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서와 그림 100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42상 을사(乙巳) 간하리상(艮下離上)

참왈(讖曰) 미인이 서쪽에서 와서 美人自西來 조정이 나날이 안정되네 朝中日漸安 긴 활이 땅에 놓여있으니 長弓在地 위험한 듯 위험하지 않네 危而不危 송왈(頌曰) 西方女子琵琶仙 皎皎衣裳色更鮮 此時渾跡匿朝市 鬧亂君臣百萬般 주왈(註曰) 此象疑一女子當國。服色尚白。大權獨攬。幾危社稷。發現或在卯年。此始亂之兆也。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4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41상 갑진(甲辰) 리하리상(離下離上)

참왈(讖曰) 천지가 어두워 캄캄한데 天地晦盲 풀과 나무는 무성하네 草木繁殖 음양이 등지고 돌아서서 陰陽反背 땅은 위에 해는 아래 있네 上土下日 송왈(頌曰) 帽兒須戴血無頭 手弄乾坤何日休 九十九年成大錯 稱王只合在秦州 주왈(註曰) 此象一武士握兵權。致肇地覆天翻之禍。或一白姓者平之。 此指毛澤東所行各種運動。九十九合成是廿八年。與毛在位期相合。秦州卽陝西省。延安亦在陝西。帽兒需戴是說扣帽子。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4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40상 계묘(癸卯) 손하간상(巽下艮上)

참왈(讖曰) 하나 둘 셋 넷 중에서 一二三四 땅은 없는데 주인은 있네 無土有主 작고 작은 천강성이 小小天罡 힘들이지 않고 다스리네 垂拱而治 송왈(頌曰) 一口東來氣太驕 腳下無履首無毛 若逢木子冰霜渙 生我者猴死我雕 주왈(註曰) 此象有一李姓。能服東夷。而不能圖長治久安之策。卒至旋治旋亂。有獸活禽死之意也。 此似指國民黨遷台。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4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35상 무술(戊戌) 진하태상(震下兌上)

참왈(讖曰) 서방에 온 사람들 西方有人 서울을 다 짓밟네 足踏神京 황제는 나가 안 돌아오고 帝出不還 삼공이 기우는 것 붙잡네 三台扶傾 송왈(頌曰) 黑雲黯黯自西來 帝子臨河築金台 南有兵戎北有火 中興曾見有奇才 주왈(註曰) 此象疑有出狩事。亦亂兆也。 此象是描述八國聯軍。當日慈禧曾避禍於熱河。熱河乃滿清之夏都。奇才所指是曾國藩。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4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34상 정유(丁酉) 손하손상(巽下巽上)

참왈(讖曰) 머리엔 터럭이 있고 頭有髮 흰 옷을 두려워하네 衣怕白 태평한 때인데도 太平時 왕이 왕을 죽이네 王殺王 송왈(頌曰) 太平又見血花飛 五色章成裏外衣 洪水滔天苗不秀 中原曾見夢全非 주왈(註曰) 證已往之事易。推未來之事難。然旣證已往。似不得不推及將來。吾但願自此以後。吾所謂平治者皆幸而中。吾所謂不平治者幸而不中。而吾可告無罪矣。此象疑遭水災或兵戎與天災共見。此一亂也。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4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31상 갑오(甲午) 이하손상(離下巽上)

참왈(讖曰) 길목 막은 재앙의 싹 當塗遺孽 궁궐을 어지럽히네 穢亂宮闕 한 남자와 한 여자가 一男一女 나라 운을 다 망치네 斷送人國 송왈(頌曰) 忠臣賢士盡沈淪 天啓其衷亂更紛 縱有胸懷能坦白 乾坤不屬舊明君 주왈(註曰) 此象主天啓七年間。妖氣漫天。元氣受傷。一男一女指魏閹與客氏而言。魏殺客氏。客氏熹宗乳母。稱奉聖夫人。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3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29상 임진(壬辰) 손하진상(巽下震上)

참왈(讖曰) 가지가 그 꽃을 피워 枝發厥榮 나라의 기둥이 되네 爲國之棟 천하가 다스려져 태평하여 皞皞熙熙 백성이 편하고 즐거워하네 康樂利眾 송왈(頌曰) 一枝向北一枝東 又有南枝種亦同 宇內同歌賢母德 眞有三代之遺風 주왈(註曰) 此象主宣宗時張太后用楊士奇楊溥楊榮三人。能使天下又安。希風三代。此一治也。時人稍士奇爲西楊。溥爲南楊。榮爲東楊。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3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28상 신묘(辛卯) 감하진상(坎下震上)

참왈(讖曰) 풀 머리에 불 다리 草頭火腳 궁궐에 재가 날리네 宮闕灰飛 집안엔 새가 있고 家中有鳥 밖에는 중이 있네 郊外有尼 송왈(頌曰) 羽滿高飛日 爭妍有李花 眞龍游四海 方外是吾家 주왈(註曰) 此象主燕王起兵。李景隆迎燕兵入都。宮中大火。建文祝髮出亡。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3

추사의 화풍, 추사 김정희의 그림, 고사소요(高士逍遙)에 대하여 알아보자.

조선시대 서화의 대가 추사 김정희의 고사소요(高士逍遙)를 통해 그의 작품 세계를 그려보다. 소장처, 제목, 작가, 그림 감상, 그림의 특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장처 간송미술관 소장 그림제목 고사소요(高士逍遙) : 뜻이 높은 선비가 산책하듯 거닐다는 뜻입니다. 작가 이 그림의 작가는 조선시대 서화의 거장 추사 김정희다. 우리가 추사 김정희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은 추사체라고 부르는 독특한 서체에 힘입은 바가 크지만, 추사의 학문과 예술세계는 쉽게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넓고도 깊었다. 추사는 유교와 불교, 역사는 물론 금석학(金石學), 천문지리학(天文地理學)에도 조예가 깊었고, 시문서화(詩文書畵)에 두루 능했던 대학자이자 예술가였다. 또한 폭넓은 식견과 안목으로 자타가 공인하는 당대 제일의 비평가이자 감..

고서와 그림 2023.04.22

추배도推背圖 완역, 한글 번역문, 제27상 경인(庚寅) 건하진상(乾下震上)

참왈(讖曰) 오직 해와 달만이 惟日與月 백성들의 왕이로다 下民之極 천운에 응해 일어나니 應運而興 그 빛은 붉은 색이로다 其色曰赤 송왈(頌曰) 枝枝葉葉現金光 晃晃朗朗照四方 江東岸上光明起 談空說偈有眞王 주왈(註曰) 此象主明太袓登極。太祖曾爲皇覺寺僧。洪武一代海內熙洽。治臻大平。 #. 자세한 내용과 해설은 아래의 책에서 확인하세요. https://ebook-product.kyobobook.co.kr/dig/epd/ebook/480D210119100?LINK=NVE

고서와 그림 2023.04.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