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서와 그림 100

조맹부서첩, 서예, 천관산제영(天冠山題詠), 송설도인, 송설재법서묵각, 명필

이는 중국 원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 조맹부(趙孟頫)의 서첩으로, 그가 지은 이란 시를 해서·행서·초서로 써서 비석에 새긴 것을 탁본하여 엮은 것이다. 조맹부는 원나라 때 관료이자 서화가(1254~1322)로, 자는 자앙(子昻)이고, 호는 송설도인(松雪道人)이다. 서예도 뛰어났으며, 특히 해서·행서·초서의 품격이 높았다. 이 서첩은 조맹부가 천관산(天冠山)을 둘러보고 감흥이 일어서 지은 시와 발문이 있고, 맨 뒤에 명나라 중기의 문인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의 후서가 붙어 있다. 24수의 시가 있는데, 중국 천관산의 기암괴석과 명승지를 하나하나 시로 노래한 것이고, 발문과 후서에서는 시를 짓게 된 계기와 책을 엮은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이 책은 조맹부가 쓴 의 서첩을 복원한 것으로, 서명..

고서와 그림 2023.07.02

서유기, 중국소설, 서유기 해제와 목차, 문학사적 의의

요점 정리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지은이 : 오승은(吳承恩 1500-1582) 중국 명나라의 문학가. 호는 사양산인(射陽山人). 어렸을 때부터 글과 그림을 뛰어났고, 글을 지어 생계를 유지하면서 빈곤 생애를 보냈다. 대표작으로 "서유기(西遊記)" 등이 있다.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갈래 : 장회 소설(章回小說). 도술 소설. 장편 소설. 신마 소설(神魔小說)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성격 : 낭만적. 전기적(傳奇的), 환상적, 희극적·모험적·신마적(神魔的)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사상 : 불교를 바탕으로 도교가 보태어짐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특징 : 신마 소설의 걸작이고, 적층 문학이나 구비 문학으로 정착 이완근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인물 : 마력을 지닌 손오공, 둔..

고서와 그림 2023.06.30

중국고대 예언서인 추배도, pod 서비스를 시작하다. 추배도 완역본

재작년에 이북으로 제작하여 교보문고에 판매하던 책을 pod서비스로 판매하기로 하였습니다. 몇몇 독자분들의 요청이 있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이제서야 서비스를 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추배도는 중국 당나라 때 이순풍, 원천강 등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책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완역 추배도의 머리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들어가는 말 추배도(推背圖)는 당나라 태종 때 만들어진 점술서로, 천문학자인 이순풍(李淳風)과 풍수지리학자인 원천강(袁天綱)이 함께 미래의 길흉화복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의 예언은 60개의 그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 그림마다 “참왈(讖曰)”이라는 예언과 “송왈(頌曰)”이라는 시가 붙어 있다. 추배도(推背圖)는 ‘등을 미는 그림’이란 뜻으로, 60장의 그림..

고서와 그림 2023.06.22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법화경, 채색, 그림 법화경.

묘법연화경은, 통상 법화경이라 이르는데, 법화삼부경의 하나로,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이다.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전 8권 28품.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불교사상을 확립하는 데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경전 첫 장에 있는 변상도이다. 규모가 거대하며, 화려하네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제1권 1. 서품(序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耆闍崛山) 가운데서 큰 비구 대중 1만 2천 인과 함께 계셨다. 이들은 다 아라한(阿羅漢)으로서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여 다시는 번뇌가 없고 자신의 이로움을 얻었으며, 모든 존재[有]의 결박으로부터 벗어나 마음에 자유로움을 얻은..

고서와 그림 2023.05.25

조선시대 세계인의 패션은? 대서양국(大西洋國 : 이탈리아)에 대해 알아보자.

조선시대 때 이탈리아 사람들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아래 그림은 300년 전 청나라에 조공 무역을 하러 온 이탈리아 귀족의 모습입니다. 칼을 차고 지팡이를 짚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부부끼리 옷을 깔맞춤한 모습도 인상적이구요 ㅎㅎ 300년 전 이탈리에 사람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대서양 사람들은 천주교(天主教)를 신봉하고, 장사에 능하여 부유하고 넉넉한 사람이 많다. 살갗이 희고 코가 높으며 눈이 깊고 푸르다. 수염과 머리는 기르지 않고, 별도로 가발을 만들어서 머리에 뒤집어쓰고 검은 모직물로 만든 삼각 고깔을 모자로 쓴다. 짧은 옷을 입고 가죽신을 신으며, 고말(袴襪)을 묶어서 신으니 마치 행등(行縢)과 같다. 부인들은 나발(螺髪)로 상투를 틀고, 옷깃에 금구슬과 보석을 건다..

고서와 그림 2023.05.17

조선시대 태국 사람의 모습은? 300년 전 태국 사람의 모습을 보여드립니다.

태국의 옛 이름은 섬라국暹羅國이다. 그 모습은 다음과 같다. 기록에 따르면, 그들은 모습은 "수놓은 비단에 금실로 무늬를 짠 옷이나 혹은 꽃무늬를 넣은 짧은 옷을 입고, 비단으로 만든 허리띠를 맨다. 부인들은 금과 은으로 만든 비녀와 반지를 낀다. 상의는 오색 꽃무늬 비단을 입고, 하의는 다섯 빛깔 천에 금실로 수놓은 꽃무늬 천을 땅에 끌리도록 입으니, 길이가 2, 3촌이다. 발에는 붉은 가죽신[靸鞋]을 신는다."라고 되어 있다. 나라에서 인재를 등용할 때에는 모두 임금 앞에 나오도록 하여, 백성들의 일을 묻고, 응대한 것이 타당하면 즉시 관복을 준 후에 등용하였다. 문자는 가로쓰기하며, 일이 있을 때는 글을 작성하고 낭송하여 왕에게 바쳤다고 한다. 위의 그림은 태국의 귀족 모습이고, 귀족들을 따라와서 ..

고서와 그림 2023.05.14

산해경 山海經 하, 해경海經 원문과 번역문

해경(海經) 6. 해외남경(海外南經) [1] 지상의 모든 공간, 온 세계는 해와 달로 빛을 삼고 별자리로 위치를 정하며 사계절로 한 해를 삼고 태세(太歲)로 때를 바로잡는다. 신령이 낳은 바 모든 사물은 저마다 모습을 달리하여 어떤 것은 요절하기도 하고 어떤 것은 오래 살기도 하는데 오직 성인(聖人)만이 이 방면의 원리에 통달할 수 있다. 地之所載,六合之間,四海之內,照之以日月,經之以星辰,紀之以四時,要之以太歲,神靈所生,其物異形,或夭或壽,唯聖人能通其道。 1) 육합(六合) : 사방(四方)과 상하(上下)를 망라한 공간. 2) 요지이태세(要之以太歲) : “‘요(要)’는 바로잡는 것이다. 태세(太歲)의 위치로 하늘의 때를 바로잡는 것이다.(要, 正也, 以太歲所在, 正天時也.)”[고유(高誘), 󰡔회남자(淮南子)󰡕ㆍ「..

고서와 그림 2023.05.10

산해경 山海經 상, 산경 원문과 번역문

산경(山經) 1. 남산경(南山經) 1-1 남산경(南山經) [1] 「남산경」의 첫머리는 작산이라는 곳이다. 작산의 첫머리는 소요산이라는 곳인데 서해변에 임해 있으며 계수나무가 많이 자라고 금과 옥이 많이 난다. 이곳의 어떤 풀은 생김새가 부추 같은데 푸른 꽃이 핀다. 이름을 축여(祝餘)라고 하며 이것을 먹으면 배가 고프지 않다. 이곳의 어떤 나무는 생김새가 닥나무 같은데 결이 검고 빛이 사방을 비춘다. 이름을 미곡(迷穀)이라고 하며 이것을 몸에 차면 길을 잃지 않는다. 이곳의 어떤 짐승은 생김새가 긴꼬리원숭이 같은데 귀가 희고 기어 다니다가 사람 같이 달리기도 한다. 이름을 성성(狌狌)이라고 하며 이것을 먹으면 달음박질을 잘하게 된다. 여궤수가 여기에서 나와 서쪽으로 바다에 흘러드는데 그 속에는 육패(育沛..

고서와 그림 2023.05.10

산해경 山海經 남산경 南山經 원문 산해경도 원문

又東四十里,曰嬰山,其下多青䨼,其上多金玉。 又東三十里,曰虎首之山,多苴椆椐。 又東二十里,曰嬰侯之山,其上多封石,其下多赤錫。 又東五十里,曰大孰之山。殺水出焉,東北流注于視水,其中多白堊。 又東四十里,曰卑山,其上多桃李苴梓,多纍。 又東三十里,曰倚帝之山,其上多玉,其下多金。有獸焉,其狀如鼣鼠,白耳白喙,名曰狙如,見則其國有大兵。 又東三十里,曰鯢山,鯢水出于其上,潛于其下,其中多美堊。其上多金,其下多青䨼。 又東三十里,曰雅山。灃水出焉,東流注于視水,其中多大魚。其上多美桑,其下多苴,多赤金。 又東五十里,曰宣山。淪水出焉,東南流注于視水,其中多蛟。其上有桑焉,大五十尺,其枝四衢,其葉大尺餘,赤理黃華青柎,名曰帝女之桑。 又東四十五里,曰衡山,其上多青䨼,多桑,其鳥多鸜鵒。 又東四十里,曰豐山,其上多封石,其木多桑,多羊桃,狀如桃而方莖,可以爲皮張。 又東七十里,曰嫗山,其上..

고서와 그림 2023.05.10

을지문덕 장군의 초상화를 복원하다. 고구려 장수, 을지문덕 영정

우리나라를 중국 당나라로부터 구원한 고구려의 장수 을지문덕 장군의 초상화를 복원해 보았습니다. 본래 영정 그림은 매우 희미하고, 누락된 획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거의 그림을 다시 그리다시피, 그림과 글씨를 복원하였습니다. 복원한 그림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을 복원하는 데 2일 정도가 걸렸습니다. 당시의 군복 등을 그대로 복원하기 위해 다른 유사한 초상화와 그림과 문양 등을 참고하여 복원하였습니다. 오른쪽 위쪽에 글씨에는 "乙支文德遺像"이란 글귀가 있는데, 이는 을지문덕 장군의 초상화란 뜻입니다. 복원을 하고 나니, 왠지 뿌듯한 마음이 드네요. 을지문덕 장군은 우리 민족을 구한 영웅으로서, 고구려 때 당나라의 침략을 막지 못하였다면, 지금의 순수한 배달의 민족의 혈통을 계승하지 못하였을 수도 있어서, 우..

고서와 그림 2023.05.08
반응형