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문 교양(사서삼경, 제자백가) 137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정조, 김홍도 그림, 무술, 무협, 권법, 검술, 창술, 이덕무

알리는 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란 무예(武藝)를 그림[圖]과 설명[譜]을 함께 담은 종합서[通志]라는 뜻으로, 『무예통지』·『무예도보』·『무예보』라고도 한다. 정조(正祖)가 직접 편찬의 방향을 잡은 후 이덕무(李德懋, 1741~1793), 박제가(朴齊家, 1750~1805), 백동수(白東脩, 1743~1816) 등에게 명령하여 작업하게 하였으며, 1790년(정조 14)에 간행되었다. 규장각의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 이 두 사람은 뛰어난 문장가였고 장용영(壯勇營)의 초관(硝官)인 백동수는 장용영의 무사들과 함께 1년여 간 각고의 노력을 하여 무예의 기법을 체계화하여 만든 작품이다. 임진왜란 후 군사의 무예훈련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1598년(선조 31) 한교(韓嶠)의 『무예제보(武藝諸譜)』가 간..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 정조, 김홍도 그림, 예의, 유교경전, 삼강오륜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는 다섯 가지 실천덕목인 오륜(五倫)을 실천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책이다. 1797년 정조(正祖)의 왕명에 의하여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와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를 합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책으로, 총 5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을 보면, 각각의 내용에는 먼저 도상(圖像)이 실려 있고 이에 대한 해설과 찬(贊)이 있으며, 아울러 한글 번역이 실려 있다. 도상에는 이야기의 주요한 장면을 부각하여 보다 간단하고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도판을 먼저 싣고 그 다음에 이야기를 붙임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한 연후에, 설명을 읽도록 편찬하였다. 그림의 인물 표현 및 화법으로 보면, 당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유행한 김홍..

사자소학(四字小學), 기초한문, 서당교육, 소학, 사자소학 한글 번역, 원문

사자소학(四字小學)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옛날에 어린이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엮은 기초 한문 학습서이다. 인간의 윤리도덕에 입각하여 소학(小學)과 기타 경전 가운데 어린이들이 알기 쉬운 내용만을 가려 뽑아서 사자일구(四字一句)로 엮었기 때문에 사자소학이라 한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 사항들을 쉬운 문장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옛날 서당에서 초학자들에게 기초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모든 구절이 네 글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아동들이 한문을 익히는 데 필요한 기초 학습서가 됨은 물론, 어린이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교육서로 애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근대의 서당 교육 과정 중 천자문을 떼고 난 다음, 명심보감을 배우기 전에..

啓蒙篇, 계몽편 해제, 계몽편 원문, 계몽편 한글 번역, 서당교육, 한문 기초

계몽편(啟蒙萹) 해제 조선시대 초학 아동을 위한 학습서로, 저자나 간행 연대 미상이다. 조선시대 때 서당이나 향교에서 학동들에게 글을 가르칠 때, 먼저 천자문(千字文)이나 유합(類合)으로 한자(漢字)를 익히게 한 다음, 교훈적인 교재로서 이 ≪계몽편』이나 《동몽선습(童蒙先習)』을 가르쳤다. 구성은 수편(首篇)ㆍ천편(天篇)ㆍ지편(地篇)ㆍ물편(物篇)ㆍ인편(人篇) 등 5편으로 되어 있다. 수편에는 천지만물ㆍ일월성신ㆍ강해산악(江海山岳) 등의 자연현상과 군신ㆍ장유ㆍ부부ㆍ붕우 등 인륜에 관한 간단한 소개가 있다. 천편에는 우주와 천체에 관한 해설과 10간(十干)ㆍ12지(十二支) 등의 설명이 서술되어 있다. 지편에서는 오악사해(五岳四海)에 관한 소개와 구름ㆍ비ㆍ안개ㆍ눈ㆍ서리 등의 자연현상을 음양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소학小學, 기초한문, 한문경전, 소학대학, 서당교육

≪ 小學 ≫ -立敎,000 子思子曰,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則天明, 遵聖法, 述此篇. 俾爲師者, 知所以敎. 而弟子知所以學. -立敎,001 列女傳曰, 古者, 婦人妊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 不食邪味. 割不正不食. 席不正不坐. 目不視邪色. 耳不聽淫聲. 夜則令瞽誦詩. 道正事. 如此則生子, 形容端正. 才過人矣. -立敎,002 內則曰, 凡生子, 擇於諸母與可者, 必求其寬裕慈惠溫良恭敬愼而寡言者, 使爲子師. 子能食食敎以右手. 能言男唯女兪. 男鞶革, 女鞶絲. 六年敎之數與方名. 七年男女不同席, 不共食. 八年出入門戶及卽席飮食, 必後長者, 始敎之讓. 九年敎之數日. 十年出就外傅, 居宿於外, 學書計, 衣不帛襦袴, 禮帥初, 朝夕學幼儀, 請肄簡諒. 十有三年學樂誦詩, 舞勺, 成童舞象, 學射御. 二十而冠, 始學禮,..

천자문千字文, 원문 번역문, 백수문, 한자교육, 한자사전

천자문千字文 天(하늘 천) 地(땅 지) 玄(검을 현) 黃(누를 황)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르다. 宇(집 우) 宙(집 주) 洪(넓을 홍) 荒(거칠 황)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다. 즉 세상의 넓음을 말한다. 日(날 일) 月(달 월) 盈(찰 영) 昃(기울 측) 해는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이지러진다. 즉 우주의 진리를 말한다. 辰(별 진) 宿(잘 숙) 列(벌일 열) 張(베풀 장) 성좌가 해 달과 같이 하늘에 넓게 벌려져 있음을 말한다. 寒(찰 한) 來(올 래) 暑(더울 서) 往(갈 왕) 찬 것이 오면 더운 것이 가고 더운 것이 오면 찬 것이 간다. 즉 사철의 바뀜을 말한다. 秋(가을 추) 收(거둘 수) 冬(겨울 동) 藏(감출 장) 가을에 곡식을 거..

漢書 藝文志, 한서예문지, 중국고전, 동양고전, 중국역사

《漢書》 「藝文志」 昔仲尼沒而微言絕,七十子喪而大義乖。故春秋分為五,詩分為四,易有數家之傳。戰國從衡,真偽分爭,諸子之言紛然殽亂。至秦患之,乃燔滅文章,以愚黔首。漢興,改秦之敗,大收篇籍,廣開獻書之路。迄孝武世,書缺簡脫,禮壞樂崩,聖上喟然而稱曰:「朕甚閔焉!」於是建藏書之策,置寫書之官,下及諸子傳說,皆充祕府。至成帝時,以書頗散亡,使謁者陳農求遺書於天下。詔光祿大夫劉向校經傳諸子詩賦,步兵校尉任宏校兵書,太史令尹咸校數術,侍醫李柱國校方技。每一書已,向輒條其篇目,撮其指意,錄而奏之。會向卒,哀帝復使向子侍中奉車都尉歆卒父業。歆於是總群書而奏其七略,故有輯略,有六藝略,有諸子略,有詩賦略,有兵書略,有術數略,有方技略。今刪其要,以備篇籍。 易經十二篇,施、孟、梁丘三家。 易傳周氏二篇。 服氏二篇。 楊氏二篇。 蔡公二篇。 韓氏二篇。 王氏二篇。 丁氏八篇。 古五子十八篇。 淮南道訓..

後漢書, 후한서, 중국역사, 역사서, 후한서 원문 (2)

後漢書卷三十八(二卷) 張法滕馮度楊列傳第二十八 字, 人也. 時, 爲縣佐. 會敗, 義兵起, 乃率民三四百人起兵略地, 西至, 以爲偏將軍. 見政亂, 因將家屬客. 及大司徒西征, 定, 詣自歸. 聞素多權謀, 乃表爲偏將軍. 軍到, 大衆且至, 以不足守, 欲引師進就堅城, 而衆人多畏賊追, 憚爲後拒. 乃書諸將名於竹簡, 署其前後, 亂著笥中, 令各探之. 獨不肯探, 曰:⌌死生有命, 豈辭難就逸乎!⌏ 歎息謂曰:⌌將軍有親弱在營, 柰何不顧?⌏ 曰:⌌愚聞一卒畢力, 百人不當;萬夫致死, 可以橫行. 今擁兵數千, 以承大威, 何遽其必敗乎!⌏ 遂留爲後拒. 諸營旣引兵, 方勒厲軍士, 堅壘壁, 以死當之. 到前縣, 議曰:⌌以將軍之衆, 當百萬之師, 猶以小雪投沸湯, 雖欲戮力, 其埶不全也.⌏ 乃遣步騎二千人反還迎. 引兵始發, 而卒至, 與戰, 卻之, 乃得歸營, 於是諸..

後漢書, 후한서, 중국역사, 역사서, 후한서 원문

後漢書卷十一(一卷) 劉玄劉盆子列傳第一 字, 族兄也. 弟爲人所殺, 結客欲報之. 客犯法, 避吏於. 吏繫父. 詐死, 使人持喪歸, 吏乃出, 因自逃匿. 末, 南方飢饉, 人庶羣入野澤, 掘鳧茈而食之, 更相侵奪. 人、爲平理諍訟, 遂推爲渠帥, 衆百人. 於是諸亡命、、等往從之;共攻, 臧於中, 數月閒至七八千人. 二年, 牧某發奔命二萬人攻之, 等相率迎擊於, 大破牧軍, 殺數千人, 盡獲輜重, 遂攻拔. 轉擊、, 多略婦女, 還入中, 至有五萬餘口, 州郡不能制. 三年, 大疾疫, 死者且半, 乃各分散引去. 、西入,南郡>, 號兵;、、及其支黨、等北入, 號兵:皆自稱將軍. 七月, 等進攻, 未能下. 人、復聚衆千餘人, 號兵, 以應之. 因往從等, 爲其軍安集掾. 是時及兄亦起, 與諸部合兵而進. 四年正月, 破前隊大夫、屬正, 斬之, 號爲. 衆雖多而無所統一, 諸將..

孝經, 효경, 사서구경, 유교경전, 효경원문, 동양고전, 중국철학, 동양철학

孝經 권01開宗 仲尼居. 曾子侍. 子曰, 先王有至德要道以順天下民用和睦上下無怨. 汝知之乎曾子避席曰參不敏何足以知之. 子曰, 夫孝德之本也. 敎之所由生也. 復坐吾語汝. 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毁傷孝之始也. 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孝之終也. 夫孝始於事親中於事君終於立身. 大雅云無念爾祖聿脩厥德. 권02天子 子曰, 愛親者不敢惡於人. 敬親者不敢慢於人. 愛敬盡於事親而德敎加於百姓刑于四海. 蓋天子之孝也. 甫刑云一人有慶兆民賴之. 권03諸侯 制在上不驕高而不危. 制節謹度滿而不溢. 高而不危所以長守貴也滿而不溢所以長守富也富貴不離其身然後能保其社稷而和其民人. 蓋諸侯之孝也. 詩云戰戰兢兢如臨深淵如履薄冰. 권04卿大 非先王之法服不敢服. 非先王之法言不敢道非先王之德行不敢行. 是故非法不言非道不行. 口無擇言身無擇行. 言滿天下無口過行滿天下無怨惡. 三者備矣然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