卯) 이하곤상(離下坤上)

참왈(讖曰) 하늘이 일에서 물을 낳아 天一生水 타고난 성품이 성스럽네 姿稟聖武 하늘을 따라 사람에 응하니 順天應人 지금도 없고 옛날도 없었네 無今無古 송왈(頌曰) 納土姓錢並姓李 其餘相次朝天子 天將一統付眞人 不殺人民更全嗣 주왈(註曰) 此象主宋太袓受禪汴都。天下大定。錢李二氏相率歸化。此一治也。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5상 무인(戊寅) 이하진상(離下震上)

참왈(讖曰) 하늘에 해와 달이 있고 天有日月 땅에는 산과 내가 있네 地有山川 천하가 뒤죽박죽 어지러워 海內紛紛 아비가 아들보다 뒤에 있네 父後子前 송왈(頌曰) 戰事中原迄未休 幾人高枕臥金戈 寰中自有眞天子 掃盡群妖見日頭 주왈(註曰) 此象主五代末造。割據者星羅棋布。惟吳越錢氏[錢鏐四世]稍圖治安。南唐李氏[李昇三世]略知文物。餘悉淫亂昏虐。大祖崛起。拯民水火。太袓小名香孩兒。手執帚著。掃除群雄也。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4상 정축(丁丑) 이하태상(離下兌上)

참왈(讖曰) 오얏나무가 뿌리와 싹을 얻고 李樹得根芽 석류나무는 가득히 꽃 피우네 石榴漫放花 고목이 봄을 만난 건 다만 일순간 枯木逢春衹一瞬 천하를 양보하고 부귀영화 다투네 讓他天下競榮華 송왈(頌曰) 金木水火土已終 十三童子五王公 英明重見太平日 五十三參運不通 주왈(註曰) 此象主周世宗承郭威。受命爲五代之終。世宗姓柴名榮。英明武斷。勤於爲治。惜功業未竟而殂。五代共五十三年。凡八姓十三主。頌意顯然。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3상 병자(丙子) 이하감상(離下坎上)

참왈(讖曰) 한수가 다해 가자 漢水竭 참새가 높이 나네 雀高飛 오락가락 날아가다 어느 곳에 멈출까 飛來飛去何所止 성곽 아래 가지 않고 높은 산에 머무네 高山不及城郭低 송왈(頌曰) 百個雀兒水上飛 九十九個過山西 惟有一個踏破足 高棲獨自理毛衣 주왈(註曰) 此象主周主郭威奪漢自立。郭威少賤。世稱之曰郭雀兒。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2상 을해(乙亥) 진하감상(震下坎上)

참왈(讖曰) 덩그러니 있는 돌 하나 塊然一石 다른 이를 아비라 부르네 謂他人父 다스리던 열여섯 고을이 統二八州 이미 당나라 땅이 아니네 已非唐土 송왈(頌曰) 反兆先多口 出入皆無主 繫鈴自解鈴 父亡子亦死 주왈(註曰) 此象主石敬塘求救于契丹。唐主遣張敬達討石敬塘。敬塘不得已。求救于契丹。事之以父禮。賄以幽薊十六州。晉帝之立國契丹功也。然卒以契丹亡。故有繫鈴解鈴之兆。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1상 갑술(甲戌) 태하감상(兌下坎上)

참왈(讖曰) 다섯 사람 함께 점을 치니 五人同卜 녹도 아니고 복도 아니네 非祿非福 겸하여 말하여 주노니 兼而言之 모든 것 희노애락이로다 喜怒哀樂 송왈(頌曰) 龍蛇相鬥三十年 一日同光直上天 上得天堂好游戲 東兵百萬入秦川 주왈(註曰) 此象主伶人郭從謙作亂。唐主爲流矢所中。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9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10상 계유(癸酉) 감하감상(坎下坎上)

참왈(讖曰) 넓고 넓은 중원에서는 蕩蕩中原 여덟 소를 막을 수 없네 莫禦八牛 물에서 헤엄치지만 씻지 않고 泅水不滌 피는 있으나 머리가 없네 有血無頭 송왈(頌曰) 一后二主盡升遐 四海茫茫總一家 不但我生還殺我 回頭還有李兒花 주왈(註曰) 此象主朱溫弒何皇后昭宣昭宗而自立。所謂一后二主也。未幾爲次子友珪所弒。是頌中第三句意。李克用之子存勗代父復仇。百戰滅梁。改稱後唐。是頌中第四句意。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8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9상 임신(壬申) 건하리상(乾下離上)

참왈(讖曰) 희지도 않고 검지도 않으며 非白非黑 풀초 머리한 사람이 나왔네 草頭人出 한 가지를 빌려 얻더니 借得一枝 온 하늘에 피가 날리네 滿天飛血 송왈(頌曰) 萬人頭上起英雄 血染河山日色紅 一樹李花都慘淡 可憐巢覆亦成空 주왈(註曰) 此象主黃巢作亂。唐祚至昭宗。朱溫弒之以自立。改國號梁溫。爲黃巢舊黨。故曰覆巢亦成空。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8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8상 신미(辛未) 곤하리상(坤下離上)

참왈(讖曰) 창을 찔러 중원을 피로 물들이고 攙槍血中土 도적을 물리치더니 도적이 되네 破賊還爲賊 늘어진 가지에 오얏꽃 날리니 朵朵李花飛 황제는 아주 잘되었다 말하네 帝曰遷大吉 송왈(頌曰) 天子蒙塵馬首東 居然三傑踞關中 孤軍一駐安社稷 內外能收手臂功 주왈(註曰) 此象主建中之亂。三人者李希烈朱泚李懷光也。李懷光以破朱泚功。爲盧杞所忌。遂反。故曰破賊還爲賊。三人先後犯闕。德宗乘輿播遷。賴李晟以孤軍收復京城。而社稷重安矣。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8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7상 경오(庚午) 진하건상(震下乾上)

참왈(讖曰) 오랑캐 깃발 내 눈에 가득 旌節滿我目 산천엔 내 발 디딜 곳 없네 山川跼我足 손님이 관문을 부수고 들이치니 破關客乍來 급박한 명령에 중원이 통곡하네 陡令中原哭 송왈(頌曰) 螻蟻從來足潰堤 六宮深鎖夢全非 重門金鼓含兵氣 小草滋生土口啼 주왈(註曰) 此象主藩鎮跋扈及吐蕃入寇中原。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